CHOSUN

디자인경영 전략을 통한 지역축제 발전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찬영
Issued Date
2010
Keyword
디자인 경영|지역축제|경영전략
Abstract
디자인경영 전략을 통한 지역축제 발전 방안 연구
21세기는 문화가 중심이 되어 하나의 기간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시대에 맞춰 국가 간의 벽이 허물어지고 지방정부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지역문화의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시장에서 문화의 부가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문화의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으로 자리하고 있는 형국이다.
지역축제는 지역주민이 참가자인 동시에 주최자로서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다. 그렇게 하려면 지역주민이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문화교류를 통하여 다른 지역과의 상호 교류의 장이 될 수도 있으며 관광객들이 지출하는 숙박비, 교통비, 식비, 관광 상품 및 특산품 판매 수입 등으로 인한 경제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기본이다. 그로 인하여 지역 관광산업을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거나 지역 이미지 개선을 통한 지역경쟁력이 강화되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방자치제의 실시에 따른 지역 정체성의 확립, 지역문화자원의 개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노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지역축제는 지역이미지를 높이고 관광차원의 관점에서 관광객을 유치하여 직간접적인 수익을 올리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대표축제인 보령머드축제, 안동국제탈춤축제와 최우수 축제인 금산인삼축제, 함평나비축제 등은 지속적인 국고지원을 받고 있다. 아울러 축제가 지역민의 인식부족, 프로그램상의 문제, 관주도의 운영상의 문제, 전문 인력의 부족 등으로 운영상의 문제를 노출시키기도 했다.
가장 전통적인 문화가 가장 세계적인 문화란 말이 있듯이 우리문화는 우리 지역 전체의 민주적 발전과 경제적 가치의 증대, 지역민의 삶의 질, 정체성, 자긍심 고취, 지역의 유ּ 무형 문화재의 문화적 가치와 역량을 제고시켜 지역민의 사회경제와 생활문화에 대한 정책적인 배려를 도모해야 한다. 또한 모든 축제는 전통문화의 보존 계승과 발전, 지역사회의 정체성확립, 지역민의 공동체문화 형성 등과 같은 기능을 함께 수반해야 한다.
전국 각지에서 다양하게 개최되는 지역의 예술제, 문화제, 대회 등 전국에서 개최되는 축제는 2006년을 기준으로 1200개라는 실로 어마한 숫자로 행해지고 있다. 이렇게 많은 축제 중에서 성공적인 축제의 수는 고작 1%도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지역민과 지역의 문화자원을 기반으로 당초 지역에서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축제에 대한 확고한 목표와 신념과 보다 세련되고 구체적인 경영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지역축제의 발전적 경영전략으로 지역민이 준비하고 지역민이 실천하는 지역축제가 되어야한다. 진정한 축제는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며 방문객들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그 지역축제에 대한 재방문의 동기를 부여해야한다. 더불어 지역의 전통소재와의 연계이다. 전통소재 연계성 계획은 그 지역만이 가질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을 개발하고 찾아내는 것이다. 물론 쉽사리 찾아내기는 어렵다. 지역민은 그 지역에서 오랫동안 살아왔기에 그 지역의 문화자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우리 문화유산을 찾아내고 우리 문화유산의 세계화적 특성을 발견하여 이를 계승 발전시키는 전통의 의미를 내포한 지역축제로 만들어가는 것으로 이러한 지역축제는 전국화 세계화로 전파시키는 계기점이 된다.
지역축제는 일회성 행사의 형식을 탈피하여 진정으로 지역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해야 한다. 첫째, 경제적 측면에서 지역축제는 방문객을 유치하여 지역경제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지역주민은 축제로 인하여 지역의 이미지, 자긍심, 애향심 고취 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셋째, 지역축제를 개최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된다. 넷째, 프로그램의 내실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 타 지역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는 형식에서 탈피하여 그 지역만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외국인에 대한 세심한 배려이다. 이제 지역축제는 우리나라뿐 만 아니라 외국인 방문객도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형국이다. 이를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세심한 배려와 감동 있는 내용으로 접근하면 외국인들의 방문객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는 축제의 디자인 경영전략의 과학적 도입이다. 많은 시간과 재원을 투입하더라도 계속적이고 지속적인 조사, 관리, 수집, 활용과 사후 축제에 대한 평가를 디자인경영 전략기법의 도입을 통해 객관적이고 장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는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관리이다. 매년 증가하는 외국인 방문객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가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태국의 경우󰡐투어리스트 폴리스󰡑제도 운영을 통해 유명관광지에 전담경찰관을 배치하여 외국인을 보호하고 있고 홍콩과 싱가포르는󰡐국제경찰󰡑제도를 운영하여 관광객들이 국제경찰에 친근하도록 배려하고 있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이다. 축제에 참여율을 높이고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 고유의 특성에 맞게 프로그램을 특성화시켜 개발해야 한다. 프로그램 속에 방문객이 참여하여 그 축제의 의미를 체험하고 만끽할 수 있고 주체로서 직접 운영한다는 일체감을 심어주는 것이다. 더불어 그 지역만의 고유의 프로그램을 매년 색다르게 연구 개발하여 축제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타 지역 축제 보다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 할 수 있는 방법이다.|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s
for Design Management Strategy

In the 21st century, culture has established as one of key industries, taking the lead in the industry. Specifically, since the wall between nations breaks down to walk with the global era and the importance of local government is on the rise, the importance of local culture is being highlighted more than ever. The added value of culture becomes high and culture competitiveness becomes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The local government system helps establish local identity and efforts are made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resources. Local festivals have obtained good results of enhancing local image and making direct and indirect profits by attracting tourists from a viewpoint of tourism. Gangjin Celadon Festival,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Geumsan Ginseng Festival, and Boryeong Mud Festival are designated as an excellent festival and supported by state subvention. On the other hand, operational problems are revealed because of the lack of local people's perception, a program problem, government-initiated operation, and the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Like the saying goes, the most local thing makes the most global thing, local culture can develop the whole region, increase economic added value, improve local people's quality of life, and promote local identity and cultural value and capacity of local's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But it needs policy consideration at the level of local people's life and culture. Moreover, local festivals should fulfill its duties in preserving and succeeding traditional culture, establishing community identity, and making local people cooperative(Lee, Ae-Ja, 2008).
The number of festivals held nationwide under the name of art festival, culture festival, and contest reaches 1200 as of 2006. Yet less than 1% of them achieves success(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2007).
In this sense, for local governments to attain their original goals based on local people and cultural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set firm goals and faith in festival and l resource more polished and detailed management strategies.
To establish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irst of all, local festivals should be made with local people. In other words, it should encourage local people to prepare, practice, and participate. Such an image and atmosphere can make a deep impression on visitors, supply power of lasting long, and give motivation to revisit. Second, local materials should be digged out. In other words, unique local things should be developed and found in cooperation with local people who live there long and know and enjoy all cultural resources of their communities. When the old and the new is well-matched,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are found on the advice of old people, and festivals give an opportunity to succeed and development the cultural heritage to young people, it will provide a momentum to make local festivals nationwide and worldwide.
Local festivals should break with the formation of holding disposable events and provide motivation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economics. First, attraction of visitors through local festivals will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in this economic stagnation. Second, local festivals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local image, pride, and love of native place in local people. Third, local festival will create new perception of environment. Fourth, programs should be prepared substantially. It is important to provide local's unique programs by breaking with the practice of benchmarking other region's programs. Finally, foreign visitor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since they increasingly participate in local festivals. When more detailed and careful programs for foreigners are provided, their number will be greatly increas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of festivals should be scientifically introduced. Although it needs much time and financial resources, the research, management, collection, and use should be continued and objective assessment should be made in the long term after festivals in the introduction of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Second, foreign visitors should be managed carefully. It is very urgent to prepare an institutional system for them growing larger every year. For example, Thailand operates the "tourist police" system that places the police in famous tourist attractions to protect foreign visitors and Hong Kong and Singapore run the "international police" system for foreign visitors to get familiar with the police.
Finally, goo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pecific and customized programs should be made to incite visitors to participate and revisit festivals. Active participation in programs will help visitors experience the meaning of festivals and fully enjoy festivals and implant a sense of unity in visitors as they operate festivals directly.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s for Design Management Strategy
Alternative Author(s)
Jung Chan 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Advisor
김명주
Awarded Date
2011-02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방법 3

Ⅱ. 디자인경영 전략의 이론적 기초 5

1. 디자인의 의미와 철학 5
2. 디자인경영의 이해 7
1) 디자인경영의 역사 7
2) 디자인경영의 정의 8
3) 디자인경영의 기능 9
3. 디자인경영의 중요성 9
1) 정보화시대 9
2) 경영 조건의 변화 10
3) 디자인을 통한 새로운 산업 12
4. 디자인경영의 역할 12
1) 디자인 방향의 변화 13
2) 디자인의 영역 13
3) 디자이너의 역할 14
5. 지역축제를 위한 디자인경영 전략의 개념 16
1) 지역축제의 전략과 디자인경영 17
2) 지역축제의 디자인경영 전략의 구성 요소 18
3) 지역축제의 디자인경영 전략 구축 19

Ⅲ. 디자인경영 전략의 선행연구 21

Ⅳ. 국내․외 지역 축제의 현황 및 경영환경(SWOT) 분석 27

1. 지역축제의 현황 27
1) 지역축제의 배경 27
2) 지역축제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효과 34
3) 국내축제의 현황 38
4) 국외축제의 현황 47
2. 지역축제의 경영환경(SWOT)분석 54
1) 국내 지역축제의 경영환경(SWOT)분석 54
2) 국외 지역축제의 경영환경(SWOT)분석 61

Ⅴ. 지역축제의 디자인경영 전략과 발전 방안 70

1. 지역축제의 디자인경영 전략 71
1) 지역특색의 디자인경영 전략 71
2) 지역축제의 디자인경영 전문 인력 79
3) 지역축제의 디자인경영 조직 85
4) 지역축제의 디자인경영 재원 90
2. 지역축제의 효율적인 발전 방안 94
1) 지역축제를 통한 지역 이미지 제고 95
2) 지역축제 홍보의 효율화 방안 96
3) 지역축제의 다양한 프로그램 연구와 개발 98
4) 지역축제의 재정 자립화 100
5) 지역축제의 세계화 102

Ⅵ. 결론 및 제언 105

참고문헌 108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찬영. (2010). 디자인경영 전략을 통한 지역축제 발전 방안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92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115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3-0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