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現代 韓國畵의 意境과 音樂性에 관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홍수
Issued Date
2010
Abstract
외래문화 속에서 오늘의 우리 문화는 역사적으로 큰 변혁기를 맞고 있다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어느 지역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한 문화의 수준을 높이려면 외래문화를 그 풍토에 맞게 소화 또는 수용하면서 자신의 전통문화를 굳건히 지키고 가다듬는 일이 선행돼야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우리는 우리 스스로가 전통의 맥을 끊는 일을 서슴지 않았으며, 스스로 우리문화를 비하시키는 의식 속에서 살아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듯하다. 우리문화의 진실을 보는 눈 또한 턱없이 부족하며, 그저 외래문화를 받아들이는 데에만 급급한 것은 문화적 전통성을 단절되게 하거나 획일화하고, 그 원형 또한 급속히 훼손되고 변질되게 하였다.
이렇듯 우리문화 속에서 벌어지는 현상들은 단순히 문화뿐만 아니라 문화를 이끌어 간다는 예술분야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데, 그중 하나로 회화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모든 예술작품은 작가의 사상, 생활, 감정을 대변하고 있는 것처럼, 한나라의 미술은 그 민족의 민족성, 역사,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일찍부터 대륙문화와의 교류를 통해서 독특하고 아름다운 문화를 꽃피워 온 우리민족은 자연환경과의 조화 속에서 소박하고 창의성 있는 조형세계를 이루고, 새롭고 실험적인 양식의 도입과 더불어 지속적인 미술의 발전을 이루어 왔었다.
우리나라 미술은 원래 북방적 추상양식에서 출발하고 있으나 삼국시대로 들어오면서 자연주의 양식으로 바뀌기 시작하였으며, 그것은 우리민족이 자연에 대한 사랑과 의존심에 뒷받침되어 온 미술양식이라 하겠다. 시대를 거듭나면서 우리나라 미술 특유의 평화롭고 인간미 있는 인공의 가식이 없고 순수한 자연의 미를 나타내려는 한국적 미술양식을 형성해 왔었다. 예술은 미적인 것을 추구하는 특별한 임무를 지녔고, 그 미적인 것은 어떤 가치를 지향한다는 의미에서 미적 가치는 역사적 과정의 산물이며, 우리들의 삶과 매우 밀접하고도 깊은 관계 가운데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미적 가치는 역사적으로 제공된 많은 가치들이 종합된 어떤 가치를 내포하게 된다.
예술작품은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종종 그 시대의 또 다른 문화적 표현들, 즉 정치적․사회적․지적표현들과 병행하거나 상호관계를 맺고 있다. 그것은 한 나라의 예술이 그 민족의 민족성, 역사,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일 수 있으며, 일찍부터 우리민족은 자연환경과 조화 속에서 소박하고 창의성 있는 조형세계를 이루고, 새롭고 실험적인 양식의 도입과 더불어 지속적인 미술의 발전을 이루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관계를 염두에 두고 예술작품을 살펴보는 것은 인간과 그 시대에 대한 전체적인 생활을 명확히, 그리고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우리가 문화 인류학적 관점에서 어떤 시대의 예술에 나타난 미적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시대의 다른 가치들이 어떻게 미적 가치에 작용하였는지를 이해하고, 그 가치가 의미하는 예술세계가 우리의 생활에 어떤 구체성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가를 살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구체성들이 한 시대에서 다음 시대로 형태를 바꾸면서 어떻게 부과되어 왔는가를 이해하기 위해 예술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화에 있어 시대사조의 흐름 속에서 미적가치를 찾고, 다양한 재료기법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현대 한국화의 동향을 살펴보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그 안에 내재되는 동양 예술정신을 근본으로 하는 의경(意境)으로서 재료가 가지고 있는 물(物)의 의미를 고찰해 봄으로써 현대 한국화가 가지고 있는 특징적 요소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현대 한국화의 재료적 특징에서 나타나는 물로써 의경의 내용을 풀어내는 것은 물론이고, 연구자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재료의 특징에서 부합되는 물로써 의경 내용들을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근원적으로는 연구자의 작품의 형식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는 동양음악사상을 기본 매개체로 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소리(音)에 대한 이해와 그중 판소리 예술에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선(線)으로서 예술적 가치에 대한 접근을 하고자 한다.
즉 한국 전통음악에 있어 판소리 창법(唱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음악적 율(律)을 통해 선의 의경을 대자연이라는 하나의 모토를 시작으로 판소리 속에서 이루어지는 음악적인 율 “판소리 창자(唱者)가 가지고 있는 목(성음)의 성격에서 나타나는 성향과 장단(長短)의 한배, 또는 호흡에 비추어지는 창자의 창본(唱本)”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선적인 요소를 비교해 봄으로써, 다양한 성질의 성음에서 나타내고 있는 음악적 율에서 보이는 선의 차이를 창자의 창본을 중심적으로 알아보도록 한다.
이것을 통해 근원적으로 동양회화의 선에서 내재되는 심미안적인 내용과 관련하여 연구자의 작품과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고, 연구자의 작품에서 내재하는 선의 형식에서 보이고자 하는 의경적인 요소로서 선의 역할이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역설해보고,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형상적인 내용의 골법(骨法), 즉 대자연의 형상들은 무엇을 상징적으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논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서양의 회화가 자연과 인간이 함께 하는 예술을 표현하였다면, 동양의 회화는 인간의 존재 자체도 자연의 작은 일부로 해석하고 있으니, 동․서양의 회화관(繪畵觀)은 큰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양회화는 자연관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이고, 또한 동양예술 정신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구자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비구상 형상들은 동양예술정신을 기본 매개체로 한 자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현대 한국화의 동향에서 나타나고 있는 회화의 개념들에서 찾아 볼 수 있을 것 같다.
한국화의 비구상 개념이라고 한다면 먼저 미의 원천이 자연에 있으므로 예술은 모든 대상의 내적인 미, 즉 자연성을 직관(直觀), 사의(寫意)하여야 진(眞)과 미(美)를 동시에 포착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한국화에 있어 비구상은 사의적(寫意的)인 뜻이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 하는 것이고, 동양의 전통회화에서는 이미 서구의 추상미술보다 먼저 넓은 의미의 추상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의 유가(儒家), 도가(道家), 선가사상(禪家思想)에서 비롯된 것이며, 동양회화의 핵심적인 사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연구방향은 동양회화의 사상적 근원을 중심으로 제2장에서는 현대한국화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으로서 현대 한국화의 시대배경을 인식하고, 그에 따르는 작품의 특성들이 현대 한국화의 부문에 어떠한 작용을 가져왔는지를 살펴보고, 물론 1950년대 중․후반부터 한국화에 있어 새로운 방향성 모색과 실험정신이 강조되기 시작한 것은 분명한 사실로 인식하고, 그 이후 1980년대에 있어서 현대 한국화는 연구자 작업형식에는 어떤 형태로 적용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활발하게 한국화의 정체성 찾기에 돌입한 1980년대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화 작품양식과 현상을 알아보기로 하겠다.
한편으로 한국화의 실험기와 비구상의 태동 시기를 현대 한국미술사의 전반적 기류를 통해 살펴봄으로서 현대 한국화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회화로서 한국적 정서가 무엇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성찰하고자 하였다. 현대 한국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는 자유로운 형상들의 필획, 무의식 속의 주제, 두텁게 칠해진 안료의 마티에르, 오브제의 사용 혼합된 기법 등 이러한 것들은 현실적으로 현대한국화에서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형식들로서 서구적 치향의 경향을 띠고 있는 현대한국화의 방향성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재료와 기법의 다양성에 의한 현대 한국화의 비구상이 언제부터 어떠한 과정으로 오늘날의 회화사에 자리매김을 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자가 가장 심도 있게 접근하고자 하는 것은 동양 음악사상에 대한 접근과 예술정신에 대해 이해하고, 본 논문 제4장에서 동양예술 정신세계의 깊이를 포착함으로서 작품에서 지향하는 현대한국화에서 내재되고 있는 자연주의는 무엇으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그것을 통해 한국화에서 추구하는 정체성에 대한 고찰을 이끌어내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양예술 정신에서 비춰지는 의경(意境), 기운생동(氣韻生動), 골법용필(骨法用筆), 일획론(一劃論)에 대해 고찰해 봄으로써, 그것들을 토대로 본 연구논문 제5장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자의 의경과 음악성에 관한 작품분석과 관련하여, 우선적으로는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나는 재료기법 변화로서 작품분류로써 첫 번째는 평면회화의 오브제와 혼합매체에 대해 언급하고, 두 번째로는 오브제의 여러 가능성에 대한 접근으로 재료활용에 있어서 다양성과 영구성을 언급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세 번째로는 매체의 다양성 확장으로 나누어 기술하고자 한다. 물론 이것들은 본 연구자가 최근 작품들에서 연구하고 있는 소리와 관련된 작품내용에 있어 모색과정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자 작품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소리(음)와 의경(意境), 기운생동(氣韻生動), 골법용필(骨法用筆), 일획론(一劃論)의 연관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그 첫 번째로는 보편적인 소리의 선들에 대해 이미지를 분석해 보고, 궁극적으로는 한국 전통음악의 판소리에서 나타나는 소리의 특성에 대해 창자의 창본(사설집)을 중심으로 어떠한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는지를 판소리 창자의 가사집(창본)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두 번째 그 안에 나타나고 있는 음악적 율(律)의 표기법에 따른 심미적인 선(線)의 율(律)의 차이가 가지고 있는 음악적 반응을 통해 나타나는 형(形) 차이로 나타나는 것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또한 최종적으로는 연구자의 작품에서 이야기 하고 있는 예술의 형식미에 대한 서술과 작품구상형식에서 나타나고 있는 자연관에 대해 고찰함은 물론이고, 소리에서 얻어지는 작품구성 형식과 내용을 기술함으로서 회화로서 소리(음)의 연관성을 전통음악(판소리)을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Today's Korean culture has met a great change in foreign culture, but it must digest or accept foreign culture and keep its own traditional culture to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regardless of the times. Nevertheless we didn't hesitate to sever the legacy of tradition by ourselves and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we have lived with consciousness to abase our culture. Eyes to see the truth of our culture is unreasonably lacking and urgent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 may result in severance and uniformity of cultural tradition and its archetype was also rapidly damaged and changed.
Phenomena in our culture can be easily found in art area leading culture as well as in culture and one of them can be found in painting. As all art works represent artists' idea, life and emotion, the art of a country reflects its ethnicity, history and culture. Our nation which achieved unique and beautiful culture through the exchange with the continent culture made formative world with creativity in the harmony with natural environment and accomplished the development of continuous art with introduction of a new and experimental style.
Art works run parallel with other cultural expressions such as political, social and intellectual ones or have interactions with them. It may suggest that the art of a country reflect ethnicity, history and culture of the country and has achieved continuous development of art with the adoption of a new and experimental mode in the harmony with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examination of art works focused on this relationship will be helpful to have clear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uman and the times the whole life.
We must understand the influence of values of the times on aesthetic value and examine how the art world is accepted in our life in order to comprehend the aesthetic value shown in the art of an age from cultural anthropological view. And we must understand art in order to know how such a concreteness has been made through repeated changes through the tim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look for the aesthetic value of Korean painting in the trend of the times, examine the trend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of various material techniques, and investigate the meaning of water the material has on the basis of eastern art spirit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It is also designed to interpret and arrange the content of Yi Jing with water shown in the material features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And it tries to approach to artistic value as understanding of several sound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based on the idea of oriental music and especially the line which has been mostly influenced by Pansori.
This study compares trend shown in the character of vocal sound that musical melody has in Pansori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empo of rhythm and several linear factors shown in the way of Pansori in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examines the difference of lines shown in a variety of vocal sounds centering around the singer's musical notes.
The present study researches the researcher's works in relation to artistic contents inherent in the lines of oriental painting, emphasizes the roles of lines as the factor of Yi Jing through the form of lines in the researcher's works and discusses physiognomy of eidetic content, that is, what the shapes of nature approach.
If the western painting expressed art that nature and human share, the oriental painting interpreted the human being itself as a part of nature an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the eastern and western views of painting. Thus oriental painting has close relations to the view of nature and is also based on the spirit of oriental art. Nonrepresentational shapes shown in the researcher's works can be found in the concepts of painting that the trend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centering around the view of nature based on the spirit of oriental art shows.
As the concept of nonrepresentationalism in Korean painting considers the source of the beauty in nature, art can capture the internal beauty of all objects. Nonrepresentationalism in Korean painting means the implication of transcriptional meaning and implies abstractness of a broader sense than western abstract painting in oriental traditional painting. It was resulted from Confucianist, Taoist and the Zen sect and can be the core idea of oriental painting.
Therefore, this study is centered on the source of thought of oriental painting and Chapter 2 examines the trend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recognizes the background of the times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works on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the application of new experimental spirit in 1980s to the researcher's works and styles and phenomena of Korean painting works around 1980s.
On the one hand, it examines the experimental period of Korean painting and quickening period of nonrepresentational painting through the whole trend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and seeks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It is to reflect on the direction of Korean sentiment as painting. Stroke of liberal shapes, theme in the unconsciousness, matiere of paints with thick touch, use of object and mixed techniques which are remarkably shown in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were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with the trend of western style.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that how nonrepresentationalism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based on these materials and a variety of techniques was settled as the history of today's painting.
The researcher is to understand approach to the thought of oriental music and art spirit, captures the depth of spiritual world of oriental art in Chapter 4 and examine the origin of naturalism inherent in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In addition, it is to focus on drawing the investigation of identity Korean painting pursues through this.
An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Yi Jin, energy movement, physiognomy, and theory of one stroke shown in the spirit of oriental art and classified the researcher's works into 1) object of plane painting and mixed media, 2) seeking several possibilities of object, and 3) expansion of variety of media which are discussed in Chapter 5.
It is also to discuss associations among sound and Yi Jing, energy movement, physiognomy, and theory of one stroke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researcher's works.
First, it analyzes the images of lines of universal sounds and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in Pansori of traditional Korean music with singer's notes and Pansori singer's music.
Second, it is to research indication of difference in melody of artistic lines according to musical melody into the difference of form through musical reaction.
In addition, it investigates the researcher's view of nature shown in description of the beauty of art form and conception of works that the researcher's works speak and describes the form and content of work composition obtained in sound and the association of sound as painting centering around traditional music (Pansori).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Yi Jing and Musicality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Alternative Author(s)
Park Hong-S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조송식
Awarded Date
2010-08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 론 / 1

Ⅱ. 현대 한국화의 동향과 방향 / 7

Ⅲ. 동양 음악사상과 예술정신 / 20
1. 한국음악의 발생과 기원 / 20
2. 음악사상과 예술정신 / 22

Ⅳ. 동양예술의 정신표현과 의경(意境) / 31
1. 동양회화의 의경과 소리 / 41
2. 의경과 기운생동론(氣韻生動論)․골법용필론(骨法用筆論) / 50
3. 의경과 선(線)․일필화(一筆畵) 및 일획(一畵) / 61

Ⅴ. 의경과 음악성에 관한 작품분석 / 74
1. 현대회화의 한국성에 대한 반성 / 77
2. 의경과 음악성을 위한 모색과정 / 80
1) 평면회화의 오브제와 혼합매체 / 80
2) 오브제의 여러 가능성 / 81
3) 매체의 다양성 확장 / 83
3. 의경과 음악성 반영 / 86
1) 의경과 조형의 의미 / 88
2) 조형의 원형과 자연관 / 92
3) 조형과 소리형태의 의미 / 99
4) 소리표현과 형식미학 / 100
(1) 선(線) / 100
(2) 여백(餘白) / 104
(3) 색(色) / 108
(4) 신사(神似)표현 / 111

4. 판소리 창본(唱本)의 소리 선(線)의 비교분석 / 115
1) 판소리 속의 형식미학 / 115
2) 판소리와 회화의 관계 (필(筆)과 음악적(音樂的) 호흡) / 121

5. 의경과 소리(音)표현 / 125

Ⅵ. 결 론 / 129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홍수. (2010). 現代 韓國畵의 意境과 音樂性에 관한 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83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033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0-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