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치악 환자에서 오스템 임플란트의 임상성공율에 대한 전향적 다기관 연구
- Author(s)
- 정종원
- Issued Date
- 2010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다기관의 전향적인 평가를 분석하여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GSII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시 임플란트 안정성을 비교 평가하는 데 있다.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전국 각 지역의 치과병원 및 의원(조선대학교 치과병원, 분당 서울대병원, 앞선 치과병원, 에프엠 치과병원,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제주 예나치과)에 내원한 환자 중 상악이나 하악 혹은 양악에 완전 무치악을 가지며 OsstemⓇ GSII 임플란트를 식립한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OsstemⓇ GSII 식립 전 후에 미리 정해진 평가 항목을 기록하고 수집하였다. 의무 기록지, 방사선 사진, 임상검사를 참고하여 기록, 평가하였으며 총 150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보철 기능 후 평균 경과관찰 기간은 8.3개월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overdenture 보다는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된 경우가 많았다. overdenture로 수복된 경우 100%의 성공률을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된 경우 99%의 성공률을 보였다. GSII 임플란트 우수한 일차 및 이차 안정성(이차 수술 후, 보철 3개월 후)을 보였다. 최종 경과관찰 시점에서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8.7%였고 기능 1년 이내에 1.5mm 이상의 과도한 치조정골 흡수를 보였던 경우가 4개였으며 이들을 실패 범주에 포함시킬 경우 성공률은 97.2%였다. 보철물은 최종 경과 과찰 시점까지 실패한 경우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OsstemⓇ GSII 임플란트 시스템은 다기관에서 시행한 단기간의 관찰에서 양호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수복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0-08-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