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환경경영 전략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문상옥
Issued Date
2009
Abstract
본 연구는 기업의 환경경영도입 요인인 기업의 환경관련 시장요인, 수요자의 환경민감성, 정부의 환경규제, 협력업체와의 관계요인이 지속가능한 환경경영전략으로 미치는 영향과 후속하여 환경경영 기반구축전략이 핵심전략화의 단계로 이어져 전략적 학습과 성과로 이어지는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적 환경적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산업분야로서 일반제조업체와 첨단산업분야인 비제조업체의 경영자 및 기술개발 관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 기업체 당 경영자와 환경관련 기술개발 관리자 대상 중 1명으로 조사대상을 제한하여 기업체의 환경경영에 대한 응답의 대표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총 220부를 배포하여 수집된 215개의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지 18개를 제외한 자료는 제조업체 173개 기업체와 비제조업체 24개 기업체로 총 197개 기업체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환경관련 시장요인이 지속가능 환경경영전략 중 환경경영 기반구축전략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핵심전략화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기업의 환경과 관련한 시장환경이 그린제품에 신속한 개발이 이루어지거나 이에 대한 대응들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등의 환경과 관련한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변화는 중소기업체에게도 환경경영을 통한 시장 내의 변화에 대응하려는 시스템으로 변화하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장환경이 환경의 도입 및 그린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다하더라도 기업의 자체적인 역량의 부족은 자체적인 환경경영을 핵심화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규모의 기업체에서의 지속가능 환경경영의 도입은 기업이 환경경영을 도입할 수 있는 조직내부의 시스템의 변화와 이를 수용하기 위한 인프라의 구축전략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으로 지속적 환경경영의 체계적인 도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수요자의 환경 민감성이 환경경영 구축전략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핵심전략화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요자의 환경에 대한 민감성이 높을수록 기업운영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는 동기가 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산업내에서 기업간 그린제품을 생산하거나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더라도 기업의 환경에 대한 핵심전략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요자의 환경민감성이 환경경영 기반구축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의 시장환경요인이 환경경영 기반구축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상대적 영향력이 낮게 나타나 기업에서 환경경영을 도입하는 요인이 수요자의 환경에 대한 민감성보다는 산업 내 경쟁기업들의 환경경영에 대한 도입의 영향으로 인한 위기감으로 인한 것이 더 큰 요인임을 결과에서 보여주고 있다.
셋째, 정부의 환경규제는 기업의 환경경영 기반구축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났으나, 핵심전략화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강력한 법적 규제 등이 수반되는 환경규제는 기업에게 상당부분 압박으로 작용될 것이다.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체계적인 조직내부의 시스템을 갖추기 보다는 오히려 정부의 규제만을 맞추어서 해결해나가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순차적인 환경경영을 도입하는 준비과정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인 외부와의 네트워크를 통한 협력 제제 및 산학연협력을 통한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환경경영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소규모의 기업체의 환경경영 도입의 특징이 외부의 강력한 압력에 대한 강도에 따라 체계적인 전략의 실행보다 이를 직접적으로 해결하려는 전략 형태를 보여주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협력업체와의 관계요인이 환경경영 기반구축전략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핵심전략화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기업과 관련된 협력업체와의 상호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여 제품품질에 환경에 부응하는 최적화 제품이 생산될 수 있도록 관계개선을 하는 등의 노력은 핵심전략을 이끌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이미 협력업체와 환경관련 법을 파악하여 이에 대응하기 위한 의견을 교환하거나 환경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공급업자와 지속적으로 협력하는 등의 노력은 이미 환경의 도입이 순차적으로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음에 따라 기반구축전략에는 이어지지 않고 직접적인 핵심화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다섯째, 환경경영 기반구축전략이 핵심전략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중소규모의 기업체에서의 환경경영의 도입에 있어 전략의 실행은 1차적으로 조직내부의 환경경영을 수행하는데 있어 불필요한 시스템을 개편하거나, 기업역량을 진단하는 등 일차적인 환경경영을 도입하는데 필요한 인프라가 구축되어 다음단계인 기업내부의 역량강화단계인 핵심전략화가 이루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환경경영 기반구축전략이 전략적 학습을 이끌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 환경경영 성과도 이끌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로써 환경경영 도입에 있어 기업내부의 기반을 구축하는 전략은 조직내부의 환경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학습하여 성과를 증대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전략 단계임을 시사하고 있다. 즉 이 같은 환경경영을 도입하는데 있어 기업내부의 시스템을 환경경영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적합하게 개편하는 것은 향후 지속가능 환경경영을 심화촉진시키는 핵심전략화의 기반이 될 수 있음으로 비록 성과적 측면은 핵심전략화보다는 낮게 나타나더라도 쉽게 여겨서는 안될 것이다.
여섯째, 기업의 지속가능 핵심전략화는 전략적 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핵심전략화가 지속가능 환경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핵심적인 역량을 구축하는 전략은 이미 타 기업과 차별적인 역량이 강화된 것으로 이를 통한 기업내부의 역량뿐만 아니라 자사의 지속경영 사례를 개발하거나 자체 지속가능 환경경영을 수행하는 자체도구를 개발하는 등의 역량이 강화되었음을 의미한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이 같은 핵심전략화가 구축되었을 때는 이를 조직내부의 공유와 학습을 통해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로써 성과도 증대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환경경영 기반구축전략이 지속가능 환경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보다 핵심전략화가 환경경영 성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나 기업내부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보다 핵심역량을 강화하여 이를 내ㆍ외부에 확산시키고, 사례를 개발하는 등의 핵심전략이 성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그 동안 지속가능 환경경영 사례를 통해서도 나타난 결과와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전략적 학습이 지속가능 환경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내부의 지속가능한 환경경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학습이 강화 될수록 기업의 성과도 증대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의 환경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기업내부의 환경경영을 수행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의 강화와 유연한 조직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자체 환경경영의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노력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 같은 전략을 바탕으로 한 학습의 효과가 직접적인 성과를 이끌기 때문이다.|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enterprises’ environmental management that derives from environment-related market factors, consumer’s environmental sensitivity, government's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partner relationship factors. Moreover,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s the above-mentioned factors have on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and the succeeding causal relationship of how environment strategy regarding environmental management transcends its form to strategy implementation and further to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General manufacturers that require relatively advanced environmental technology, non-manufacturers involved in the high-tech industries, and administrators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sectors were surveyed for the study. In order to sustain a reliable representation of responses, administrators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agers were restricted to be selected on a one-per-enterprise basis. A total of 2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15 were collected. Additional 18 were dropped due to inadequate responses. Hence, the final analysis was based upon 173 from manufacturers, and 24 from enterprises and non-manufacturers.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environment-related market factors of enterprises showed significant impacts on environmental management environment strategy amongst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but not on strategy implementation. In response to the environment-related market changes that encompasses enterprises, enterprises are gearing their attention towards systemic changes which are believed to lead to successful environmental management. However, this study has shown that even if environment-related market factor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introduction and boosting awareness and interests of green products, the factors would be unable to contribute to strategy implementation. Therefore, small-to-medium sized enterprises should prioritize strategic introduction of sustainable environmental management that would built a robust environment strategy that would contribute to intra-systemic changes and acceptance necessary for successful applications of the enterprise’s environmental management.
Secondly, while consumers’ environmental sensibilit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environment strategies, the sensibility yielded no effects on strategy implementation.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higher the sensibility of consumers, the higher the motivation of considering corporate administrational changes. However, despite the intense competition of producing green products or engaging in differenti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within the industry, this fervent commitment does not reach far enough to transcend as a strategy implementation. Additionally, the impact consumers’ sensibilities have on the environment strategie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was shown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impact environment-related market factor had on environment strategies, which could further be interpreted that the core reason enterprises commit themselves in environmental management is due more to the threat recognized by the fierce competition within the industry rather than the sensibility contributed by consumers.
Third, while government's environmental regulations yielde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terprises’environmental environment strategies, the regulations did have effects on strategy implementation. This indicates that more stringent government intervention and legislation imposes paramount pressure on enterprises. Small-to-medium sized corporations especially, are more prone to catering to and adjusting its strategies to governmental regulations rather that composing its own organizational system. Therefore, as far as small-to-medium sized enterprises are concerned, the stricter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the more likely these enterprises would omit the preparation process of entering successiv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execute environmental activities that are aimed to strengthen strategy implementation through direct contacts and collaboration with external networks and academic-industrial corporations. This indicates the small-to-medium sized enterprises’ tendency of finding alternative of committing in environmental management through direct strategic forms, rather than adjusting its organizational strategie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external coercive pressure.
Fourth, while partner relationship factors yielded no effects on environment strategies, the relationship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trategy implementation. This reveals the fact that strategy implementation stimulate efforts of invigorating relationships in order to optimize product production complied by the standards of environmental qualifications, by increasing the mutual beneficial relationships between enterprises and its partners.
Fifth, environment strategy on environmental management yielded significant effects on strategy implementation. The results point out that the first attempted execution of small-to-medium sized enterprises’ environmental strategies successfully reached its strategy implementation level that requires internal fortification of corporate competencies that follows the necessary construction of environment strategy such as fulfilling its reformation on unnecessary or outmoded systems, or assessment of corporate competency. Additionally, environment strategy on environmental management not only guide to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but also further lead to heightened sustainable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This indicates that internal environment strategy is a vital strategic procedure that promotes both awarene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boosts performances through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Sixth, the strategy implementation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Additionally, strategy implementation had significant impact on performance. The result points out that the fact that an enterprise voluntarily promoting strategies to brace core competency already indicates that the enterprise achieved a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compared to other corporations, and that, through this, the enterprise not only reinforces its internal competency, but also fortifies its organizational and systemic tools that ensure sustainable managerial development and enduring stable environmental management. Therefore, an enterprise’s strategy implementation was shown to be demonstrated through the enterprises increasing efforts of expanding the exchanges of environment-relevant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Consequently,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leads to successful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s. Moreover, the effects the strategy implementation has o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were shown to be greater than those of the environment strategy, further emphasizing the greater impacts strategy implementation imposes through underpinning the core competency and further expanding internally and externally, than focusing solely on constructing internal systems. This is a common and consistent trait illustrated through previous exemplary cases of successful sustainable environmental management.
Lastly,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had positive effects on sustainable company performance. This result indicates that strengthened company performance intended to increase the acceptance of sustainable environmental management within a company is directly correlated to the performances of the enterprise.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contemporary environment-related sustainable enterprise performance, strengthened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flexible organizational system, feasible within the enterprise, would play a key underlying feature accompanied by various commitment and efforts that would consolidate a strategy implementa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This is because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effectiveness that bases its fundaments through this form of strategy is in line with yielding direct outcome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Alternative Author(s)
Moon, Sang Ok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김종호
Awarded Date
2010-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 1 장 서 론 1

제1절 문제의 제기 1
제2절 연구의 목적 4
제3절 연구의 구성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제1절 기업의 환경경영과 지속가능 발전전략의 이론적 고찰 8
1. 환경경영의 개념 8
2.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발전전략 26
3. 국내ㆍ외 선진기업의 환경경영 사례 35
제2절 환경경영성과 및 기업성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 41
1. 환경경영성과의 개념 41
2. 기업성과의 개념 46



제 3 장 연구방법 48

제1절 연구모형의 설계 48
제2절 가설의 설정 49
1. 기업요인과 환경경영전략 및 실행 49
2. 소비자요인과 환경경영전략 및 실행 50
3. 정부요인과 환경경영전략 및 실행 52
4. 공급자요인과 환경경영전략 및 실행 54
5. 기업의 환경경영전략과 환경경영성과 및 기업성과 55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59
1. 표본의 대상 및 자료의 수집 59
2. 분석방법 59
제4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61
1. 환경관련 이해자집단요인 61
2. 기업의 환경경영전략과 실행 62
3. 환경경영성과 및 기업성과 63


제 4 장 실증분석 65

제1절 기초자료 분석 65
1. 표본의 특성 65
제2절 측정도구의 정제 및 평가 72
제3절 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73
1.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 73
2.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도 검정 78
3. 구성개념의 판별타당도 검증 80
제4절 가설의 검증 85
1. 구조모형의 검증 85
2. 연구가설의 검증 86

제 5 장 결 론 93

제1절 연구요약 및 시사점 93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장래연구과제 98

참고문헌 100

설문지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문상옥. (2009). 환경경영 전략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65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968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0-01-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