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태일
Issued Date
2009
Abstract
국 문 초 록


존엄사의 개념은 논자의 입장에 따라 유사 개념인 ‘치료중단’, ‘의사조력자살’ 등과 혼재되면서, 종래의 개념인 안락사의 일반적 분류유형과 정확하게 합치하지 못하고 그 의미도 변함에 따라 유형화 및 입법적 대책 마련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존엄사(death with dignity)’란 “죽음에 직면한 환자가 품위 있는 죽음을 맞도록 하기 위하여 생명유지조치를 중지하는 것” 또는 이와 유사하게 “의식회복의 가능성 없는 식물인간에 대하여 그에 부착된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여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유지하면서 죽음을 맞게 하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기존의 안락사의 찬성론의 입장에서는 무조건적인 생명유지가 인간존엄에 상응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에 임박한 환자의 견딜 수 없는 고통을 덜어 주는 것도 존엄하게 죽을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안락사 반대론자들은 사회빈곤층, 노인들과 같은 의료의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의도와는 달리 가족들의 의사나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죽어갈 것이라는 점에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8대 국회에서 발의된 ‘존엄사’ 관련 법률은 「존엄사법안」(신상진의원대표발의), 「삶의마지막단계에서자연스러운죽음을맞이할권리에관한법률안」(김세연의원대표발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관한법률안」(김충환의원대표발의)이 있었다.
‘존엄사법안’에서의 존엄사 허용 행위는 “연명치료 보류 또는 중단, 응급의료처치의 보류 또는 중단”이고, ‘삶의마지막단계에서자연스러운죽음을맞이할권리에관한법률안’의 존엄사 관련 허용 행위는 “생명연장조치의 중단”이며, ‘호스피스·완화의료에관한법률안’의 존엄사 관련 허용행위는 “심폐소생술 등 생명연장치료거부 의사표시의 존중 및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의 이용”이라 할 수 있다.
존엄사 입법화를 위하여는 다음의 입법방향 및 정책과제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회복불능상태의 환자’ 또는 ‘말기상태의 환자’의 판정은 그 근거가 될 수 있는 의학적 판단의 기준을 명확한 절차와 함께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치료중단의 허용 여부를 둘러싼 논의도 중요하지만, 허용한다면 어떠한 기준과 요건 및 절차하에 치료중단을 인정할 것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심의기구의 설치 및 그 기구의 책무 및 지원사항에 대하여도 구체적으로 논의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의식불능의 환자의 의사를 대행하기 위한 대리인의 동의권에 대한 법적 근거의 마련이 필요하고, 말기환자가 아니더라도 의식불능이 될 경우를 대비하여 의사표시의 기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넷째, 무의미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에도 ‘치료중지의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필요하며, ‘뇌사판정기준’, ‘명확한 회복불능의 판정기준’,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판정기준’ 등을 먼저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존엄사 허용 이전에 치료중단의 관행을 제도적으로 인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치료목적보다도 ‘삶을 마감하는 과정’을 도와주는 호스피스에 대한 제도화 방안도 존엄사 입법과 더불어 검토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Death with Dignity
Alternative Author(s)
KIM TAE IL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법학과
Advisor
김병록
Awarded Date
2010-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제2장 일반론적 고찰 5
제1절 생명권 일반론 5
1. 생명권의 개념과 연혁 5
가. 생명권의 개념 5
나. 생명권의 연혁 7
2.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법적 성격 10
가.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10
나. 생명권의 법적 성격 11
3. 생명권의 주체와 내용 13
가. 생명권의 주체 13
나. 생명권의 내용 15
제2절 존엄사 일반론 19
1. 존엄사의 개념과 비교개념 19
가. 안락사 21
나. 간접적 안락사 24
다. 의사조력자살 24
2. 존엄사의 중요한 요소들 25
가. 적극적 작위와 소극적 부작위의 구분상의 문제점 26
나. 자의적 안락사로서의 존엄사 28
다.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자기결정권 29
라. 생명에 대한 사전유언제도 32
마. 의학적 미란다고지의 정책적 필요 33
바. 연명치료중단의 가능성 34

제3절 생명권의 관점에서 바라본 존엄사 34
1. 일반적인 생명권 제한 가능성 34
2. 특수신분관계의 생명권 제한 가능성 36
3. 생명권 제한의 현실적 문제 37
가. 생명에 대한 자기결정권 37
나. 존엄사와 생명권 39

제3장 존엄사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42
제1절 각국의 입법례 42
1. 미국 42
2. 독일 43
3. 일본 44
4. 호주 45
5. 네덜란드 45
제2절 각국의 판례의 변화 46
1. 미국 46
가. 문제적 상황 46
나. 적극적 안락사 47
다. 소극적 안락사 48
라. 검토 49
2. 독일 50
가. 문제적 상황 50
나. 판례 51
3. 일본 53

제4장 한국에서의 존엄사 논쟁 56
제1절 학설의 대립 56
1. 찬성론 56
가. 자기결정권(self-determination) 56
나. 자비, 연민 그리고 고통치료 58
2. 반대론 59
가. 남용의 위험(Slippery Slope) 59
나. 생명권에 대한 침해 61
제2절 판례의 동향 62
1. 보라매병원 사건 62
가. 사실관계 62
나. 1심 판결 요지 63
다. 2심 판결 요지 64
라. 대법원 판결 요지 67
2. 세브란스병원 김할머니사건 69
가. 사실관계 69
나. 서울서부지방법원의 판결 69
다. 서울고등법원의 판결 70
라. 대법원의 판결 71
3. 세브란스 김할머니 사건 판결 평석 71
가. 쟁점의 정리 71
나.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상대성 73
다. 소극적 안락사로서 존엄사의 허용요건 75
라. 비자발적 안락사는 허용되는가? 76
마. 헌법적 권리로서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 77
제3절 존엄사 입법의 문제와 비판 - 가칭 '존엄사법'안의 주요내용 및 검토 79
1. 경실련의 입법청원의 취지 79
2. 의원발의안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79
가. 제안의 이유 80
나. 주요내용 80
3. 비판적 검토 81
가. 추상적 '말기상태'를 '명백한 말기상태'로 구체화의 요청 81
나. 개념상 '말기환자'의 판단기준을 더욱 구체화함이 필요 82
다. '의학적 판단', '단기간' 등의 구체화가 필요 82
라. 가칭 '존엄사법'안 제29조의 '비례성의 원칙'에 비추어 위헌 가능성 83

제5장 결론 및 논의의 정리 84

참고문헌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김태일. (2009).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59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954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0-01-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