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국 서원건축의 조영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상선
Issued Date
2009
Abstract
본 연구는 서원건축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 연구로 서원의 건립입지와 좌향 그리고 배치를 비롯하여 서원의 구성 각 건축물의 평면과 구조를 구명하고 이를 토대로 主理派파와 主氣派의 지역적 배경이 된 畿湖地域과 嶺南地域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 서원의 造營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 번째 서원의 장소성과 입지로 서원이 건립된 장소는 配享者와 깊은 관련성을 갖는다. 서원의 건립 초기인 16세기 중반에 건립된 서원의 경우 고향, 강학공간, 낙향지 등 배향된 선현과 깊은 관련성을 갖고 있었으나 17세기 중반이후 서원이 급격한 증가로 그 관련성이 점차 흐려지고 있다.
입지는 마을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마을 독립형태와 마을 인접형태로 나타났고, 마을 지형에 따른 입지적 특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서원 입지의 결정은 인물과의 관련성 보다는 지형과 풍수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전통건축의 일반적 입지 선정기준이 적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부가적으로 강학과 逃避이라는 상반된 목적은 입지의 다양성으로 표현된다.
좌향의 경우는 서원이 마을과 밀접관 관련성을 갖고 있어 마을의 좌향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서원의 배치유형은 후강당형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고 다음으로 전강당형 재사생략형 강당생략형 순으로 나타났다.
전강당형과 강당생략형의 경우 강학보다 제향위주의 공간 구성으로 전라도와 경상도 그리고 충청도 지역에 많은 분포를 보이는 유형이며 강당생략형의 경우 동서재의 규모가 다소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후강당형의 경우는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형태로 강학위주의 공간구성을 하고 있으며 경북과 경남지역에서 집중적으로 건립되었다.
재사생략형의 경우 경북지역과 전남지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사당과 강당 이외의 건축물이 건립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서원 기능이 약화되었다.
이와 더불어 배치 축의 유형은 강당영역과 사당영역이 형성하는 축의 일치여부를 기준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것으로 경상도지역은 직선축과 분할축 그리고 병렬축이 고르게 분포되는 반면 전라도와 충청도 경기도의 경우 진선축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셋째 畿湖地域과 嶺南地域서원에서 나타난 차이점은 먼저 배치의 경우 강학공간 중 齋舍와 강당이 생략되는 형태와 전강당형이 주를 이루고 있어 강학보다 제향위주의 공간구성인 기호지역에 반해 영남지역 서원은 후강당형으로 강학공간을 넓게 확보하고 장판각과 루 등의 부속건축물을 다수 건립하여 강학위주의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영남지역의 서원은 장판각 장서각 樓를 비롯하여 정자와 별사 그리고 재실 등 다수의 부속건축물을 건립하였다. 또한 재실과 사당의 평면 형태에서도 차이점을 찾아 볼 수 있는데 먼저 재실의 경우 규모는 3칸으로 동일하나 기호지역은 3칸이 모두 방으로 구성된 형태가 주를 이루는 반면 영남지역은 마루와 방이 좌우로 나뉘는 편마루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사당의 경우 기호지역은 전면에 퇴칸을 갖는 형태로 정면 3칸 측면 1.5 또는 3칸이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 영남지역은 퇴칸이 없는 형태로 측면 칸수가 정수로 구성된 형태이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onstuctions of Seowon Arhitecture in Korea
Alternative Author(s)
Lee, Sang S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박강철
Awarded Date
2009-08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2
3. 연구사 9
4. 용어의 정의 17
II. 서원의 의미와 역사적 고찰 24
1. 서원의 기원과 발전 24
2. 퇴계와 율곡의 서원관 30
1) 퇴계의 서원교육론 30
2) 율곡의 서원교육론 34
3) 퇴계와 율곡의 교육관의 비교 36
III. 대상서원의 건축적 특성 39
1. 장소성과 입지 39
1) 장소성 40
2) 입지 42
3) 소결 48
2. 배치유형 50
1) 전강당형 54
2) 후강당형 60
3) 강당생략형 69
4) 재사생략형 72
5) 병렬형 78
6) 소결 81
3. 구성요소별 건축물 84
1) 강학공간 88
(1) 강당 89
(2) 동․서재 107
(3) 장판각 117
2) 제향공간 120
(1) 사당 120
(2) 전사청 124
3) 루 127
IV. 지역별 서원건축의 조영 134
1. 입지 134
2. 배치 137
3. 공간구성요소 142
1) 강당 143
2) 재사 145
3) 사당 146
4. 소결 148
V. 결론 15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대학원
Citation
이상선. (2009). 한국 서원건축의 조영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35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851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0-03-0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