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전통 중층목조건축의 구성체계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신웅주
Issued Date
2009
Abstract
본 연구는 전통 중층목조건축의 선행연구와 이론고찰을 통하여 유형 개념에 대하여 정립하고 중층목조건축을 ‘積層構造方式’, ‘連續構造方式’, ‘折衷構造方式’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후 각종 근거와 수치적 비례를 통하여 重層木造建築에 대한 연혁과 건축적 특성 및 변화양상을 살펴 한국 중층목조건축의 계통을 기술사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며 연구의 결과를 통해 특정 시대와 건축물에 적용된 중층건축의 변화와 계획적 의도의 유추를 파악한 것으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營造法式≫에 의해 ‘閣’으로 설명되고 여러 층을 갖는 積層構造方式의 중층목조건축은 2개 이상의 屋蓋가 수직으로 중첩되어 다층의 외관을 갖는 목조건축 중 상하층의 연속된 고주가 아닌 平柱가 사용됨으로써 단위 층의 구조체계가 명확히 구획되는 방식이다. 積層木塔型의 중층목조건축은 정방형과 팔각형의 두 가지 형태가 파악되고 積層金堂型은 현존하는 사례가 없어 하부구조에 의해 그 평면 형태가 확인되는데 單室型과 內外陣型의 평면형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連續構造方式의 중층목조건축은 內陣高柱가 상층까지 연장되어 外陣柱로 구성되므로 별도의 平柱型 변주가 없으며 건물의 사면에서 상하층의 柱列이 수직으로 일치되어 있는 유형이다. 連續構造方式이 적용된 重層木造建築은 본채와 退間의 結構方式, 층의 사용 방법에 의해 ‘副階型’과 ‘層分割副階型’으로 구분할 수 있다.

折衷構造方式은 積層構造方式과 連續構造方式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층 연결 기법으로 상층의 外陣이 하층의 外陣 또는 高柱列과 단면상에서 수직으로 일치되지 않고 하층의 退樑에 세워짐으로써 連續構造方式의 副階型에 비하여 상층의 遞減率이 낮다. 상층의 외진을 이루는 平柱列은 하층의 기둥열과 수직으로 일치되지 않아 새로운 柱網에 형성된 뜬 기둥으로서 완전한 連續構造方式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積層高柱型은 내진고주로 구성된 부분은 連續構造方式, 內陣高柱부터 상하층의 外陣柱까지의 副階가 포함된 退間은 積層構造方式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 구조방식은 積層高柱型, 積層隅高柱型, 積層中央高柱型, 多積層高柱型의 구조방식으로 구분된다.

또한 창건 당시의 重層木造建築이 소실된 후 새로 재건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문헌, 發掘調査資料, 現場實測資料 그리고 4장의 구성 체계를 토대로 중층목조건축의 創建 原型과 건축적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다른 建築物址들에 대한 적용의 가능성도 검토하였다.

積層構造方式인 雙峰寺 大雄殿의 원형 검토 근거자료로 ≪新增東國輿地勝覽 卷40≫을 비롯하여 6건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連續構造方式인 道岬寺 大雄寶殿의 경우 ≪南遊錄의 道岬寺와 頭陀草≫외 5건의 자료를 참고하여 創建 당시와 변화과정에 대한 근거를 검토하였으며 4장에서 밝힌 連續構造方式의 副階型에 관한 구성 체계를 적용시켜 당 건축물의 원형 고찰에 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折衷構造方式의 寶林寺 大雄寶殿도 積層高柱型의 구성 체계를 검토하고 ≪寶林寺 重刱記≫의 기록들을 살펴 사찰과 大雄寶殿의 創建 및 重創 연대를 되짚어 보았다.

마지막으로 傳統 重層木造建築의 構成 體系를 밝히는 연구는 古代부터 朝鮮時代 목조건축의 平面, 架構, 意匠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理解와 硏究는 한국의 중층목조건축 뿐만 아니라 동질성의 建築文化를 공유해 왔던 중국과 일본을 위시한 동아시아의 木造建築에 대한 硏究도 竝行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omposition System of Traditional Architecture with Multi Roof
Alternative Author(s)
Shin Woong j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박강철
Awarded Date
2009-08
Table Of Contents
1. 緖論
1.1 硏究의 背景 및 目的 1
1.2 硏究의 方法 및 範圍 2
1.3 用語의 使用 5

2. 理論考察
2.1 重層木造建築의 槪念
2.2 重層木造建築의 形成과 展開 10
2.2.1 東洋의 遺構 事例 10
2.2.2 現存 東洋 重層木造建築 事例 32
2.3 先行硏究의 考察 54
2.3.1 重層木造建築에 관한 硏究 56
2.3.2 木塔에 관한 硏究 61
2.3.3 先行硏究 考察 및 硏究의 方向 66

3. 重層木造建築의 類型 및 分布
3.1 構造方式에 따른 分類 基準 68
3.1.1 獨立된 層構造 68
3.1.2 連結된 層構造 72
3.2 重層木造建築의 類型 分類 77
3.2.1 分類 槪念 77
3.2.2 各 類型의 명칭 78
3.3 重層木造建築의 分布 80
3.3.1 時代別 分布 84
3.3.2 地域別 分布 86
3.3.3 建築 用途別 分布 87

4. 重層木造建築의 類型別 構成 體系
4.1 積層構造方式 89
4.1.1 積層木塔型 90
4.1.2 積層金堂型 100
4.1.3 小結 106
4.2 連續構造方式 107
4.2.1 副階型 109
4.2.2 層分割 副階型 116
4.2.3 小結 126
4.3 折衷構造方式 128
4.3.1 積層高柱型 129
4.3.2 積層隅高柱型 144
4.3.3 積層中央高柱型 156
4.3.4 多積層 高柱型 166
4.3.5 小結 170

5. 重層木造建築의 類型別 特徵과 變化
5.1 槪要 173
5.2 雙峰寺 大雄殿-積層構造方式 174
5.2.1 禪宗佛敎와 木塔의 조영 174
5.2.2 沿革考察 176
5.2.3 造營時期 推定 178
5.2.4 建築的 變化 180
5.2.5 小結 187
5.3 道岬寺 大雄寶殿-連續構造方式 188
5.3.1 沿革 考察 188
5.3.2 造營時期 推定 189
5.3.3 建築的 特徵 191
5.3.4 小結 196
5.4 寶林寺 大雄寶殿-折衷構造方式 197
5.4.1 沿革 考察 197
5.4.2 造營 位置 推定 199
5.4.3 建築的 特徵 201
5.4.4 小結 206

6. 結論 208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신웅주. (2009). 전통 중층목조건축의 구성체계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32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845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0-03-0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