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아파트 조망경관의 인지 및 가치특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강호성
Issued Date
2009
Abstract
근래 경관계획은 계획과정에서 계획의 중요한 요소로서 자리 잡아 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 배경에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사람들의 지향성이나 가치관이 생활조건의 양적확보에서 도시미나 도시다움, 도시 이미지 등의 질적인 향상으로 변화됨이 있다.
그간 도시경관은 주로 공공의 관점에서 공공의 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형 경관이 중심을 이루는 경향이 강했으나, 최근에는 도시정체성을 나타내는 역사 환경이나 자연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조망경관이 중시되는 경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조망경관은 시각을 통해서 공공의 지점에서 도시의 대표적인 공유재산인 역사환경이나 자연환경에 대해 공유이미지를 갖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각을 통해 개개의 관점에서 자연환경을 조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조망권을 권리로 인정하는 추세로 변화되고 있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여수의 K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주동의 위치별로 조망경관의 특성과 만족도를 조사 분석함과 동시에 이의 재산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했는데, 이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미지에 대한 전체 평균선호도는 '보통'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조망점 별로는 아파트 배치상 1열에 위치한 조망점 5와 조망점 1은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 아파트 측면이나 2열에 위치한 조망점 2와 조망점 3, 조망점 4는 평균이하의 매우 낮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어서 아파트 배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2. 이미지별 평가척도에 대한 인지특성은 선호도가 가장 높은 O이미지의 경우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이 중 'v03(개방적인/폐쇄적인)', 'v10(넓은/좁은)', 'v16(자연적인/인공적인)' 순의 높은 긍정적평가도 있으나 'v14(집중된/흩어진)', 'v09(변화있는/단조로운)' 순의 평균이하의 긍정적 평가도 많게 나타나고 있으며, 선호도가 가장 낮은 D이미지는 'v14(집중된/흩어진)'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고, 나머지 항목은 'v03(폐쇄적인/개방적인)', 'v01(추한/아름다운)'과 'v10(좁은/넓은)', 'v16(인공적인/자연적인)' 순의 부정적 평가로 나타나고 있다.
3. 이미지평가 요인에 대해서는 이미지 선호도가 가장 높은 O이미지의 경우 요인 부하량이 높은 항목을 보면, v17(동질적인/이질적인), v12(조화로운/부조화로운), v16(자연적인/인공적인) 등의 '조화성' 요인과 v02(독특한/평범한), v04(쾌활한/한산한), v14(집중된/흩어진) 등의 ?쾌적성 요인, 그리고 v03(개방적인/폐쇄적인), v15(밝은/어두운), v10(넓은/좁은) 등의 '개방성' 요인이 높은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미지 선호도가 가장 낮은 D이미지는 v03(개방적인/폐쇄적인), v01(아름다운/추한), v10(넓은/좁은), v15(밝은/어두운) 등의 '개방성' 요인과 v17(동질적인/이질적인), v18(웅장한/왜소한), v16(자연적인/인공적인) 등의 '경관성' 요인, 그리고 v04(쾌활한/한산한), v11(아늑한/황량한), v09(변화있는/단조로운) 등의 '쾌적성' 요인이 높은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4. 조망경관 이미지 선호도와 인지 척도간의 상관관계는 O이미지의 경우 '아름다운', '독특한', '개방적인', '자연적인' 등의 이미지의 형용사쌍이, D이미지는 '친근감있는' 이미지의 형용사쌍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이미지 선호도와 아파트가격과의 상관성은 선호도가 높은 1열 배치의 경우 면적과 층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평균적으로 중층(로얄층)을 기준으로 저층은 95.3%, 고층은 97.3%로 나타나고 있고, 2열 배치의 경우 중층(로얄층)을 기준으로 저층은 94.8%, 고층은 97.3%로 나타나고 있으며, 측면의 경우 층별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해안입지 아파트 배치에 있어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O이미지의 조망을 가질 수 있도록 배치에 주의가 필요한테, 특히 판상형 배치는 지양하고 탑상형 배치나 단지 내 통경구간 설정, 1열 아파트의 높이 제한 등 여러 위치에서 바다조망이 가능토록 하는 배려가 필요하나, 바다조망이 어려울 경우에는 산이나 원경의 도시가 조망되면서 개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배려도 필요하다.
아울러 차후에는 이를 토대로 해안입지 아파트의 배치나 높이에 대한 범위를 범위를 도시디자인의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함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Recent landscape planning shows tendency to be settled as an important factor of planning process, which has been based on the improvement in the standard of living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urban beauty, urbanity and urban image with the quantitative security of living conditions in people's orientation and value.
Urban landscape so far was focused on environmental landscape with public spaces from the public view, but recently it has been changed into landscape view with historical or natural environment showing urban identity. Landscape view is based on public image of historical or natural environment which are representative public properties of urban areas. But, it is also changed into trend to recognize the right to enjoy view as a civil right from individual perspectiv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landscape view by location of main buildings with K apartment houses in Yeosu and exhibit its property valu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preference of image was 'normal' and according to view points, view points 5 and 1 located on the first row of apartment house complex showed higher preference, but view points 2, 3 and 4 located on the side or the second row of apartment house complex showed very lower preference below the average and the consideration of apartment house layout is needed.
2.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scales by images showed that O image with the highest preference was evaluated as very positive, followed by ‘v03 (open/closed)’, v10 (wide/narrow)’, v16 (natural/artificial), but there were positive evaluations below average such as v14 (concentrated/scattered)‘, v09(varied/monotonous)’. D image with the lowest preference showed positive evaluation in v14 (concentrated/scattered)’, but other items including v03 (closed/open)’, ‘v01 (ugly/beautiful)’, v10 (wide/narrow)’, and ‘v16 (artificial/natural) obtained negative evaluation.
3. According to items of high factor load in O image with the highest image preference in image evaluation factors, high explanatory adequacy were found in 'harmony' factors such as v17 (homogeneous/heterogeneous), v12 (harmonious/disharmonious), and v16 (natural/artificial), in 'comfort' factors such as v02 (unique/common), v04 (cheerful/quiet), and v14 (concentrated/scattered), and in 'openness' factors such as v03 (open/closed), v15 (bright/dark), and v10 (wide/narrow). D image with the lowest image preference had higher explanatory adequacy in 'openness' factors such as v03 (open/closed), v01 (beautiful/ugly), v10 (wide/narrow), and v15 (bright/dark), in 'landscape' factors such as v17 (homogeneous/heterogeneous), v18 (grand/small), and v16 (natural/artificial), and in 'comfort' factors such as v04 (cheerful/quiet), v11 (cozy/dry), and v09 (varied/monotonous).
4. Correlations between landscape view image preferences and cognitive scales were significant in adjective pairs of 'beautiful', 'unique', 'open' and 'natural' images in O image and in those of 'intimate' image in D image.
5. Correlations between image preference and apartment house price showed difference by area and story in case of the first row layout with high preference. Lower story was 95.3% and higher story was 97.3% based on middle story (royal story), in the second row layout, lower story was 94.8% and higher story was 97.3% based on middle story (royal story), and side layout showed little difference by stories.
Accordingly, attention to layout with view of O image with the highest preference in apartment house layout with coastal location is needed, and in particular, plank type should be sublated and tower type layout or limitation of the height of apartment complex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residents view the sea from several locations and layout to make them feel openness through mountain or distant urbanscape is also required.
Further the range of layout and height of apartment complex located on the coast must be set as the guideline of urban design.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on and View of Landscape Apartment Housing
Alternative Author(s)
Kang, Ho-Seong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조용준
Awarded Date
2009-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3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4 선행 및 관련연구의 동향 8

2. 도시 조망경관의 이론
2.1 도시경관의 의미와 특성 17
2.2 도시경관의 유형과 대상 21
2.3 조망경관의 특성과 가치 26

3. 조사대상의 일반적 현황 및 특성
3.1 조사대상 도시의 물리적 현황 31
3.2 조사대상 아파트의 일반적 현황 37
3.3 조사대상 아파트의 조망경관 현황 44

4. 조망유형별 선호도 및 인지특성 분석
4.1 실험개요 52
4.1.1 실험방법 및 시기 52
4.1.2 평가자의 일반적 속성 58
4.2 조망유형별 이미지 선호도 및 인지특성 분석 59
4.2.1 조망유형별 이미지 선호도 분석 59
4.2.2 조망경관 이미지별 인지특성 분석 72
4.3 이미지평가 요인의 분석 87

5. 조망경관 선호도와 아파트가격과의 상관성
5.1 조사대상 아파트의 위치별 가격 현황 112
5.2 조망경관 선호도와 아파트가격과의 상관성 118

6. 결론 122

참고문헌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호성. (2009). 아파트 조망경관의 인지 및 가치특성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29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840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8-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