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공공디자인의 평가척도어 추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희정
Issued Date
2009
Abstract
국문초록

공공디자인의 평가척도어 추출에 관한연구

정 희 정
지도교수 윤갑근
디자인경영학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한국의 가로환경은 사적영역의 중심에서 공적영역으로, 경제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중심이 빠르게 이동되고 있어 한국의 디자인 역량으로 볼때 선진 도시국가 보다 뛰어난 디자인이 적용된 공공시설물이 가로환경에 속속 등장할것이다.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식별성, 필요성, 관리성, 심미성, 안정성, 장소성, 기능성, 문화성, 조형성등을 바탕으로하여 이루어지는 공공매개체들은 이와같은 척도어외에 반드시 도덕과 윤리, 질서, 예절등의 철학적 문화적요인들이 함께하여야 한다. 한국의 가로환경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보다 인간적인 인간을 위한 인간중심적 공공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와 국외 선진도시국가 16개국 40개의 도시를 직접방문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가로환경에서 보여지는 공공디자인 매개체들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전문가집단의 심층면접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디자인 평가 척도어를 개발하고 선호도를 분석하여 이를 전문가집단과 비전문가집단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공공디자인에 대한 인식특성과 공공디자인개체물에 대하여 공공디자인 평가척도어를 추출하여 공공디자인 매개체의 개발과 설정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공공디자인의 정의,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유래 그리고 공공디자인의 현대적 의의와 공공디자인의 변천과 유형에 대하여 살펴보고 공공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 를 고찰하였다.

제3장 에서는 한국에서의 제도와정책 그리고 공공디자인과 문화를 통하여 공공디자인의 현황을 조사하고 공공디자인에 관해 알아보며 공공디자인을 위한 디자인전략으로서 유니버셜디자인과 배리어프리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4장 에서는 국내·외 국가 들의 직접방문 사례조사를 실시한 사례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한 국내·외 공공디자인 선행 사례를 서술한다.

제5장에서는 공공디자인의 인식도와 전문성을 고려하여 크게 전문가집단과 비전문가집단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의 피드백 정보에 의하여 생긴 수치들을 수집하고 통계 정리하여 통계수치 및 체계적으로 상호간의 관계를 ?O아내고 나아가 결론을 내리고 평가분석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12.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공공디자인에 대한 제도와 정책적 측면, 디자인 측면, 교육․문화․사회적 측면에서의 전문가 집단과 비전문가 집단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한 공공디자인 평가척도어 추출을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한 공공디자인 평가척도어 성향으로 본 선호도 조사를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다.

제6장 결론에서는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한 공공디자인 소분류로 8개의 영역을 설정. 즉, 도시환경, 공공건축 및 실내환경, 교통시설, 편의시설, 공급시설, 정보매체, 상징매체, 공공철학에서 평가척도어 성향으로 본 선호도 조사를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여 가장 많이 추출된 평가척도어로 문화성, 소통성, 심미성, 조화성, 관리성, 장소성, 환경성을 추출하였다

아울러 디자인에서 진행되어진 사적영역의 중심에서 공적영역으로, 경제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디자인 모델을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공공디자인 매개체의 개발과 설정에 있어 기초자료로 제언한다. 아울러 훌륭하고 뛰어난 공공시설물의 활용에 있어 남을 위한 배려와 친절 양보와 질서의식이 함께 하였을때 비로서 한국의 바람직한 공공디자인이 정착될 것이며 세계의 선진 도시국가들의 경쟁에서 우위에 서게 될것이다.

본연구의 기대효과는 도심공간내 공공디자인 매개체의 조화성을 바탕으로 올바른 적용이 적립되고 도시환경과 인간이 조화롭게 소통하여 한국의 브랜드 인지도를 알리며 도시국가의 경쟁력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데 기본지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Alternative Title
Extraction of Evaluation Criterion Descriptions for Public Designs
Alternative Author(s)
Jeong Hee Jeong
Affiliation
디자인경영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Advisor
윤갑근
Awarded Date
2009-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3 연구 개념도 7


제2장 공공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2.1 공공디자인의 정의 8

2.1.1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유래 8

2.1.2 공공디자인의 현대적 의의 16



2.2 공공디자인의 변천과 유형 20

2.2.1 한국의 공공디자인 변천사 20

2.2.2 공공영역과 공공성의 인식변화 22



2.3 선행연구 27



제3장 한국의 공공디자인 현황

3.1 제도와 정책 29

3.1.1 디자인 정책현황 29

3.1.2 문화도시를위한 공공디자인 정책 31

3.1.3 공공디자인관련 입법정책 35


3.2 디자인 39

3.2.1 공공디자인과 문화 39


3.2.2 유니버셜디자인 43

3.2.3 배리어프리 47



제4장 국내·외 공공디자인 사례조사

4.1 조사 개요 52

4.1.1 조사대상지 52

4.1.2 조사방법 53


4.2 사례조사 53

4.2.1 공공 공간디자인 53

4.2.2 공공 시설물디자인 86

4.2.3 공공 매체디자인 117

4.2.4 공공철학 140


4.3 선행사례 146

4.3.1 국내 선행사례 146

4.3.2 국외 선행사례 147


4.4 소결 170



제5장 공공디자인 평가척도어 추출

5.1 분석방법 개요 172

5.1.1 설문대상자 선정 172

5.1.2 분석방법 174


5.2 분석결과 175

5.2.1 설문조사 분석 175



1) 제1차 전문가집단 예비 설문분석 175

2) 제2차 전문가집단 심층면접 설문분석 188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2

5.2.2 분석그룹의 특성 205

1) 제도 및 정책측면 인식 205

2) 디자인측면 인식 212

3) 교육·문화·사회적측면 인식 216

5.2.3 평가척도어 추출 218

1) 국내사례를 바탕으로한 평가척도어 추출 218

2) 국외사례를 바탕으로한 평가척도어 추출 229



5.3 소결 241

5.3.1 국내사례 평가척도어 추출종합 241

5.3.2 국외사례 평가척도어 추출종합 243

5.3.3 공공디자인 평가척도어 추출 245




제6장 결론 248


참고문헌 254


부 록 26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희정. (2009). 공공디자인의 평가척도어 추출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24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832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8-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