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국농업인의 요추전만각 편평화에 대한 단면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송한수
Issued Date
2008
Abstract
국문초록

연구목적
한국 농업인의 요추전만각의 편평화와 관련있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06년 5월부터 2008년 6월 사이에 한국 전라남도 지역의 농민 425명(남자 158, 37.2%, 여자 267, 62.8%)을 대상으로 요추 방사선 촬영과 직접면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요추방사선 촬영사진에서 요추전만각, 요추측만각, 요추 추간판 간격, 압박골절의 정도를 계측하였으며, 설문조사에서 농작업 자세, 사회 인구학적 요인, 건강행동요인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밝혀진 변수로 최종모델을 설정하여 로짓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요추전만각이 20도 이내이면서 천추경사도가 20도 이내인 경우를 '편평화된 요추(flat-back)'으로 정의하여, 한국의 농촌 일부 지역에서 425명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단면연구 결과, 여성농업인의 18.4%, 남성농업인의 3.8%에서 '편평화된 요추'를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17.0%, 70대가 19.3%를 차지했으나 40대와 50대에서도 8.1%, 6.3%를 차지하였다.
'편평화된 요추'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고 성, 연령, 요추 추간판 간격 감소, 중량물작업과 쪼그려 앉는 작업을 조합하여 만든 '편평화된 요추'의 위험작업(model 1)을 독립변수로 하여 로짓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편평화된 요추'의 Odds ratio는 남자를 기준으로 여자의 odds ratio가 4.15였고, 연령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추간판 간격의 감소는 정상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33%-66%의 감소를 보인 경우 odds ratio는 3.87, >66% 감소를 보인 경우 odds ratio는 6.76이었다. 농작업 자세 'model 1'은 순위척도 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순위척도 3의 odds ratio는 3.26이었다. 순위척도 1(OR 1.13)과 순위척도 2(OR 2.33)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양-반응관계를 보였다.

결론
농업인의 '편평화된 요추'는 요추의 퇴행성 변화와 동반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위험도가 높았다. 그리고 농작업과 관련된 요인으로 중량물 작업은 적으면서 쪼그려 앉아서 수행하는 작업이 종사하는 비중이 많은 경우에 위험도 높았다.|Abstract
Radiological Flatness of Lumbar Lordotic Angle in Korean Farmers

Song han soo
Advisor : Prof. Lee chul gab Ph. 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d School of chosun university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cross sectional study was to determine related factors with flattening of lumbar lordosis in Korean Farmer

Methods Between june 2006 and july 2008, 425 farmers, men 158(37.2%), women 267(62.8%) in Jeolanamdo,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about working posture, social factors, health behavioral factors from interview survey by structural questionnaire. Lumbar X-ray was used to measure lordosis angle, scoliosis angle, compressive fracture and lumbar disc narrowing. 'flat back' defined that lumbar lordosis was measured below 20 degrees

Results Flat back is higher prevalence in women than men(OR 4.16). flat back dependent on 'intervertebral disc narrowing in lower lumbar spine'(33-66% OR 3.87, >66% 6.77) and 'low lifting/pushing/pulling work and high awkward lumbar posture' (nearly not, >50% OR 3.26). The results suggest a dose-response effect

Conclusions lumbar degenerative change in lower lumbar spine, sex 'low lifting, fulling, pushing work and high squatting posture work' associated with flat back. Age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lat back

Keywords Low back pain, Lumbar lordosis, Farmer, Korea, Static lumbar flexion
Alternative Title
Radiological Flatness of Lumbar Lordortic Angle in Korean Farmers
Alternative Author(s)
Hansoo, Song
Affiliation
일반대학원 의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
Advisor
이철갑
Awarded Date
2009-02
Table Of Contents
제 1장 서론 5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5
제 2절 연구의 목적 6
제 3절 주요 연구 내용과 분석방법 8
제 4절 용어의 정리 9

제 2장 이론적 배경 11
제 1절 요추질환의 병태생리 11
1. 요추의 정상 만곡의 태생학적 의미 11
2. 뭇갈래근과 척추안정성 12
3. 요추의 운동을 담당하는 근육 13
4. 요추전만굴곡의 유지기전 14
5. 근육위축의 요인과 기전 15
6.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관여하는 요인 17
7. 인대의 특성 18
8. 요추전만굴곡의 역할 : Follower load 20

제 3장 연구방법 22
제 1절 연구참여자 22
제 2절 연구방법 25
1. 설문조사 방법 25
2. 요추 방사선 계측 25
3. 편평화된 요추의 정의 34
4. 분석방법 35

제 4장 연구결과 36
제 1절 방사선 계측 지표들의 성별에 따른 결과 36
제 2절 척추각도의 내적 상관관계 40
제 3절 X-ray로 계측한 변수들과 심한 요통과의 상관관계 42
제 4절 사회 인구학적 변수 및 건강행동변수들과 편평화된 요추와의 관계 44
제 5절 성적 차이에 따른 사회 인구학적, 건강행위, 작업형태별 특성 47
제 6절 '편평화된 요추'의 위험노출 modeling 50
제 7절 '편평화된 요추'와 농작업 관련요인 52
제 8절 종합 54
1. 엑스레이 계측변수들과 '편평화된 요추'의 관계 54
2. 주요 변수들과 '편평화된 요추'의 관계 56

제 5장 논의 59
제 1절 허리 숙이기와 쪼그려 앉기에 대한 분석 59
제 2절 종합결론에 대한 해석 64
제 3절 ‘편평화된 요추’를 유발하는 기전 66
제 4절 이 연구의 강점과 한계점 70
제 5절 향후 연구과제 70

Acknowledgement 71
국문초록 72
참고문헌 7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송한수. (2008). 한국농업인의 요추전만각 편평화에 대한 단면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14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790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2-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