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국 북송시대 [선화화보(宣和畵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한방임
Issued Date
2008
Abstract
중국 북송시대 󰡔선화화보(宣和畵譜)󰡕 연구


본고에서는 북송의 대표적 화론서인 󰡔선화화보󰡕의 문헌적 가치와 그 화론적 경향 등을 검토하였다. 󰡔선화화보󰡕의 편찬에서 있어서의 정치적 배경과 함께 그 주도세력의 역할, 회화분류법으로서의 서술체계의 형성, 화가 품등론적 성격 및 회화사상 등을 다루었다. 다음으로, 󰡔선화화보󰡕에 나타난 북송시대 회화의 경향과 회화사상을 연구하였다. 그 한 예로 산수화 가운데 대세적인 흐름이라 할 수 있는 이성과 범관의 화법 등의 화법적 특징을 통해 산수화의 주된 경향을 고찰하였고, 그와 관련된 회화사상을 규명하였다. 그리하여 북송 사실주의회화의 성격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문인화론과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먼저, 󰡔선화화보󰡕에 대한 문헌적 가치를 검토하기 위한 일환으로, 󰡔선화화보󰡕의 편찬의 시기와 그 주도세력에 관해 서술하였다. 󰡔선화화보󰡕의 편찬은 송 휘종의 화학정책과 관련이 있다. 󰡔선화화보󰡕 서문에 나온 ‘선화2년(1120)’은 실제 󰡔선화화보󰡕 가 완성된 시기가 아니다. 󰡔선화화보󰡕가 완성되기 까지 무려 20년에 걸쳐, 송 휘종은 서화를 수집하고 이를 목록화하는 대편찬사업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선화화보󰡕 편찬의 주도세력에 관한 논의는 전반적으로 휘종의 화학개혁의 내용이나 그 속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의 활동에서 찾을 수 있다. 휘종은 화학개혁을 단행할 때에 그의 총신과 어전서화소의 서화박사들이 대대적으로 서화를 수집하였는데, 여기에 총신 채경과 동관, 문인사대부 미불 등이 참여하였다. 따라서 󰡔선화화보󰡕 편찬은 북송 황제지배체제의 성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같은 맥락에서 󰡔선화화보󰡕가 북송 화론서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또한 󰡔선화화보󰡕의 서술체재는 화문중심의 서술체제(일명 ‘畵門體制’)를 따르고 있다. 이러한 서술체제는 오대 이후 전문화가의 등장에 따른 회화장르의 발전에서 비롯되었다. 󰡔선화화보󰡕의 십문(十門)은 북송 초기 우주론에서의 만물생성원리를 나타내는 송대 이학체계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형성되었다. 한편, 화문체제에 회화 품등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 화가를 품등함에 있어 시대와 화파를 중시하여 회화사적 가치와 맥락을 중시하였다. 그리하여 󰡔선화화보󰡕는 대표적인 문인화론인 곽약허의 ‘기운비사론’을 부정하였다.
또한 󰡔선화화보󰡕는 곽약허가 당과 송의 회화를 차별화하였던 것에 반해, 󰡔선화화보󰡕에서는 송대회화의 우월성을 내세워 북송 말기에 회화적 발전과 변화를 인식하였다. 이에 󰡔선화화보󰡕는 북송 대표적인 산수화풍으로서 이성을 내세우는 한편, 이 이성화법이 오대 형호의 화법을 초월하여 북송시대 산수화풍의 변화를 가져왔다고 본다.
이성의 화법은 북송 중기 이후 그의 제자인 허도녕에 의해 계승되어 필세를 강조하는 필법적 발전을 가져왔다. 이러한 이성일파의 화법적 특징은 화가의 ‘필력’에 의한 화가의 회화적 표현을 중시하여 필력을 강조한 기운생동론을 주창하였다. 휘종의 화학(畵學)에서의 회화 품평기준도 또한 ‘필(筆)이 간결하고 의취가 온전한’ 회화를 설정하였다. 따라서 송대 회화가 형사와 신사를 겸비한 회화적 표현을 특징을 삼았다. 한편으로, 󰡔선화화보󰡕에서는 당시 문인사대부화의 필묵표현에서의 ‘묵희(墨戱)’에 반대하였다.
또한 󰡔선화화보󰡕에 나타난 북송 산수화 개념은 이성의 평원산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의 평원산수는 안개와 구름이 덮인 평원 가운데서 갑자기 안개가 흩어지고 구름이 걷히는 순간에 드러나는 광활한 대자연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이성의 자연법사상, 즉 우주만물의 이치를 가진 자연의 법칙을 인식하였다. 그의 사상은 산수서론에 나타난 “산과 물, 바다와 땅에서의 조화의 신수(神秀)와 음양의 명회(明晦)” 등을 표현하는 산수화의 정신과 일치한다. 이처럼, 󰡔선화화보󰡕에서의 이성의 산수관이 자연법에 따른 이치를 표현한 반면에, 범관 산수화에서의 전신론과 다르다. 범관은 화가가 그림의 ‘대상’에서 벗어나 화가의 ‘마음’을 그릴 것을 주창하여, 화가의 주체적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북송 사실주의 회화는 송대 철학의 인식체계의 영향을 받은 회화형태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로, 이성의 자연법에 따른 산수정신은 북송시대 회화의 문학화 경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평원산수화풍이 문학적 정취와 맥을 같이하는 대표적인 산수화풍이라고 할 수 있다. 이성 자신이 문학에도 뛰어난 화가였기에 시적인 정취에 대한 회화적 표현에 있어서도 능숙하였다. 한편, 북송회화의 문학화 경향은 ‘무성시(無聲詩)’개념에 나타난 천성론을 바탕으로 하였다. 왕유의 산수화의 경계도 또한 이러한 ‘천성론’과 결부되어 북송시대 시화일체화 사상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화가의 예술적 실천을 강조하였다. 화가의 창작행위에서 사물에 대한 객관적 인식, 즉 자연의 ‘性(본성)’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기 위해 ‘흉중에 구학이 있어야만’ 하는 화가의 예술적 실천을 요구하였다. 송대 철학자 소옹이 “사물로써 사물을 보는 것은 ‘성’이며, 나로써 사물을 보는 것은 ‘정’이다〔以物觀物, 性也. 以我觀物, 情也〕”라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소옹이 주장한 ‘사물로써 사물을 본다’는 것은 실제 자연의 말을 끌어들여 펼치는 것이다. 이는 바로 ‘성(性)’으로서 사물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위해서 ‘성(性)’이 ‘정(情)’보다 중요시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송대 회화는 기존의 문인화론 위주의 미학에서 벗어난 새로운 회화미학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송대 회화미학은 미불 등의 위진시대 고화(古畵) 의 전신개념에서 벗어난 새로운 회화미학을 형성하였다.

핵심어
북송, 휘종, 󰡔선화화보󰡕, 화문, 이성, 범관, 산수화, 소식, 시화일체, 문인화론 등.|

中國北宋时代關于≪宣和畵谱≫的研究

韓 芳 任

这本推究北宋代表地画论书󰡔宣和画谱󰡕的文献价值与其画论倾向. 于是检讨在󰡔宣和画谱󰡕编撰政治的背景和主导势力的角色,而以绘画分类法结成叙述体系, 其畵家品第的性质和繪畵史觀点等. 還有这本是研究北宋󰡔宣和畵谱󰡕的宋代绘畵傾向与其绘畵思想. 一个例,以代表北宋山水畵的李成和范宽画法为主要对象.从而,注视北宋写实主义绘畵的性格,及跟文人画论有关系.
首先,編纂与宋徽宗畵學改革政策有关连.因爲叙中的“宣和二年”徽宗畵學改革厉行, 使寵臣及御前書畵所的書畵博士, 大搜集全國各地的書畵. 於是让寵臣蔡京与董貫, 及文人畵家米芾等参预. 那磨,徽宗畵學改革與󰡔宣和画谱󰡕纂編有關宋代的皇帝權力, 而其宋代繪畵史的角色也可以依此类推.
且的叙述体系是畵門中心的叙述体系(畵門体系), 随着五代以後畵門和專門畵家的登場来了.特十个畵門(十門)出于宋儒學家邵雍的哲學-他是个宋代初宇宙論哲學家等, 受影响瞭從北宋初宇宙論家的萬物生成原理的宋代理學体系. 且夫畵門体系可能更有品第論的性格, 畵家們分等论時代和畵派, 所以重視其繪畵史的畵脈. 的品等論反对北宋代表文人畵論家郭若虛作的‘氣韻非師’說.
是对北宋绘畵批判的反拨的. 差別唐与宋畵之間, 更是强调把宋代繪畵优势. 而且认北宋末繪畵的发展变化情况. 󰡔宣和畵谱󰡕主张以宋代代表山水畵家为李成,李成成绩比五代荆浩画法优越,他是改变北宋山水畵风的. 北宋中期以后弟子许道宁继承李成画法,于是笔势雄强而画法向上.这个画法特色在于强调笔力的抒写表达,例如布置和畵题取舍选择.这就是说笔力兼备气韵生动.在徽宗画学的品评标准也是‘筆簡意全’. 因此,宋代绘畵的特色是形似兼备神似. 但󰡔宣和畵谱󰡕反对士人畵笔墨表现的‘墨戏’.
一边,󰡔宣和畵谱󰡕的山水畵概念有关李成平远山水画法. 他的平远山水有多作茫漠平远的晓雾.他致以茫漠大自然的神奇奥妙.在平远山水有深李成自然观,这就探求宇宙万物之理.他的绘畵观和北宋山水畵概念一致.因为山水叙论云"岳鎭川靈,海涵地負,至于造化之神秀,陰陽之明晦."如此,󰡔宣和畵谱󰡕李成的山水观相反范宽山水观-传身论.范宽山水畵出于物而师于心,就看重画家的自我主体.从而北宋写实主义绘畵是从北宋理学认识影响的绘畵形态.
还有,李成的山水自然观很有关北宋绘畵文学化倾向.可能平远山水画风和文学的诗意是一脉相传的.因李成自身能文学而长于抒写诗意.且夫宋绘畵文学化倾向基于无声诗概念的天性论.王维山水畵的意境也系于这个天性论,以结成北宋诗畵一体思想.
这儿,特别注重画家的艺术实践行为.在创作行为,为画家可能对其物象的客观认识,亦即识得自然之性,就应该胸怀有丘壑. 邵雍观物论云“以物观物,性也.以我观物,情也.” 这儿性更是高于情.而北宋绘畵美学摆脱文人画论为主,形成了独特的绘畵风格.

核心语
北宋, 徽宗, 宣和畵譜, 畵門, 李成, 范寬, 山水畵, 蘇軾, 诗畵一体, 文人画论.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Hsüan-ho hua-p'u (宣和畵譜) in the Northen Sung
Alternative Author(s)
Han, Bang Im
Affiliation
일반대학원 미학미술사학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Advisor
조송식
Awarded Date
2009-02
Table Of Contents
目 次

제1장 서 론.....................................................................1

제2장 북송시대 화론의 제 경향...........................................5
제1절 중국 화론사의 몇 가지 전환점에 대한 시론(試論)
제2절 북송 문인화의 발전과 그 화론 경향
1. 곽약허의 󰡔도화견문지(圖畵見聞志)󰡕
2. 소식의 제발론(題跋論)
제3절 북송 산수화의 발전과 그 화론 경향
1. 곽희의 󰡔임천고치(林泉高致)󰡕
2. 미불의 󰡔화사(畵史)󰡕
3. 한졸의 󰡔산수순전집(山水純全集)󰡕

제3장 북송 화론서 󰡔선화화보󰡕와 그 서술체계.................30
제1절 󰡔선화화보󰡕가 편찬되기 까지
제2절 󰡔선화화보󰡕의 서술체계와 그 내용
1. 화문체제의 성립과 그 배경
2. 화문의 등장과 품등론의 변화

제4장 󰡔선화화보󰡕에 나타난 북송 회화경향.......................46
제1절 송대 회화경향과 수묵산수화의 세계
1. 북송 말기의 회화사적 논쟁과 󰡔선화화보󰡕
2. 형호의 북송 수묵산수화와의 관계
3. 북송 산수화의 시원(始原)과 일격화풍의 관계
제2절 북송 수묵산수화의 전형-이성화풍을 중심으로
제5장 󰡔선화화보󰡕의 산수미학과 북송 예술관념.................68
제1절 북송 산수화의 의경과 산수미학
제2절 북송 이학체계와 북송 예술관념의 관계

제6장 󰡔선화화보󰡕에 나타난 북송시대 對外 회화교류........88
제1절 󰡔선화화보󰡕 「번족문」과 異民族 회화에 대한 인식
제2절 북송시대 고려․일본과의 회화교류
1. 고려와의 관계
2. 일본과의 관계

제7장 󰡔선화화보󰡕 연구의 의미와 평가.................................111

參考文獻.............................................................................12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한방임. (2008). 중국 북송시대 [선화화보(宣和畵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09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779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3-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