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설정과 적용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윤학
Issued Date
2008
Abstract
최근 우리나라는 대규모의 택지개발, 혁신도시, 기업도시 등 많은 뉴타운이 계획되면서 보다 쾌적하고 아름다운 명품도시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제도와 수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의 대표적인 것이 지구단위계획, 경관계획, 총괄계획가(MA, MP), 지자체의 디자인 지침 등이다. 이중 지구단위계획제도는 2000년에 도시계획법이 개정되면서 종전의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던 도시설계제도와 도시계획법에서 규정하고 있던 상세계획제도가 통합되어 개편되면서 제도화된 것으로써, 이는 일정규모 이상의 개발에는 반드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여 건축, 토목, 조경, 도로 등, 공공부분이나 민간부분의 디자인에 개입하여 지침이 되도록 하는 제도이고, 경관계획은 지구단위계획 내용이 근간이긴 하지만 지구단위계획과는 별도로 수립하여 도시디자인의 실현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경관법 제정 이후에는 도시디자인 관리의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총괄 건축가(MA, MP)는 개별 건축디자인에 직접 관여하는 것으로써 개별건축가(블록건축가, B.A)와 협의를 통해 디자인을 결정하는 것인데, 이는 디자인이란 질적인 대책이기 때문에 디자인을 제도 등으로 규정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구단위계획이나 계획만으로는 매력적인 도시 실현이 불가능하다는 데에서 출발했다.
이처럼 지구단위계획이나 경관계획, M.P제도는 도시공간이란 다양한 소유 주체와 다양한 요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맥락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도시공간은 혼란스럽게 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즉 근대사회를 거치면서 우리도시들은 도시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의 개개 개성이나 관점이 크게 존중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도시공간이 맥락적이지 못하고, 혼란스러워지기 까지 하고 있다는 비판에 대한 보완에서 출발한 것이다. 특히 도시는 사람들이 고밀도로 모여 사는 사회공간으로서 소유자가 다르고, 구성요소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기 때문에, 도시를 구성하는 건축 등이 각기의 주장을 허용하게 된다면 아무리 개개의 주장이 다양성, 창조성, 지역성을 주제로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보면 도시공간은 혼란이라는 획일성에 빠져버리기 쉽기 때문에 도시적 관점에서 도시공간을 통일적으로 해석하고 맥락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는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했고, 이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제도가 지구단위계획인데, 이는 2차 윤곽선으로써 배치나 형태, 높이, 색체 등에 대해 보다 상세한 가이드라인을 지구단위계획으로 설정하여 3차 윤곽선으로써의 건축설계의 길잡이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으나, 지나치게 광의적이거나 도시가 갖고 있는 지역성을 무시한 채 일률적이며 획일적으로 수립되게 되면서, 실제로 맥락적 경관을 창출하고 있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 도시과제는 도시적 관점에서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의 디자인을 매니지먼트 하는 것이며, 이는 먼저 정체성 있는 도시이미지를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 것이라는 전제 아래, 남악신도시를 대상으로 건축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설정현황과 인지분석을 통하여 맥락적 디자인유도에의 한계를 보이고 있는 지구단위계획에서의 건축 가이드라인 문제점을 돌출하고, 이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로써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축물의 배치는 용지별로 벽면선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게 나타나서 통일감이 없고, 아파트의 배치는 탑상형과 판상형의 주동을 적절히 배치하고는 있으나 가로방향에서의 차폐가 배경의 산자락을 가리고 있으며, 특히 진입부에서의 시야차단은 위압감까지 주면서 도시경관을 해치는 주요요인이 되고 있다.
2. 건축물의 높이는 단독주택용지나 준 주거 및 근린생활시설용지의 건축물은 지구단위계획의 내용을 준수하고는 있으나 계단실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스카이라인의 균형이 깨지고 있고, 또 파라펫의 높이나 형태가 서로 달라서 통일감이 상실되고 있다. 공동주택용지의 아파트 높이는 단지 내 층수변화가 커서 위압감을 형성하고 있고, 근린공원이나 산에 연접하고 있는 아파트단지의 층수가 많게 나타나고 있어서 주요 조망경관을 해치고 있다.
3. 건축물의 입면은 대부분 창호나 발코니의 형태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아파트의 정면은 발코니에 전면창을 획일적으로 배치하면서 단지 색채에 의한 입면변화를 꽤하고 있는 단지가 많아서 형태의 다양성이 떨어지고 있는 반면 일부 아파트 단지의 과도한 디자인에 의해 도시의 맥락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4. 건축물의 지붕형태는 단독주택용지의 경우 형태는 거의 같으나 구배가 각기 다르고, 색채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통일성을 느낄 수 없으며, 준 주거 및 근린생활시설용지의 건축물과 공동주택용지의 아파트 지붕은 블록별로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아파트단지의 경우 지붕과 옥탑, 주동출입구의 지붕 형태가 각기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형태적 통일성이 떨어지고 있다.
5. 건축물의 담장은 형태 및 재료가 아파트 단지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서 가로에서의 정연성과 통일성이 떨어지고 있고, 건축물의 색채는 조색과 보조색 간에는 차별성에서 미약함을 보이고 있고, 일반적인 도심지 건축물들이 사용하는 색채와 거의 유사한 색채로 보여지고 있다.
6. 진입부에서의 아파트 이미지평가는 조망위치가 아파트단지에 근접할수록 부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반면 아파트단지에서 멀어질수록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단지 아파트의 배치나 높이, 주동의 길이뿐만 아니라 발코니, 창, 지붕, 색채 등의 아파트 형태에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용지별 지구단위계획의 디자인가이드라인이 광의적이고 규범적이어서 맥락적 디자인 유도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고, 건축설계 역시 지구단위계획을 지구 경관적 관점에서 해석하기보다는 단지 준수해야할 법규정도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구단위계획은 지구가 완성되었을 때의 전체이미지가 명확하지 못하고 그 내용도 규모나 배치, 형태에 치중되어 있으므로, 앞으로는 지구이미지를 먼저 상정하고, 이를 실현하는 수법으로서 지구단위계획에서 디자인가이드라인에 대한 내용을 좀 더 상세히 설정하면서 권장이 아닌 명확한 지침으로써의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cently, as Korea has planned many new town constructions including large-scaled housing site development, innovation city and company town, various systems and methods such as district unit plan, landscape plan, master plan and local government's design guideline have been used to make more comfortable and beautiful city. District unit plan system is legal system designed to make it design guideline for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landscape architecture and road.
This system was initiated from the criticism that urban space was not contextual, but confused by ensuring freedom of individual components of city through modern industrial society. Further, since urban space is not only composed of various possessive subjects and factors, but also allows a variety of opinions, it was institutionalized from the viewpoint that a device to interpret urban space wholly and induce design contextually is needed. But, as 10 years passed since such a district unit plan was executed,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new town developed by this plan was not so attractive as expected and the research on this reality is urg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s of district unit plan on formation of urban landscape with housing site, quasi-residential and neighborhood units. It extracted the contents of district unit plan and landscape plan of Namak New Town, examined placement, form and height of buildings built on each site, conducted cognitive evaluation of these areas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New town to be examined was established with district unit plan and landscape plan, but actual guideline of architectural design was district unit plan.
2. There are general and ambiguous regul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placement, height, facade and roof style related to urban landscape among district unit plan factors and there are also limitations in making contextual landscape. Therefore, since design has limitation not to be regulated in detail because it is qualitative, institutional complement of district unit plan is required.
3. Institutional complement of district unit plan includes case making it guideline of architectural design like school transfer area and that requiring complement like design guideline or M.A system in the stage of execution. Since large-scaled development like new town is not enough with district unit plan, design guideline or M.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4. To establish district unit plan, image of the whole city or street space when development is completed should be laid and as a means of achieving it, content and object of district unit plan are needed. And architectural design requires obedience of regulations of block and lot concerned and design view as the realization of city and street space with such an image.
5. Regulation or recommendation of district unit plan factor should be established clearly and in particular, recommendation must have incentive system to ensure the realization of the plan. And from the viewpoint of context and independence, these factors should be clear and in this case, deciding the range of the context and independence shall be important task in establishing district unit plan.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Setting and Application of Urban Design Guideline
Alternative Author(s)
Kim, Yun-hag
Affiliation
일반대학원 건축공학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조용준
Awarded Date
2009-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3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4 연구의 구성 7
1.5 선행 및 관련연구의 동향 9

2. 건축 집합체설계와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2.1 건축 집합체설계와 도시디자인 23
2.1.1 건축 집합체로서 도시 공간 디자인 23
2.1.2 도시 공간 매니지먼트로서 도시디자인 25
2.2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사례 29
2.2.1 일본사례 29
2.2.2 국내사례 38

3.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현황 및 적용 실태 분석
3.1 연구대상지역의 개요 46
3.1.1 일반적 현황 46
3.1.2 토지이용계획 현황 46
3.2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현황 54
3.2.1 단독주택용지 54
3.2.2 공동주택용지 56
3.2.3 준 주거 및 근린생활시설용지 65
3.2.4 지구별 색채 가이드라인 66
3.3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적용 실태 분석 72
3.3.1 조사방법 및 분석의 틀 설정 72
3.3.2 단독주택용지 75
3.3.3 공동주택용지 98
3.3.4 준 주거 및 근린생활시설용지 137

4.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적정성 및 효용성 평가
4.1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정성 평가 163
4.1.1 평가의 개요 163
4.1.2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정성 평가 164
4.2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효용성 평가 174
4.2.1 평가의 개요 174
4.2.2 입지 유형별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효용성 180
4.3 주거용지별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정성과 효용성에 의한 종합분석 212
4.3.1 공동주택용지 212
4.3.2 근린생활시설용지 229

5. 결론 234

참고문헌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김윤학. (2008).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설정과 적용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748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753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2-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