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영자
Issued Date
2008
Abstract
제 1장 서론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요즈음 한국사회복지중에 가장 급격한 정책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은 노인복지분야일 것이다. 그것은 한국의 급속한 고령화에 대한 정부의 대응결과라고 보아야 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노인장기요양보호제도의 도입이다. 노인장기 요양보호제도는 두 가지로 구분되는 데 하나는 2008년 7월 노인장기 보험제도가 시행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2007년 4월부터 노인돌보미 바우처제도가 실시된 것이다.
먼저 최근 수년동안 정부에서 준비해 온 노인장기요양에 대한 제도화 작업이 2007년 2월 국회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통과됨으로써 결실을 맺게 되어,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가 실행되고 있다. 이로써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들과 그 가족들이 사회적 차원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이 제도적으로 보장되게 되었다. 이는 지금까지 노인복지법에 의거하여 빈곤층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노인중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들에게만 극히 선별적으로 이루어지던 노인 장기요양보험 서비스가 이제는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이라면 소득계층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보편적 제도로의 변화는 노인장기요양 위험이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개연성이 높으며, 그 위험에 놓이게 되는 경우 그 노인 및 가족이 겪게 되는 신체적, 경제적, 심리적 고통이 심각하므로 사회구성원들이 사회연대에 입각하여 함께 대응해야만 하는 사회적 위험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노인장기요양 욕구에 대한 정책이 조세에 기반한 선별적, 단편적 대응에서 사회보험서비스 수혜자가 많아지게 되었다는 것을 넘어서 재원조달방식, 서비스비용 지불방식, 서비스공급자의 구성, 서비스이용의 결정방식 등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전반에 걸쳐 혁신적 변화가 수반될 것으로 전망된다(김진수, 2007; 석재은, 2007)
한편, 노인장기요양 정책영역의 두 번째 혁신적인 제도적 변화라 할 수 있는 것은 노인돌보미 바우처 제도이다. 이 제도는 어느 정도 소득계층의 제한이 있긴 하지만 빈곤층에 국한된 기존 서비스보다는 훨씬 넓은 소득범위를 포괄하여, 장기요양 욕구를 가진 중상층 이하 노인들에게 즉각적인 지원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노인장기 요양보험과 구별된다. 또한 국고 및 지방비 지원에 기반하되, 바우처라는 급여형태를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빈곤층에 국한한 인장기요양서비스와 상이한 서비스 공급체계를 구축하게 될 것으로 보여진다(석재은, 2007).
장기요양욕구를 가진 노인들을 위한 제도인 노인장기 요양보험과 노인돌보미 바우처는 노인복지시설과 인력이라는 두가지 인프라가 충족되어야만 원활하게 정착될 수 있다(공적 노인요양보장제도 실행위원회․보건복지부, 2005).
두 제도의 핵심인력은 요양보호사이다. 요양보호사란 치매, 중풍 등 노인성질환으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을 위해 노인생활시설 및 재가복지시설에서 신체 및 가사지원 서비스를 지원하는 직종이다. 노인복지시설에는 이러한 요양보호사 이외에 간호사, 사회복지사, 영양사, 물리치료사 등 다양한 직종의 종사자가 근무하고 있는데, 이들의 업무성과는 이들이 소속해 있는 노인복지시설이라는 조직의 목표달성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조직의 참여자들은 업무수행중에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이것은 조직의 목표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 일반적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 휴먼서비스직종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휴효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박선혜, 2007; 송희경, 2006; 구재관, 2005; 김성희, 2002; 최인섭․초의수, 2002), 간호사에 대한 연구(양애선, 2008; 서연숙, 2007; 조수연, 2005; 고종욱․염영희, 2003; 박지연, 2003; 김영임, 2002; 이정희, 2002, 구미옥․김매자, 1984), 교사(임주희, 2007; 이성은, 2003; 강경옥, 1996)등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그러나, 고령사회의 핵심인력이라 할 수 있는 요양보호사에 관한 연구는 없다. 다만, 요양보호사의 인력양성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가(이미자, 2008) 있을 뿐이다.
노인요양보호사는 다음과 같은 직업적 태도를 취해야 하므로 직무스트레스가 많을 것으로 예견된다. 즉, 신체적, 정신적으로 허약하고 도움이 필요한 노인을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는 태도, 성실하고 침착한 태도로 책임감을 갖고 업무활동을 해야 하고, 요양보호업무와 관련된 모든 직업인들과 상호협조하는 태도 및 조화를 이루려는 자세를 갖어야 한다(강미숙, 2006; 이혜영, 2000; 보건복지부. 요양보호사 표준교재, 2007)
보건복지부(2005)는 요양보호사가 2009년에 90,000명이상, 2011에는 110,000명이상이 확보되어야 한다고 하고 있다. 시설 생활을 하던, 재가생활을 하던 요양서비스를 받은 노인들의 삶은 이들의 역할수행에 의해 그게 좌우될 것이다. 또한 노인에게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노인복지시설의 조직목표 또한 이들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보호사를 조직론적 시각에서 보고자하며, 요양보호사들이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직무관련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면, 이것이 조직의 유효성 즉 이직의도, 직무만족, 직무몰입, 업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론을 한다.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조직유효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를 중재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조절변수가 되리라 예측한다.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구체적인 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동기나 인지적인 자원, 그리고 일련의 활동을 하게 하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의 포괄적인 판단이며(Bandura, 1997, 이목화, 2003), 주어진 목표 달성에 필요한 행동 과정들을 조직하고 실행하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에 관계가 있다. 이러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은 그들이 대부분 혹은 모든 직무 의무나 책임을 수행하는데 있어 성공한다고 밝혀져 있다(강영식, 2006; 김우택, 2006; 지윤호, 2006; 윤숙녀, 2005; 이목화, 2003; 안은경, 1999).
노인요양보호사는 장기요양시설운영에 핵심인력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관한 연구가 매우 희귀하다. 이 들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정보가 누적되어 노인복지시설의 관리자들에게, 정책결정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어떠한가,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의 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가하는 의문에 답하고자 한다.

제 2절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노인요양보호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직무스트레스의 조직유효성에 대한 상호작용 변수인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며,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한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요양보호사의 조직유효성 즉 이직의도, 직무만족, 직무몰입, 업무성과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연구를 통하여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 즉 이직의도, 직무만족, 직무몰입,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둘째,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조직유효성 즉 이직의도, 직무만족, 직무몰입,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셋째, 노인요양보호사의 자기 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대한 관계를 조절하는 정도를 파악한다. 노인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 즉 이직의도, 직무만족, 직무몰입, 업무성과에 대한 관계를 조절하는 정도를 파악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연구의의가 있다.
첫째, 노인복지시설의 노인요양보호사 같은 하위 구성원 중요성을 인식시켜 자기만의 관리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실무적인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조직에도 애착을 가질 수 있는 직무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중요한 과제이다.
둘째, 조직스트레스를 조절하여 개인적 목표와 조직의 목표를 일치시킬 수 있는 직장생활의 질을 향상시켜 구성원들의 만족을 최대화 시키는 것이 조직을 위해서 중요한 과제이다.
셋째,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제 변수들의 영향정도를 파악하여, 조직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제 3절 연구범위

연구에서 조직유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 효능감이 부각되고 있다.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직무 스트레스로 구분하여 관련 선행연구와 연구문헌을 통하여 기본개념을 정리하고 분석의 틀과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연구를 통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범위는 다음과 같다.
제 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방법 및 구성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된 조작변수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각 변수들 간의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였으며 노인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조직유효성으로 이직의도, 직무만족, 직무몰입, 업무성과와 조절변수로 자기효능감에 대한 개념과 고찰을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제 2장의 고찰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의 결과변수로서 조직유효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변수의 조작적 정의, 자료수집 및 표본구성 및 자료의 처리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실증분석을 통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표본의 일반적 특성,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요인별 기술통계 분석,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분산분석, 변수간의 상관관계, 및 조절효과 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서술하였다.
제 5장은 논의와 결론으로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점을 제시하고자 한다.|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tr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home helpers in 15 organizations in G city from October 16th to 26th 2008. 250 survey sheets are distributed and only 202 sheets are used due to its validity and completeness.
In this research, tool of measurement consists of 10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 16 questions of relationship conflict, 10 questions of organizational system, 7 questions of physical environment, 7 questions of job technique, 7 questions of job demand and 5 questions of job self-control. To measure the self efficacy, survey sheet that consists of 16 questions that Bandura(2002) had developed.
Intention of turnover,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job production were measured to obtain data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asuring factors of intention of turnover are composed of 5 questions that Mobley(1982) had developed and Measuring means of job satisfaction are comprised of 4 questions of internal compensation developed by Kim(2003), 6 questions of structure of work, 4 questions of work environment, 3 questions of work satisfaction and 3 questions of efficiency of administration which are totally 23 questions. To measure the job commitment, 6 questions survey sheets that Motiner(1985) has developed and used by Lee(2002) were used. Measuring the job production is executed by distributing surveys sheets that consist of 22 questions that Kron(1981) developed and Park modified (1988).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12.0. Tool analyzed the reliability and credibility of data such that frequency analysis is used for general characteristic. T-test and ANOVA analysis are used for all variables difference analysis depended on general characteristic. Correlation analysis is used for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to confirm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
1. Hypothesis 1 saying “Job stress would ha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supported(p<.001). The job stress affects the Intention of turnover, job production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job stress does not affect the job commitment.
2. Hypothesis 2 saying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job stress can ha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 is not supported(p>.001).
1)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job stress does not affect on itention of turnover. As a result on analyzing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job stress on home helpers, organizational system out of 6 factors in the first level(22.7%) and 2nd(23.2%)level has a specific effect.
2)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job stress would have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s unsupported. As a result on analyzing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job stress on home helpers, 6 factors especially organizational system, pyhsical enviroment and relationship conflict in the first level(23.3%) are significant variable. In second level, only organizational system has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3)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job stress would have an influence on job commitment is supporte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job stress appears to be effective on job commitment. As a result on analyzing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job stress on home helpers, 6 factors in the first level(22.7%) does not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second level, physical environment a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binding interrealtionsip of 6 factors significantly affects on job commitment.
4)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job stress would have an influence on job production is supported. As a result on analyzing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job stress on home helpers, in first level, relationship conflict and physica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iveness(8.1%). In second level, relationship conflict, physical environment and job self-control can affect on job production. Inputting interrelationship among those factors can affect on job production significantly(12.0%)
3. Hypothesis 3 saying “The self efficacy can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supported.
1) Hypothesis 3-1 "The self efficacy can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intention of turnover" is supported. In first level, age, experience, pattern of duty and leadership type of boss are significant factor. In second level, age, carrier, pattern of duty and job stress are significant factors. In third level, age, experience, pattern of duty and job stress and self efficacy are significant factors. In fourth level, age, experience, pattern of duty are significant. In factors of the job stress, job technique and self efficacy are capable of controlling.
2) Hypothesis 3-2 “The self efficacy can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s unsupported. In first level, age and pattern of duty have significant factors. In second level, pattern of duty and job stress are significant factors. In third level, pattern of duty, job stress, self efficacy are significant. In fourth level, inputting self efficacy as a dependent variable does not have influence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3) Hypothesis 3-3 “The self efficacy can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commitment” is supported. In first and second level, experience is significant factor. In third level, experience and job stress are significant. In fourth level, experience is significant. It is analyzed for self efficacy to be capable of controlling job technique.
4) Hypothesis 3-4 “The self efficacy can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production” is supported. In first level, level of education is significant factor. In second level, level of education and job stress are significant factors. In third level, level of education, job stress, self efficacy are significant. In fourth level, level of education is a significant factor. It is analyzed for self efficacy to be effective in relationship conflict.

In conclusion, the job stress of home helpers can be effectiv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intention of turnover,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job production.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can also be effectiv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self efficacy is capable of controlling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should help home helper to fully have opportunities to control the job stress and self efficacy.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me Helper
Alternative Author(s)
Kim Young Ja
Affiliation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오을임
Awarded Date
2009-02
Table Of Contents
표목차 iv
그림목차 vi
Abstract 1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 2절 연구목적 3
제 3절 연구범위 4
제 2장 이론적 배경 6
제 1절 노인요양보호사와 노인복지시설 6
1. 노인복지시설의 이해 6
2. 노인복지시설의 종사자 역할 및 근무환경 11
3. 노인요양보호사의 역할 16
제 2절 직무스트레스 20
1. 직무스트레스의 개념과 기능 21
2. 직무스트레스의 모형과 영향 27
3. 직무스트레스 관리 40
제 3절 자기효능감 44
1. 자기효능감의 개념 44
2. 자기효능감의 영역 45
3. 자기효능감과 영향 50
제 4절 조직유효성 55
1. 조직유효성의 개념 55
2. 조직유효성의 특성과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 56
3. 조직유효성과 관련된 주요변수 58
제 3장 연구설계 91
제 1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91
1. 연구모형의 설정 91
2. 연구가설의 설정 93
제 2절 변수의 조작화 95
1.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95
2.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95
3. 조직유효성 측정도구 96
제 3절 조사방법 및 절차 97
1. 조사방법 97
2. 연구승인 절차 및 연구보조원 훈련 98
제 4 절 자료분석 98
제 4장 조사 결과 99
제 1절 일반적 특성분석 99
1. 일반적 특성 95
2. 신뢰도 분석 및 타당도 검증 102
3. 제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111
제 2절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 차이 113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 113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유효성의 차이 116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128
제 3절 가설검증 131
1.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조직유효성 영향분석 131
2. 직무스트레스 요인간에 상호작용에 따른 조직유효성 영향분석 133
3. 직무스트레스의 조직유효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138
제 5장 논의 및 결론 146
제 1 절 논의 146
1.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146
2.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148
3.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 150
4.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업무성과 151
제 2절 결론 및 제언 153
1. 결론 153
2. 제언 156
158


표목차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변경 비교 9
노인복지시설의 서비스 기능제언 10
노인복지시설 종사자 분류 및 직위분류 14
노인 장기요양보험 인력 수요추계 17
시설(서비스)별 요양보호사 배치기준 18
직무만족 결정요인 80
일반적 특성-1 100
일반적 특성-2 101
변수들의 신뢰도 103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105
직무만족 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108
업무 성과평가 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110
연구변수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 11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1 11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2 11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1 117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2 118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1 12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2 12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몰입-1 12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몰입-2 12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업무성과-1 12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업무성과-2 127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1 129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2 130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132
직무스트레스 요인간의 상호작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134
직무스트레스 요인간의 상호작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135
직무스트레스 요인간의 상호작용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136
직무스트레스 요인간의 상호작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137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139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141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143
직무스트레스와 업무성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145
그림목차

스트레스의 기능 24
스트레스의 3가지 유형 27
로빈슨의 모델 28
스트레스와 업무성과와의관계 40
Lazarus 등의 스트레스 대처모형 41
연구모형 92
부록목차

부탁의 말씀 159
연구 참여 동의서. 159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설문지 159
이직의도 측정도구 설문지 159
직무만족 측정도구 설문지 159
직무몰입 측정도구 설문지 159
업무성과 측정도구 설문지 159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설문지 159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김영자. (2008).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747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750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2-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