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韓·中·日の字音語의の對照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한증덕
Issued Date
2008
Keyword
자음어|대조연구|한국|중국|일본
Abstract
本稿에서는 韓・中・日 三國語의 現代語에 共通으로 存在하는 同形二字字音語1557語를 中心으로 二字字音語의 單語構成과 三國語의 品詞性의 對應關係를 究明하고 그 共通點과 差異點을 밝히는 것을 目的으로 하였다.
韓・中・日 三國語의 二字字音語를 單語構成上으로 分類하면 形態的 構成에 의한 二字字音語와 統辭的 構成에 의한 二字字音語로 크게 나눌 수 있다.
形態的 構成에 의한 二字字音語는 單純語・派生語・助字에 의한 單語 等으로 分類되는데, 單純語와 三國語의 品詞性의 對應關係를 考察해 보면 三國語 모두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가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動詞, 形容詞, 副詞의 順으로, 單純語는 三國語에서 주로 名詞로 使用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派生語는 接頭辭에 의한 派生語와 接尾辭에 의한 派生語로 나뉜다. 字音語系接頭辭에는 「阿-」「老-」「小-」「第-」등 4개의 形態素가 있는데, 각각 다음과 같은 機能을 한다.
「阿-」는 中國語에서 「ā」「ē」두 가지 讀法이 있는데 「ā」로 읽을 경우에는 名詞性 語基의 앞에 붙어 「親密感」이라는 뜻을 添加하는 機能을 한다.
「老-」는 親近한 사이의 사람의 姓 앞에 붙어 「親密感」과「尊敬」의 뜻을 添加하고 數字 앞에 붙어서는 兄弟順을 나타내며 몇 가지 動物, 植物의 이름 앞에 붙어서는 二音節語 또는 三音節語를 構成하는 機能을 한다.
「小-」는 親近한 사이의 사람의 姓 앞에 붙어 「親密感」이라는 뜻을 添加하는 機能을 하고,「第-」는 一般的으로 數詞 앞에 붙어 事物의 順序를 나타내는 序數詞를 만드는 機能을 한다.
接頭辭에 의한 派生語는 三國語에서 一般的으로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데, 「第一」과 같이 韓國語와 日本語에서 名詞 이외에 副詞로 使用되는 單語도 있다.
三國語에서 모두 認定되는 字音語系接尾辭에는 「-子」「-頭」등 2개의 形態素가 있는데, 각각 다음과 같은 機能을 한다.
「-子(zi)」는 앞 語基의 品詞性에 의해 그 機能이 다르다. 名詞性 語基에 붙을 경우에는 非自立性 語基를 自立할 수 있는 名詞로 바꾸는 機能을 한다. 그러나 動詞性 語基에 붙어서는 그 動詞를 名詞化하는 機能을 하는 外에 「…하는 것」이라는 뜻을 添加하고 形容詞性 語基에 붙어서는 그 形容詞를 名詞化하는 外에 「…狀態의 것/사람」이라는 뜻을 添加하는 機能을 한다.
「-頭」는 中國語에서 두 가지 讀法이 있는데,「-頭(tou)」로 읽을 경우에는 반드시 語基의 뒤에 붙고 語彙的인 意味는 가지지 않으며 다만 앞의 語基를 名詞化하는 機能만을 한다.
接尾辭「-子」「-頭」로 構成된 派生語는 三國語에서 모두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있다.
助字에 의한 二字字音語의 品詞性은 助字에 의해 다른데 「可」「然」등 助字로 構成된 單語는 주로 形容詞・副詞로 使用되고 「所」로 構成된 單語는 주로 動詞로, 「以」로 構成된 單語는 주로 名詞로 使用된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다.
統辭的 構成에 의한 二字字音語는 單語構成要素間의 結合關係에 의해 크게 竝列關係의 二字字音語・主述關係의 二字字音語・修飾關係의 二字字音語・述目關係의 二字字音語・述補關係의 二字字音語 등 五種으로 分類할 수 있다.
竝列關係의 二字字音語는 다시 同義의 語基로 結合된 二字字音語, 類義의 語基로 結合된 二字字音語, 對義의 語基로 結合된 二字字音語, 疊語 등으로 나뉜다.
同義의 語基로 結合된 二字字音語는 「N+N」「V+V」「A+A」「AD+AD」등 4개의 構造로 構成되어 있는데, 「N+N」構造의 二字字音語는 三國語에서 모두 주로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動詞・形容詞 등 品詞性을 가진 單語는 극히 드물다. 「V+V」構造의 二字字音語는 韓國語와 日本語에서는 90%以上 名詞와 動詞의 品詞性으로 使用되는데 비해, 中國語에서는 名詞로 使用되는 單語는 30%정도밖에 안되며 動詞의 用法으로 쓰이는 單語가 94%로 주로 動詞로 使用되고 있다. 「A+A」構造의 二字字音語는 韓國語와 日本語의 경우는 形容詞와 名詞로 쓰이는 單語가 가장 많은데, 中國語의 경우는 形容詞로 使用되는 單語가 94.4%로 다른 品詞性으로 使用되는 單語에 비해 壓倒的으로 많다. 「AD+AD」構造의 二字字音語는 三國語에서 주로 副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있다.
類義의 語基로 結合된 二字字音語는 「N+N」「V+V」「A+A」등 3개의 構造로 構成되어 있는데, 「N+N」構造의 二字字音語는 三國語에서 주로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있다. 「V+V」構造의 二字字音語는 三國語에서 주로 名詞와 動詞의 品詞性으로 使用되는데 그 중에서 中國語에서 名詞로 使用되는 單語의 比率은 45.5%로, 韓國語와 日本語의 100%에 비해 훨씬 적다. 「A+A」構造의 二字字音語는 韓國語와 日本語에서는 주로 名詞와 形容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데 中國語에서는 名詞의 用法은 없고 주로 形容詞로 使用되고 있다.
對義의 語基로 結合된 二字字音語도 「N+N」「V+V」「A+A」등 3개의 構造로 構成되어 있는데, 「N+N」構造의 二字字音語는 三國語에서 주로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며, 「V+V」構造의 二字字音語는 三國語에서 모두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가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動詞, 副詞의 順이다. 「A+A」構造의 二字字音語도 三國語에서 주로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데, 中國語에서는 名詞의 用法외에 副詞의 用法으로도 많이 使用되고 있다.
疊語는 三國語에서 一般的으로 形容詞와 副詞로 使用되고 있는데, 日本語의 경우는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疊語도 적지 않다.
主述關係의 二字字音語는 「N+V」「N+A」등 2개의 構造로 構成되어 있는데, 「N+V」構造의 二字字音語는 韓國語와 日本語에서는 주로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中國語에서는 주로 形容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있는데, 大部分의 形容詞는 述語로 쓰이지 않는 「属性词/非谓形容词」로, 그 用法은 韓國語와 日本語의 名詞의 用法과 거의 같다고 생각된다. 「N+A」構造의 二字字音語는 三國語에서 주로 形容詞의 用法으로 使用된다고 생각되는데 名詞의 用法도 있다고 判斷된다.
修飾關係의 二字字音語는 連體修飾關係의 二字字音語와 連用修飾關係의 二字字音語로 下位分類할 수 있다.
連體修飾關係의 二字字音語는 「N+N」「(N→V)+N」「V+N」「A+N」「AD+N」등 5개의 構造로 構成되어 있는데, 「N+N」構造의 二字字音語와 「(N→V)+N」構造의 二字字音語, 그리고 「AD+N」構造의 二字字音語는 三國語에서 주로 名詞로 使用된다. 「V+N」構造의 二字字音語도 三國語에서 주로 名詞로 使用되고 있는데, 앞의 세 가지 構造에 비해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가 비교적 많다. 이러한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의 大部分은 述目關係의 「V+N」構造의 二字字音語로 간주할 수 있다. 「A+N」構造의 二字字音語는 三國語에서 주로 名詞로 使用되는 외에 形容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도 적지 않은데, 그 중에서 中國語의 절반 이상의 單語는 「属性词/非谓形容词」로 使用되는 單語이다.
連用修飾關係의 二字字音語는「AD+V」「(N→AD)+V」「(A→AD)+V」「AD+A」등 4개의 構造로 構成되어 있는데, 「AD+V」構造의 二字字音語의 品詞性은 三國語에서 여러 가지 樣相을 보이고 있다. 韓國語와 日本語의 경우는 名詞의 用法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動詞, 形容詞, 副詞의 順인데 中國語의 경우는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가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形容詞, 名詞, 副詞의 順으로,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의 比率은 韓國語와 日本語에 비해 훨씬 적다. 「(N→AD)+V」構造의 二字字音語는 韓國語와 日本語에서는 주로 名詞와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데 反하여 中國語에서는 주로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데, 名詞와 形容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도 거의 30%에 달하여 적지 않은 比率을 차지하고 있다. 「(A→AD)+V」構造의 二字字音語도 韓國語와 日本語에서는 주로 名詞와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데 反하여 中國語에서는 주로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있으며 形容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도 38.9%에 달하여 비교적 큰 比率을 차지하고 있다. 「AD+A」構造의 二字字音語는 韓國語와 日本語에서는 주로 名詞와 形容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中國語에서는 주로 形容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있다.
述目關係의 「V+N」構造의 二字字音語는 韓國語와 日本語에서는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가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動詞, 形容詞, 副詞의 順으로, 주로 名詞와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있다. 中國語에서는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가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名詞, 形容詞, 副詞, 接續詞의 順으로, 주로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있다.
述補關係의 二字字音語는 「V+V」「V+(A→V)」등 2개의 構造로 構成되어 있다. 「V+V」構造의 二字字音語는 韓國語와 日本語에서는 주로 名詞와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있는데, 中國語에서는 주로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있으며 名詞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單語는 20.4%로, 韓國語와 日本語에 비해 그 比率이 매우 낮다. 「V+(A→V)」構造의 二字字音語는 위의 「V+V」構造의 二字字音語와 마찬가지로 韓國語와 日本語에서는 주로 名詞와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中國語에서는 주로 動詞의 用法으로 使用되고 있다.
以上 韓・中・日 三國語의 二字字音語의 單語構成에 의한 分類 및 單語構成과 品詞性의 對應關係에 대하여 考察하여 보았는데, 單語構成과 品詞性 사이에는 密接한 對應關係가 成立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lternative Title
The Contrastive Study of the word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lternative Author(s)
HAN, ZENG D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일본학과
Advisor
김인현
Awarded Date
2008-08
Table Of Contents
第1章 序論 = 1
1.1 硏究の目的と意義 = 1
1.2 硏究の對象 = 3
1.3 硏究の方法 = 6
第2章 韓·中·日三國語の字音語の特質と先行硏究 = 10
2.1 字音語の定義と特質 = 10
2.2 先行硏究の現狀と問題点 = 20
第3章 字音語の語構成による分類 = 56
3.1 形態的な構成による二字字音語 = 56
3.2 統語的な構成による二字字音語 = 97
3.3 二字字音語の語構成による分類 = 110
第4章 韓·中·日三國語の二字字音語と品詞性 = 112
4.1 形態的な構成による二字字音語と品詞性 = 112
4.2 統語的な構成による二字字音語と品詞性 = 116
第5章 結論 = 166
參考文獻 = 174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한증덕. (2008). 韓·中·日の字音語의の對照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738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670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7-1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