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서 자궁평활근 절편에서 Lidocaine, Bupivacaine, Ropivacaine의 이완효과 비교
- Author(s)
- 한승용
- Issued Date
- 2008
- Keyword
- Bupivacaine|이완효과|Lidocaine|Ropivacaine
- Abstract
- 배경
국소마취제는 산과영역에서 부위마취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국소마취제는 자궁평활근 뿐만 아니라 다른 평활근에도 여러 가지 효과를 갖고 있다. 이에 저자는 lidocaine, bupivacaine, ropivacaine이 흰 쥐에서 추출된 자궁근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고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준비된 자궁근은 비임신 암쥐로부터 추출되었다. 쥐의 자궁근은 10 mm의 절편으로 절단하여 Krebs용액에 담았다. Krebs용액은 NaCl 118.3, KCl 4.7, CaCl₂ 2.5, NaHCO₃ 25, KH₂PO₄ 1.2, MgCl₂ 1.2 그리고 glucose 11.1(mM)로 구성되어 있다. 수조내의 용액은 37°C로 유지시켰고, 95% O₂와 5% CO₂의 혼합가스가 공급되었다. 자발적인 자궁수축이 이루어진 후, 다양한 농도(10^(-7)∼10^(-3) M)의 lidocaine (n = 20), bupivacaine (n = 20), ropivacaine (n = 20)을 수조에 누적 첨가하였고, 자궁이완효과를 지속적으로 기록하였다. 자궁근의 수축장력에 대한 각 약물의 EC_(5), EC_(25), EC_(50), EC_(75)는 probit model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결과
Lidocaine, bupivacaine, ropivacaine은 농도 증가에 따라 자궁수축의 억제를 증가시켰다. 자궁근의 수축 빈도에서는 lidocaine은 저농도(10^(-7)∼10^(-5) M)에서 수축 횟수가 감소했으나 고농도(10^(-4)∼10^(-3) M)에서는 수축횟수가 증가하였다. Bupivacaine과 ropivacaine은 고농도(10^(-4)∼10^(-3) M)에서 수축횟수가 감소하였다.
Lidocaine, bupivacaine, ropivacaine의 수축장력에 대한 EC50은 각각 8.56 x 10^(-3) M, 9.03 x 10^(-4) M, 6.10 x 10^(-3) M 이었다. 자궁 평활근에 대한 국소마취제의 이완효과는 bupivacaine > ropivacaine > lidocaine의 순이었다.
결론
Lidocaine, bupivacaine, ropivacaine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궁수축의 억제를 증가시켰다. Bupivacaine이 이들 국소마취제 중에서 자궁근 이완효과가 가장 컸다. Lidocaine은 저농도(10^(-7)∼10^(-5) M)에서 수축 횟수를 감소시켰으나, 고농도(10^(-4)∼10^(-3) M)에서는 모두가 수축횟수를 증가시켰다.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08-07-18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