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전통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고찰 : 광주 남광주 시장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강재묵
Issued Date
2019
Abstract
The traditional market is not only an economic space that trades goods in general, but also stimulates cultural sensibility and nostalgia, forms a consensus of community, communicates and harmonizes with the local people, We are already deeply involved in our lives and play an important role. However, due to the opening of the distribution market, the emergence of large - scale marts of large corporations, and changes in consumer purchasing patterns in modern society, competitiveness has been lost and the existence of traditional markets has become difficult. The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that felt the crisis consciousness have various support policie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but most focus on economic profit creation and concentrate on environment improvement and modernization facilities. In conclusion, And the other causes of lo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s has an effect on the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aspects. In order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 we hypothesize that the establishment of brand identity in each traditional market should be the foundation We will try to verify through the case. Today, brands are undergoing a new paradigm shift that combines economics, culture, and society, not just between countries but also with small groups. As the scope of the brand extends to the cultural domain, it is recognized as an intangible asset. The 'traditional market' is a place where we can apply these intangible assets and use them well. The traditional market can visually express brand recognition to visitors through brand identity, and create distinctiveness from the large-scale mart by appealing to the public as an independent brand.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the value of utilization through case studies and the effect of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market brand identity on the 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 The current traditional market can be a crisis and a paradigm shift. With the advantages of traditional market's warm-heartedness, comfort, and friendliness, it will be able to show a sufficient level of competition with large-sized marts by combining current ICT, culture, experience and self-brand development.

We analyzed the ripple effects of traditional markets through examples of traditional market activation and traditional market brand design practices and applied it to the development of self - branding for Namgwangju market in Gwangju. At present, the Nam Gwangju market in Gwangju is also ambiguous among the traditional markets in Gwangju. The Daein Market was a great success as a night market. The Yangdong market is targeting customers with traditional markets, furniture, interiors, and food. The market in Malbau has succeeded in a market that has a feeling of rural market with warm hue.However, the Mayor of Nam Gwangju, Gwangju, is gradually disappearing from customers such as fish and rice soup, and the night market, which has followed the Daesin market, is also sluggish.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a brand that can enhance and enhance the characteristics and merits of Nam Kwangju market alone. Through this paper, it is hoped that Nam Gwangju Mayor of Gwangju will be a great help to regain its past reputation.|전통시장은 일반적으로 물건을 거래하는 경제적인 공간일 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감수성과 향수의 자극, 공동체의 공감대 형성의 장, 지역민의 소통과 화합 그리고 함께 결속시켜주는 우리나라의 최초의 복합 문화 공간으로 급 변화 하고 있으며 우리의 삶에 이미 깊숙이 들어와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유통시장 개방과 대기업의 대형마트의 등장, 현대사회의 소비자 구매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경쟁력이 상실되어 갔고 전통시장의 존립자체가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위기의식을 느낀 정부와 지자체는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대부분이 경제적 수익창출에 초점을 맞추고 환경개선 및 현대화 시설에 집중하면서 결론적으로는 대형마트와의 차별성을 찾지 못하고 오히려 경쟁력을 잃어 가는 또 다른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통시장의 활성화가 경제적 측면과 문화적, 사회적 측면에서 어떠한 증폭 효과를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각의 전통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사례를 통하여 검증을 해보고자 한다. 오늘날 브랜드는 국가 간 경쟁 뿐만 아니라 소규모 집단인 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와 문화, 사회가 결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고 있다. 브랜드의 범위가 문화 영역까지 확대 되면서 무형적 자산으로 인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무형적 자산을 접목하여 활용을 잘할 수 있는 곳이 ‘전통시장’이다. 전통시장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하여 방문객들에게 브랜드를 인지하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독자적 자가 브랜드로서 대중에게 어필함으로써 대형마트와의 차별성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의 중요성과 활용가치를, 사례를 통해 확인하고 전통시장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의 전통시장은 위기인 동시에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기회의 시기로 만들 수 있다. 전통시장 고유의 훈훈한 정, 편안함, 친근함을 장점으로 현재의 최신 기술ICT 정보통신 접목과 문화, 체험, 자가 브랜드 개발로 대형마트와의 경쟁에서 충분히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고 하겠다.

전통시장 활성화 사례와 전통시장 브랜드 디자인 사례를 통해 전통시장이 갖고 있는 파급효과를 분석해 보았고 광주 남광주 시장에 대한 자가 브랜드 개발에 접목해 보았다. 현재 광주 남광주 시장은 광주 전통시장 중에서도 애매한 포지션을 하고 있다. 대인시장은 야시장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고 양동시장은 재래시장과 가구, 인테리어, 먹거리 등으로 고객을 공략하고 있고 말바우 시장은 좌판이 즐비한 훈훈한 정이 있는 시골 장터의 느낌이 물씬 풍겨난 시장으로 성공하였다. 하지만 광주 남광주 시장은 기존의 생선과 국밥 등의 품목에서도 점차 고객들에게 외면당하고 있고 대인시장 뒤를 이어 시작한 야시장 또한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남광주 시장만의 특성과 장점을 부각시키고 고급화 시킬 수 있는 자가 브랜드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 논문을 통하여 광주 남광주 시장이 과거의 명성을 되찾는데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Alternative Title
Consideration of Brand Identity for Enhancing Traditional Market Competitiveness : Focused on Namgwangju Market in Gwangju
Alternative Author(s)
Gang. Jae Mook
Department
디자인대학원 브랜드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전공
Advisor
임채형
Awarded Date
2019-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2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4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브랜드 8
1.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념 8
2.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 12
제2절 전통시장 16
1. 전통시장의 개요 16
2. 전통시장의 기능과 특성 19
3. 전통시장의 활성화 필요성 22
제3절 전통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24
1. 전통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필요성 24
2. 전통시장 브랜드 시각 요소 27

제3장 현황 및 사례 분석
제1절 전통시장 활성화 사례 31
1. 전주 남부시장 31
2. 서울 통인시장 33
3. 대구 방천시장 35
제2절 전통시장 브랜드 디자인 사례
1. 강원도 봉평장 37
2. 서울특별시 중랑동부시장 40
3. 경기도 역곡 상상시장 43
4. 충청북도 연전한마음 약초시장 46
5. 충청남도 세종전통시장 49
6. 전라북도 고산미소시장 51
7. 광주광역시 대인시장 54
8. 경상북도 안동구시장 57
9. 경상남도 통영중앙전통시장 59
10.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중앙지하상가 62

제4장 문제점 파악 및 개선방향 제시
제1절 자가 브랜드 제작 방법 모색 65
제2절 자가 브랜드로고 선호도 검증 69

제5장 결론


참고문헌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강재묵. (2019). 전통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고찰 : 광주 남광주 시장을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72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509
Appears in Collections:
Art, Design, & Physical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8-2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