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Vibration Analys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ounds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 다 운
Issued Date
2007
Abstract
측두하악 관절잡음의 진동 분석

정 다 운
지도교수; 강동완 치의학 박사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관절잡음의 발생은 TMJ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의 징후로 여겨져왔다. 이러한 관절잡음을 평가하는데 청진과 촉진은 주관적이고 부정확한 방법으로 평가되어 좀 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electrovibratography(EVG)가 제시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에서 EVG는 관절잡음을 평가하는데 가장 비침습적이고 신뢰할만한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EVG의 사용으로 관절잡음의 진동수와 진폭 및 전체 에너지 양상을 숫자화하고 도식화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증상군의 진동에너지가 무증상군보다 높다는 것이 발표되어 왔으며 frequency spectrum의 양상을 분석하는 등 여러 가지 관절잡음의 양적, 질적 분석이 시도되어 왔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frequency spectrum pattern을 integral>300Hz/<300Hz ratio와 함께 분석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Joint Vibration Analysis (the BioPAK?? system, BioResearch Inc., USA)를 사용하여 촉진으로 관절잡음이 느껴지지 않고 TMD증상이 없는 10명의 대조군(GroupⅠ)과 관절잡음과 동통이 있으나 개구제한을 보이지 않는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의 범주에 있는 20명의 실험군(GroupⅡ)에서 관절진동을 분석하였으며 관절진동 기록 시에 JT-3(Jaw tracker, the BioPAK?? system, Bioresearch, Inc, USA)를 함께 사용하여 개폐구시 관절잡음 발생의 위치를 감별하고 치아접촉음을 배제하여 관절잡음을 분석하였다. GroupⅡ의 frequency spectrum pattern에 따라 실험군을 4가지 subgroup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GroupⅠ과 GroupⅡ; subdivision 1에서 유사한 frequency spectrum pattern과 ratio범위를 보였으며 GroupⅡ; subdivision 2,3,4 에서는 더 불규칙한 에너지 양상을 보이는 frequency spectrum pattern과 더 큰 ratio가 관찰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JVA가 악관절 진동의 특성을 감별하는데 유용함을 알 수 있었고 JVA를 이용한 지속적인 진동 분석이 환자 교육뿐 아니라 성공적인 턱관절 기능이상의 진단과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lternative Author(s)
Jung Da 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보철학 교실
Department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Awarded Date
2008-02
Table Of Contents
Contents


국문 초록 iv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3

III. RESULTS 7

IV. DISCUSSION 12

V. SUMMARY 14

REFERENCES 15












List of Tables

Table 1. Integral>300Hz/<300Hz ratio in GroupⅠ. 7

Table 2. Integral>300Hz/<300Hz ratio in GroupⅡ. 10

Table 3. Description of frequency spectrum. 11





















List of Figures

Fig. 1. JVA and JT-3 device was placed on the subjects 4

Fig. 2. Graph of the registration of joint vibrations 5

Fig. 3. Frequency spectrum represents GroupⅠ. 7

Fig. 4. Frequency spectrum represents GroupⅡ;
subdivision 1. 8

Fig. 5. Frequency spectrum represents GroupⅡ;
subdivision 2. 9

Fig. 6. Frequency spectrum represents GroupⅡ;
subdivision 3. 9

Fig. 7. Frequency spectrum represents GroupⅡ;
subdivision 4. 10










국문 초록

측두하악 관절잡음의 진동 분석

정 다 운
지도교수; 강동완 치의학 박사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관절잡음의 발생은 TMJ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의 징후로 여겨져왔다. 이러한 관절잡음을 평가하는데 청진과 촉진은 주관적이고 부정확한 방법으로 평가되어 좀 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electrovibratography(EVG)가 제시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에서 EVG는 관절잡음을 평가하는데 가장 비침습적이고 신뢰할만한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EVG의 사용으로 관절잡음의 진동수와 진폭 및 전체 에너지 양상을 숫자화하고 도식화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증상군의 진동에너지가 무증상군보다 높다는 것이 발표되어 왔으며 frequency spectrum의 양상을 분석하는 등 여러 가지 관절잡음의 양적, 질적 분석이 시도되어 왔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frequency spectrum pattern을 integral>300Hz/<300Hz ratio와 함께 분석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Joint Vibration Analysis (the BioPAK?? system, BioResearch Inc., USA)를 사용하여 촉진으로 관절잡음이 느껴지지 않고 TMD증상이 없는 10명의 대조군(GroupⅠ)과 관절잡음과 동통이 있으나 개구제한을 보이지 않는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의 범주에 있는 20명의 실험군(GroupⅡ)에서 관절진동을 분석하였으며 관절진동 기록 시에 JT-3(Jaw tracker, the BioPAK?? system, Bioresearch, Inc, USA)를 함께 사용하여 개폐구시 관절잡음 발생의 위치를 감별하고 치아접촉음을 배제하여 관절잡음을 분석하였다. GroupⅡ의 frequency spectrum pattern에 따라 실험군을 4가지 subgroup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GroupⅠ과 GroupⅡ; subdivision 1에서 유사한 frequency spectrum pattern과 ratio범위를 보였으며 GroupⅡ; subdivision 2,3,4 에서는 더 불규칙한 에너지 양상을 보이는 frequency spectrum pattern과 더 큰 ratio가 관찰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JVA가 악관절 진동의 특성을 감별하는데 유용함을 알 수 있었고 JVA를 이용한 지속적인 진동 분석이 환자 교육뿐 아니라 성공적인 턱관절 기능이상의 진단과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 다 운. (2007). Vibration Analys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ounds.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702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592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2-19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