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韓半島 雨雹 特性에 관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춘식
Issued Date
2007
Keyword
우박|한반도|韓半島|雨雹|Hail event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hail events in Korean peninsula.
Observed data for the research was set from the hail reports by 47 weather stations over South Korea. Data were selected for each case when the hail size was over 0.5cm for 29 years(1972~2000).
1992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year with 16 reports, while 1999 the rarest year with just 3. The analysis of the dates on the reports showed that the events have 10 year period frequency. The average number of hail days for 1970's was estimated to be 10.6, while 9.5 for 1980s', and 8.0 for 1990s'. Con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the hail events had slight declining mode. Among twelve months, November showed the most frequent events with 86 times.
Also, It showed some tendency that the events occurred more frequently during El Nino regime, and vise versa (during La Nina regime).
The most probable hour for the events turned out to be 14:00~18:00, afternoon.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summer season, many cases were reported that the hail was made even in the morning hours.
The hail size gradually increased from February when it showed the smallest. In August it grew up to 1.1cm. Although as freezing level appears relatively high in summer, giving bad environment for the hail to comes up, abundant moisture in the air helps it to have big size.
For 7 months from April to October, more cases accompanied lightings with hail events than those of the rest months.
Synoptic fields during the days before hail events showed that upper jet stream appears away, south from the Korea. Meanwhile, low level jet showed up at 850 hPa over the region. Dew-point depression at 850 hPa, 700 hPa was 1.2℃ and 1.4℃ for each. It could be thought that the moist air and the strong wind made intensive moisture flux in the system. Particularly, 500 hPa pressure field showed that "right-tilted pouch" pattern had not made any hail event.
According to the hail occurrence conceptual model of the Korean Peninsula, the ground convergence rate is above 10, but the upper level divergence was above 10.
The Buoyancy was 1,757 J/㎏, EL with 9,624 m, FL with 3,191 m, CCL with 2,324 m, MVV with 47 m/s and Echo-Top reached to 11 km in the conceptual model which the active hail may be potentially occurred.
Finally, from the sounding analyzed, only 12 hours before the hail event, upper atmosphere looks very dry while lower atmosphere evaporated. And the values told that the tendency diminished at the time of the hail events. Instability was well informed by TTs index. The values at the events showed over 50.
Alternative Title
The Characteristics of Hail events in Korean Peninsul
Alternative Author(s)
Lee, Chun-Sik
Affiliation
기상청
Department
일반대학원 대기과학과
Advisor
류찬수
Awarded Date
2007-08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자료 및 분석방법 = 4
1. 자료 = 4
가. 한반도 우박 출현 특성 분석에 이용된 자료 = 4
나. 우박 출현에 연관된 500hPa월평균고도 변화도에 이용된 자료 = 4
다. 우박 출현 1일전 대기 분석 방법과 자료 = 4
라. 우박에 연관된 500hPa일기도 유형 분류 방법과 자료 = 5
마. 우박 출현일 대기구조 분석에 이용된 자료 = 5
2. 한반도 주변의 지형과 해류 = 11
가. 한반도 내륙의 지형 = 11
나. 한반도 주변의 해류 = 11
Ⅲ. 본론 = 12
1. 한반도 우박 출현 특성 분석 = 12
가. 우박 출현 분포도 분석 = 12
나. 월계절별 우박 출현일수 분석 = 15
다. 시간대별 우박 출현 분석 = 18
라. 우박 출현 일수의 변동성 분석 = 20
마. 우박 크기 분석 = 21
바. 우박 지속시간 분석 = 24
사. 우박 출현일 천둥·번개 동반 유무 분석 = 25
아. El Nino, La Nina 및 평균해의 우박 출현 일수 분석 = 26
2. 한반도 우박과 관련된 종관대기 분석 = 28
가. 우박 출현이 많은 해의 500hPa월평균고도장 변화 분석 = 28
(1) 우박 출현이 많은 해 봄철의 평균고도장 변화 = 28
(2) 우박 출현이 많은 해 여름철의 평균고도장 변화 = 30
(3) 우박 출현이 많은 해 가을철의 월평균고도장 변화 = 32
(4) 우박 출현이 많은 해 겨울철의 월평균고도장 변화 = 34
나. 우박 출현이 적은 해의 500hPa월평균고도장 변화 분석 = 36
(1) 우박 출현이 적은 해 봄철의 월평균고도장 변화 = 36
(2) 우박 출현이 적은 해 여름철의 월평균고도장 변화 = 38
(3) 우박 출현이 적은 해 가을철의 월평균고도장 변화 = 40
(4) 우박 출현이 적은 해 겨울철의 월평균고도장 변화 = 42
다. 큰 우박현상과 500hPa월평균고도장 변화 분석 = 44
(1) 큰 우박 출현과 봄철의 월평균고도장 변화 = 44
(2) 큰 우박 출현과 여름철의 월평균고도장 변화 = 46
(3) 큰 우박 출현과 가을철의 월평균고도장 변화 = 47
라. 결과 및 토의 = 48
3. 한반도 우박 관련 500 hPa 일기도 유형 분류와 유형에 따른 우박 출현지역 특성 분석 = 50
가. 기상학적 배경 = 50
나. 우박 관련 500hPa일기도 유형 분류 = 51
다. 우박 관련 500hPa일기도 유형에 따른 우박 출현 분포 = 53
(1) 정낭형에서 출현한 우박 분포 분석 = 53
(2) 좌경낭형에서 출현한 우박 분포 분석 = 54
(3) 우경낭형에서 출현한 우박 분포 분석 = 56
(4) 울릉정낭형에서 출현한 우박 분포 분석 = 56
(5) 울릉좌경낭형에서 출현한 우박 분포 분석 = 57
(6) 울릉우경낭형에서 출현한 우박 분포 분석 = 58
라. 우박 출현 전일의 대기 분석 = 60
(1) 300hPa아열대 제트기류 위치와 풍속 = 60
(2) 700hPa습수의 변화 = 61
(3) 850hPa풍속 = 62
(4) 850hPa, 700hPa, 500hPa솔레노이드 분석 = 63
마. 결과 및 토의 = 64
4. 우박 출현일(2006년 6월 9일) 우박 모식도 작성 = 65
가. 기상분석 시스템의 개요 및 분석 방법 = 65
나. 기온,바람,강수량 분석 = 65
다. 지상 수렴도 분석 = 67
라. 500hPa기온과 지상 최고기온의 차 = 68
마. 대기선도 분석 = 68
(1) 바람 분석 = 68
(2) 총 리차드슨 수(Bulk Richardson = Number)70
(3) = TTs(TotalTotals)70
(4) 500hPa와도 = 70
(5) 최대 연직속도(Maximum Vertical Velocity, = MVV)72
(6) 대류응결고도 = 72
(7) 빙결고도 = 72
(8) 평형고도 = 73
(9) 상당온위(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 EPT)73
(10) 발산과 수렴 = 74
(11) = 부력(BuoyancyForce,BF)76
(12) 근사 운정 고도(Approximate Cloud Top, = ACT)76
(13) 구름영상 분석 = 77
(14) 레이더 강수에코 분석 = 78
(15) 수직 측풍장비(WindProfiler)자료 분석 = 80
(16) 2006년 6월 9일 우박 일의 모식도 = 82
Ⅳ. 결론 = 84
참고문헌 = 87
감사의 글 = 91
부록 = 92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춘식. (2007). 韓半島 雨雹 特性에 관한 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94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506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7-11-1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