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동아시아 脫近代性과 毅齋 許百鍊의 活動에 대한 相關關係 考察

Metadata Downloads
Author(s)
강원
Issued Date
2007
Keyword
동아시아|탈근대성|의재 허백련|서구적 근대화|조선말기
Abstract
의재 허백련(毅齋 許百鍊, 1891~1977)은 서구의 문물과 동아시아의 고유한 정신적 가치가 일본의 ‘脫亞入歐’로서 서구적 근대화와 강하게 부딪치던 조선말기로부터 한일합방, 한국전쟁 등 실로 한국사에 그 유래를 찾기가 힘들 정도로 많은 변혁을 격던 시기에 태어나서 활동했던 화가이다. 예술적 영역에서 보았을 때 ‘東洋畵’라는 회화영역에 한정되어 있는 작가였지만 그의 삶의 궤적을 통해 보여준 다양한 사회활동은 단순히 예술의 영역을 넘어서 예술이 사회적 실천 속에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일깨워준다. 특히 근대화 과정 속에 배태된 수많은 문제점들이 논의되고 과연 ‘近代化’가 近代性의 본래적 실천기재로서 적합한가를 연구하는 수많은 학자들에게 ‘脫近代’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미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고 보면 許百鍊의 행적을 면밀히 관찰해야 할 당위성이 충분히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의 삶 속에 탈근대로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근대화는 이성과 합리성, 인간주의, 시민중심적 사회성, 진보와 해방 등으로 나열되는 近代性의 普遍性과는 동떨어진 것이었다. 일본의 脫亞入歐로서 서구적 근대화 모델이 국가권력에 의해 강압적으로 이루어진 외형적 물질적 근대화였으며, 그런 상황은 결국 태생적으로 각 지역의 전통적 기재들과 끊임없는 마찰을 생성해 냈다. 즉 지역별 여건과 역사성, 지역성 등에 따라 해당 지역민의 삶 속에 구체화되고 조직화된 근대성의 특수성이 적용된 것이 아닌 외적인 근대화와 더불어 내적인 문화의 기형화가 끊임없이 반복되던 것이었다. 근대성의 실천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자기 정체성의 확보가 결여된 근대화는 결국 한국의 문화가 정체성을 상실하고 부유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런 상황은 역설적으로 오늘날에 와서 전통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해석과 실천이 요구되기에 이른다.
오늘날 서구의 사유와 통치방식을 지배해왔던 國家哲學state philosophy의 한계가 드러나고, 개인의 자유와 욕망이 지배하는 脫近代時代의 사회 속에서 노마돌로지nomadology가 脫近代時代의 새로운 사유와 실천방식임을 역설하는 것은 과거 근대화 과정에서 겪었던 수많은 퇴행적 현상들, 예컨대 정신적 제요소의 상품화, 자본의 예속, 과학기술의 남용, 자본적 계급구조의 발달, 소외, 환경파괴, 국가간 갈등, 전쟁 등 근대화시대가 노정한 극명한 한계를 벗어나 개인의 정체성이 확장되고 또 그것이 사회 내에 존속하는 ‘모래알 같은’ 개인관계 시대의 당연한 귀결이라 할 것이다. 오늘날의 국가가 과거의 왕이나 교회를 계승하듯이 國家哲學도 과거의 통치술과 종교를 계승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노마드적 삶은 과거에도 존재했으며 노마돌로지 또한 억압과 통제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지식체계로 존재해왔다. 그 가운데 동아시아의 노마돌로지로서 오늘날 재조명되고 있는 것이 老子와 莊子에 의해 계승되어진 道家哲學이다. 또한 이것은 서구적 문화의 대항마로서 지식인과 민중 속에서 새로운 문화적 실천 기재로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許百鍊의 繪畵 속에 老莊思想은 거의 전체라 할 정도로 강하게 나타나는 회화적 문맥이다. 또한 그가 화인, 문인들과 만들었던 鍊眞會는 수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여 오늘날 전통적 회화의 대맥을 이룬 文化運動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는 일본에 의해 강압적으로 이루어진 서구식 근대화의 한계를 넘어 普遍的 近代性과 近代性의 特殊性을 아우르는 자아정체의 발로로서 전통을 현재적 삶에 결합시킨 문화운동의 중요한 실례이다. 탈근대시대의 사회구조는 물리적 힘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다. 종래의 국가 통치적 관점에 사회를 담아내는 데는 그 한계가 매우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 시대를 이끄는 사회적 문맥은 문화라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회성원의 다양한 참여를 통한 문화운동은 내생적·자발적 문화사회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실천기재로 작용한다. 許百鍊의 鍊眞會가 구가했던 문화적 맥락은 老莊思想에 있다. 부연하거니와 老子와 莊子에 의한 道家哲學은 노마돌로지로서 오늘날 매우 폭넓은 사회적 확장성을 갖고 있다.
許百鍊의 無等山에서 農業學校 운영과 차보급 운동은 국가로부터 기인한 수직적 근대화가 아닌 내생적·자발적인 근대화의 전형으로서 보편적 근대성의 순기능적 역할이라고 보여진다. 아울러 檀君神殿의 복원에 대한 노력은 일본의 강압적 근대화와 식민정책에 의해 사라진 민족 정체성에 대한 회복이며 서구식 근대화가 가져온 전통의 파괴, 생활양식의 파괴를 문화적으로 회복하려는 노력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許百鍊이 일본식민지의 미술정책에 반대하여 중앙화단활동을 접고 낙향하여 南宗畵를 고집한 것은 일본 근대화과정에서 나타났던 미술계의 폐해와 더불어 朝鮮의 전통을 말살하고 일본식 오리엔탈리즘에 입각한 통치기구로서 문화전반에 걸친 朝鮮總督府의 신속한 재편 움직임에 대한 반발이며, 자아정체의 발견에 따른 조국 근대화의 보편적 근대성에 대한 진작이라 해야 할 것이다.
脫近代時代인 오늘날 전통에 대한 회복은 필연적 과제로 남아있다. 그러나 전통을 이어갈 주체인 사회성원은 전통적 삶의 방식이 아닌 타자적 삶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통을 보는 두 가지의 방식, 즉 ‘解體’와 ‘回歸’ 사이에서 이 시대 삶의 진정성을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길 찾기’는 결국 노마돌로지에 따른 新文化運動으로 귀결된다. 그 실천적 전형을 毅齋 許百鍊은 그의 삶과 사상, 활동을 통해 보여준 것이다.|Uijae Huh Baekryun (毅齋 許百鍊, 1891 ~ 1977) is the artist who was born and activated in the age of much rapid change which had never found its origin in the Korean history. The period includes from the last era of Joseon Dynasty that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unique spiritual value of East Asia strongly collided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Western style modernization of Japan which tried to escape from Asian level in those days to Hanilhapbang(Unifying Japan and Korea) to Korean War. Although he was an artist who was limited to the sphere of 'Oriental Painting' in the view of arts, a variety of society activities revealed in the trajectory of his life show us what kind of role art has in the social practice not just the sphere of art. Specially, in the situation that so many scholars lively discuss a lot of problems originated from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study whether 'Modernization' is worth in the meaning of its essential practice and also discuss 'Post-modernity' lively. Thus it is much more worthwhile to observe Huh Baekryun's vestige(life) closely. Because his life contains various elements that can be recognized as 'Post-modernism'.
Korean modernization was far from the modernity and universality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reason and rationality, humanism, citizen-centered sociality, progress and release etc.. Western-style modernization model of Japan in the process which tried to escape from Asian level had external and material aspect which was carried out coercively by state power, and such situation had eventually created the unceasing collision with traditional values of each area. That i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ity which had been incorporated and organized in the life of relevant local people in accordance with regional situation, historical background and locality and so on, was not applied, but outward modernization and the deformity of inward culture was repeated constantly. Modernization which was short of the security of own identity that appears necessarily in the practice process of modernity mainly caused the lacking of Korean culture identity and drifting, and this situation paradoxically asks for the new notion of interpretation and practice on the tradition nowadays.
In the present age the limit of state philosophy which has controlled Western private possession and governing method emerges and it is paradoxically spread that the nomadology is the method of new private possession and practice in the Post-modern age which the private freedom and desire dominate. It is natural result of the extreme individualism to try to enlarge the identity of individuals in our society. In fact it shows the clear limits of the modernization age which were revealed in a variety of degraded phenomena caused by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for instance, the commercialization of spiritual and mental factors, the subordination of capital, the ab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capital class structure, estrangement, environment pollution, conflicts in between countries, war and so on. As a nowaday country succeeds to a past king or church, state philosophy is also inheriting the past governing rule and religion. In the similar way, nomadological life was in existence in the past and nomadology has also existed as a body of knowledge to escape from a pressure and control. Among them the thing being reviewed as nomadology today is the philosophy of Taoism which was succeeded by Lao-tzu and Chuangtzu. Also, this stands up against Western culture and is called the possibility that can be operated as a new cultural practice method within intellectuals and public people.
In Huh Baekryun's paintings Taoism constitutes the main context as a whole. Also, A lot of people participated in the Yeonjinhoe(a kind of club) made by him, painters and literary persons, whose club takes the ground of cultural movement constituting the great flow of traditional paintings today. This is an important actual case of cultural movement connecting the tradition to the present life as the issue of self-identity including the universal modernity and the speciality of modernity beyond the limit of Western-style modernization promoted coercively by Japan. Social structure of the post-modern age is not dominated by physical force. The existing concept that a nation controls shows its limit very clearly. It is general point of view that the social context leading this age is culture. Therefore, the cultural movement accomplish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ocial entities is an important practical factor which makes solid and voluntary cultural society. Huh Baekryun's Yeonjinhoe had Taoism as its cultural background. In addition, Taoism by Lao-tzu and Chuangtzu is nomadology, which has very wide social extensity today.
In the painting "Mudeungsan" of Huh Baekryun shows that the management of agricultural school and the movement to spread cars is not the vertical modernization from the country, but the natural functional role of universal modernity as the typical pattern of solid and voluntary modernization. Besides, the effort to restore Dangunsinjeon (the shrine in memorial of Dangun recognized as the founder of Korea) was the recovery about the national identity that was lost by Japanese compulsive modernization and colonialism, and also the cultural recovery movement against the destruction of tradition and life pattern which brought about by Western modernization.
First of all, Huh Baekryun persisted in the paintings of the Southern school after he stopped the painting life in Seoul against the art policy based by Japanese colonialism and went back to hometown. It was the violation against the ruins of the art world revealed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Japan and the fast movement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a governing body based on Japanese Orientalism) to destroy the tradition of Joseon and to reform the general area of our culture, and the progress of universal modernity of our country's modernization in accordance with self-identity.
Even in today of post-modern age, the recovery of the tradition remains necessary task to us. However, ironically, social members who are main constituents to succeed to the tradition is going on the contrast life to the way of traditional life. In this situation, 'our effort to find the new vision' to contain our real life pattern of this age in between two ways of seeing the tradition, that is, 'Deconstruction' and 'Recovery' will eventually be issued in new cultural movement in accordance with nomadology.
Uijae Huh Baekryun showed us the practical nugget through his life and thought, and his activity.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f the Post Modernity in East Asia and Huh Baek-ryun's Art and Social Activity
Alternative Author(s)
Kang, W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순수미술학과
Advisor
양계남
Awarded Date
2007-08
Table Of Contents
Ⅰ. 序文 = 1
Ⅱ. 許百鍊의 南宗畵 인식과 脫近代性과의 相關關係 = 3
A. 許百鍊의 南宗畵에 대한 思想 및 認識 = 6
B. 朝鮮美術展覽會의 活動과 中斷에 대한 再考 = 14
1.日本의 世界化와 美術 展開 = 15
2.許百鍊의 朝鮮美術展覽會 活動에 대한 再考 = 27
a. 朝鮮美術展覽會의 入賞과 活動 中斷 = 27
b. 許百鍊의 南宗畵에 대한 고집과 脫近代性과의 相關關係 = 29
1) 脫近代性으로서 노마돌로지 = 29
2) 脫近代性으로서 許百鍊의 活動 再考 = 35
Ⅲ. 脫近代性과 許百鍊의 활동에 대한 제고 = 38
A. 鍊眞會의 組織과 活動에 대한 認識 再考 = 40
1. 鍊眞會의 組織과 活動 = 40
2. 鍊眞會 活動과 脫近代性의 相關關係 = 44
B. 無等山 入山과 農業學校 運營에 대한 再考 = 48
1. 無等山 入山 = 48
2. 農業學校와 三愛思想 = 52
3. 無等山 活動과 許百鍊의 近代性 認識에 대한 再考 = 53
C. 新文化運動으로서 許百練의 思想展開 現況과 그 展望 = 59
Ⅳ. 結論 = 62
참고문헌 = 65
Abstract = 68
圖板 = 7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원. (2007). 동아시아 脫近代性과 毅齋 許百鍊의 活動에 대한 相關關係 考察.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86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36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7-11-1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