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한옥 거주후 실내주거만족도와 선호도에 관한연구
- Author(s)
- 오수현
- Issued Date
- 2013
- Abstract
- 한옥은 아주 오랜 시간동안 형성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대표 주거문화이다. 시간이 지나 차츰 근대화로 발전되는 과정에서 서구문물의 유입으로 여러 주거형태가 등장하면서 우리나라 전통 주거문화에 파격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의 여파로 한차례 주거 공간 개선의 많은 변화가 있었고 1990년대 이후에는 시골의 가옥들을 보더라도 완전한 도시형 주택으로 많은 변화를 몰고 왔다. 이는 새로운 주거문화의 편리함과 시공설계의 간편함, 시공비의 절감효과 등 무시 할 수 없는 요인이 많다는 점도 주거변화의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형주택으로 인식되어져 온 아파트나 일반 주택들의 건축 자재들이 가지고 있는 화학물질의 유출로 주택의 실거주자에게 각종 호흡기질환 또는 피부질환 등을 유발시켜 사회적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음이 현실이다. 그러다 보니 친환경적 측면이 강한 우리나라 전통 자재들로 건축된 한옥이 다시금 건강주택이라는 이름하에 상대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거주기능 이외에 전통경관과 역사문화적인 환경은 세계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는 관광자원으로서 지역과 국가의 경쟁력을 높여주는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정세에 맞춰 정부에서도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살리고자 갖가지 한옥보전 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보와 조선시대에서 그대로 보전된 고택 등 중요 민속자료들을 정비관리 하는 한편 여러 차례 난관이 있었지만 옛날의 한옥마을 이었던 서울 북촌지역을 철저히 보전 정비하여 서울을 대표하는 관광자원으로 성장시켰고, 전주를 대표하는 전주한옥마을 단지를 전주전통문화구역으로 지정하여 훌륭한 관광 자원으로 성장시켰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전라남도에서는 전통가옥이 남아있는 낙후되어있는 농어촌 마을을 사람들에게 살고 싶은 지역으로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 사업으로 천년한옥단지인 행복마을 가꾸기 사업을 2007년부터 시행하였다. 사업내용으로 도시성과 농촌성, 전통과 현대를 함께 접목시켜 한국적 전통성과 지역성 및 도시적 생활의 편리성을 동시적으로 추구하도록 하였고 농어촌 지역이 원래부터 보유하고 있던 소하천이나 돌담 등의 자원을 본래의 모습 그대로 복원하여 활용하는 친화적인 주거환경 정비방식으로 사업을 진행시켰다. 기존마을 정비형과 신규단지형 두 가지로 구분하여 전라남도 내 20개 시군에 135개 마을 안에 총 1.864동의 한옥이 자리 잡고 있고, 새로 추진중인 한옥보존 시범마을은 4개 군에 총56동이 있다. 이렇듯 한옥마을을 새로운 주거문화로 정착시키기 위하여 여러 기관들의 체계적인 사업육성과 거주민의 노력과 단합으로 나날이 발전되어 가고 있는데 이를 더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거주민에게 현대한옥의 거주 후 주거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여러 차례 시행하여 한옥의 전통성은 유지하면서 현대적인 건축시공을 접목하였을 때 어떠한 부분의 불필요성과 어떠한 부분의 필요성 또는 충족성의 알아보고 거주자가 더 나은 편리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주거개선방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한옥에 대한 이론과 주거만족도, 선호도를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만족도 조사의 분석의 틀을 설정하였고, 현대한옥의 특성별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여 동선구성방법, 실내마감방법, 실내환경, 내부설계방법, 주거관리방법등 5개 항목으로 구분하였고, 일반항목으로 개인적특성을 첨부하여 설문문항을 만들었다. 주거만족도부분은 25문항, 실내선호도는 12문항, 개인적인 인구통계변수 12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약 한 달 가량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거율은 83.1% 이다. 분석방법은 SPSS 19.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설문문항의 구성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측정의 신뢰성을 확인 하기위해 Cronbach’α 값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보면 거주자들 대부분이 외부 환경적인측면의 주거만족도를 나타냈지만 실내공간에 대해서는 내부 마감재 부분과 수납공간의 규모방식, 습도 쾌적성, 방음 등에서 불만족이 많이 나타났고 현대한옥에 거주하면서 드는 관리비용이나 유지비, 보수비 등 비용적인 면에서 많은 부담을 느낀다고 대답하였다.
이러한 점들을 볼 때 현대한옥의 건축 시 외장적인 면이나 실내 마감부분에서 사업을 맡고 있는 기관들이 거주자에게 부담이 가지 않는 합리적인 구성의 설계 시공법을 계발하여 상용화 하여야 할 것이고 관리방안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생각한다.
이 연구가 관광자원의 한옥이나 거주공간의 한옥 개발 시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현대한옥의 꾸준한 발전에 이바지 할 것이라 기대한다.|Hanok is a representative Korean housing style which has been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our society, many housing types have appeared and unprecedented changes have been made to our traditional housing culture. As an aftermath of the Saemaeul Movement in the 1970s, there was a lot of change in housing spaces, and since the 1990s, even rural houses have changed into urban style houses. The convenience of the new housing culture, the simplicity of the construction and design, and savings in construction expenses are some of the reasons why housing systems have changed. However, as new construction materials used in apartments or detached houses can give off chemicals or vapors, they may cause residents to develop respiratory or skin diseases. So, Korean traditional construction materials which are considered eco-friendly have gained popularity under the banner of healthy houses.
On the other hand, this provides a traditional appearance and the creation of a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as competitive tourist attractions as well as having residential function. To keep up with this trend, the government has been engaged in a Hanok preservation project to revive the identity of our traditional culture. Our national treasures and important folk materials, such as ancient traditional houses, have been well-preserved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involved with this. Bukchon in Seoul which was a Hanok village has been organized and preserved completely as a tourist attraction representing Seoul, and Jeonjoo Hanok Maeul has been developed into a nice tourist attraction in Jeonjoo as a traditional cultural zone.
For rural and fishing villages with traditional houses in Jeollanam-do, the Hangbok Maeul Project has been in operation since 2007. This project combines urbanity and rurality with tradition and modernity pursuing locality and convenience in urban life simultaneously, and small streams or stone walls have been revived and used as they were in the past. Villages have been categorized into two types: reorganized villages and newly-constructed complexes. A total of 1,864 Hanok houses are located in 135 villages in 20 cities and counties in Jeollanam-do and a new Hanok preservation village has a total of 56 houses in four counties. To guarantee Hanok Maeul as a new residential culture, many organizations have developed systematic projects and residents have cooperated in them with each other. Existing residents have been interviewed several times to investigate their satisfaction in their residences, and to understand what is necessary or unnecessary when modern construction methods are applied to Hanok with a traditional appearance for better housing.
This study looked at theories on Hanok, the satisfaction with living conditions, and preferences, set up a frame for a satisfaction survey through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nd made an evaluation list made up of five items in the line of flow, interior finish, indoor environment, interior design, and housing management includ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develop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5 questions on satisfaction in living, 12 on interior preference, and 12 on individual demo-statistical variables. The interviewing took place over about a month and the recovery rate was 83.1%. With the use of SPSS 19.0, this study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To verify the compositional validity of the questions, the study conducted a factor analysis. To check confidence in parameter measurements, the Cronbach’α value was calculat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such process are presented as follows: Most resi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while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indoor finish materials, the amount of storage space, the humidity, the pleasantness and how noise-proof the houses were, and they had a lot of burden in management expenses such as maintenance expenses.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suggested that those in charge of the external decoration and indoor finishing should develop reasonable design and organized management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consistent development in modern Hanok by providing the basic data needed for Hanok development as a tourist attraction or residential space.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f th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fter
- Alternative Author(s)
- OH Soohyu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 Department
- 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학전공
- Advisor
- 윤갑근
- Awarded Date
- 2014-02
- Table Of Contents
- 표목차
그림목차
ABSTRACT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3 연구의 흐름도
제2장 현대한옥과 주거만족에 대한 이론적 고찰
2.1 현대한옥에 대한 고찰
2.1.1. 한옥의 정의
2.1.2. 한옥의 유형분류
2.1.3. 한옥의 현대화 변천과정과 형성배경
2.1.4. 외국의 현대한옥 사례
2.1.5. 현대한옥의 유형분류
2.1.6. 현대한옥의 변화
2.2 주거만족도와 선호도에 관한 고찰
2.2.1. 주거만족도의 개념
2.2.2 주거만족도의 영향요인
2.2.3 주거만족도의 측정
2.2.4 주거선호도의 개념
2.3 현대한옥과 주거만족의 선행 연구
제3장 전라남도 천년한옥의 현황조사 및 분석의 틀 설정
3.1 천년한옥의 현황분석
3.1.1. 행복마을의 개념
3.1.2. 행복마을의 추진방법
3.1.3. 행복마을의 현황
3.2 분석의 틀 설정
3.2.1. 분석대상지 선정
3.2.2. 분석연구 설계와 분석방법
3.2.3. 설문지의 구조
3.2.4. 가설의 설정
제4장 실내주거 만족도에 관한 실증분석
4.1 기초통계량 및 빈도분석
4.1.1. 응답자의 인구통계 분포
4.1.2.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4.2 특성별 실내만족도 분석
4.2.1. 공간구성적 특성
4.2.2. 계획요소별 특성
4.3 항목별 실내 선호도 분석
제5장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부록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오수현. (2013). 현대한옥 거주후 실내주거만족도와 선호도에 관한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8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526
-
Appears in Collections:
- Art, Design, & Physical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4-02-26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