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색을 통한 집단 미술치료가 정신보건센터 거주자들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Author(s)
- 최은혜
- Issued Date
- 2013
- Keyword
- 염색, 정신보건센터, 자기효능감, 사회성, 집단미술치료
- Abstract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duce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thos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are preparing to reenter society, while being cared for in mental health centers, through group art therapy using dyeing and to help them enhance their self-efficacy and social adjustment and have a satisfactory social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females with mental disorders who were preparing for social life in S center. To test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a control group and a experimental group, and the therapy program was don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and lasted 21 sessions. The study tried to decreas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the subjects by approaching th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loss of energy,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ow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nd sensitivity to change through the medium of dyeing. The subjects were encouraged to have active interaction and connectiveness with their dyeing group members and perceive themselves as positive to enhance their self-confidence and self-efficacy.
The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therapy would inspire the subjects to express themselves naturally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bil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SES and the KIIP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K-HTP and LMT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dye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and enhanced their self-control and self-confidence in subscales.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progra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tot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subjects, but of 8 subscales,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trol, indifference, social checks, and non-assertiveness.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dyeing, used in the program, had good efficiency as a therapeutic means.
Fourth, it was discover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 subjects gai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nhance their interaction with others so they could have good connec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shown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dye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and sociability of the subjects. However, due to the limits of this study which was applied only to females with mental disorder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should include more diverse subjects including males.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propos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dyeing as a therapy program by proving its efficiency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dyeingon the Self-efficacy and Sociability of Residentsin a Mental Health Center
- Alternative Author(s)
- Choi Eun-Hye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디자인대학원 미술심리치료
- Advisor
- 노은희
- Awarded Date
- 2013-08
- Table Of Contents
- 목 차
영문 초록 1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문제 3
제3절 연구 방법 4
제4절 용어의 정리 5
1. 염색 5
2.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5
3. 정신장애 6
4. 자기효능감 7
5. 사회성 7
6. 집단미술치료 7
제2장 이론적 배경 9
제1절 정신장애 9
1. 정신장애의 개념 9
2. 정신장애인과 자기효능감 10
3. 정신장애인과 사회성 14
제2절 염색 15
1. 홀치기 기법 18
2. 전사 기법 19
3. 마블링 기법 20
4. 콜드왁스 염색 기법 20
5. 크레용 염색 기법 21
6. 염색 색종이 기법 22
7. 염색용 물감 기법 22
제3절 염색미술치료 23
제4절 집단미술치료 24
제3장 연구 방법 27
제1절 연구 대상 27
제2절 연구 도구 28
1. 자기효능감 척도 28
2. 대인관계문제 척도 29
3. 동적 집-나무-사람(K-HTP) 그림 검사 30
4. 풍경구성법 검사(LMT) 31
제3절 연구 절차 31
제4절 자료 분석 32
제5절 염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33
1. 염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배경 33
2. 염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34
3. 회기별 염색미술치료 프로그램 34
제4장 연구 결과 38
제1절 양적 검사 결과 38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정 38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효능감의 변화 40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대인관계 문제의 변화 41
제2절 질적 검사 결과 43
1. 실험집단의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 사전∙사후 비교 분석 43
2. 실험집단의 풍경구성법 사전∙사후 비교 분석 49
제3절 염색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회기별 비교 분석 54
1. 초기단계의 회기별 프로그램 및 행동 관찰 54
2. 중기단계의 회기별 프로그램 및 행동 관찰 63
3. 후기단계의 회기별 프로그램 및 행동 관찰 75
4. 종결단계의 회기별 프로그램 및 행동 관찰 93
제5장 논의 102
제6장 결론 및 제언 106
참고 문헌 108
그 림 목 차
홀치기 기법 19
전사 기법 19
마블링 기법 20
콜드왁스 기법 21
크레용 염색 기법 21
염색용 색종이 기법 22
염색용 물감 기법 23
B -1 56
B -2 56
D -1 56
D -2 56
E -1 57
E -2 57
F -1 57
F -2 57
G -1 57
G -1 57
B 59
D 59
E 59
F 59
G 59
B 61
D 61
E 62
F 62
G 62
B 64
D 64
E 64
F 64
G 64
B 66
E 66
F 66
B 68
D 68
E 68
F 68
G 68
B 70
D 70
E 70
F 70
G 70
B 앞 74
B 뒤 74
D 74
E 74
F 74
G 74
B 77
D 77
E 77
F 77
G 77
B -1 79
B -2 79
D, G -1 79
D, G -2 79
E, F -1 79
E, F -2 79
B 82
D 82
E 82
F 82
G 82
B 84
D 84
E 84
G 84
B 86
D 86
E 86
F 86
G 86
집단 만다라 88
D 90
F 90
G 90
D 92
E 92
F 92
G 92
함께 그린 소망 나무 95
함께 꾸민 센터 97
D 99
F 99
E 99
B 100
D 100
E 101
F 101
표 목 차
염료의 종류 17
실험 집단 27
통제집단 28
자기효능감 하위 척도 29
염색을 통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진행 구성 32
염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35
자기효능감 동질성 검정 38
대인관계문제 동질성 검정 39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효능감 변화 40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대인관계 문제 변화 42
실험집단 B 여성의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 사전∙사후 분석 44
실험집단 D 여성의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 사전∙사후 분석 45
실험집단 E 여성의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 사전∙사후 분석 46
실험집단 F 여성의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 사전∙사후 분석 47
실험집단 G 여성의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 사전∙사후 분석 48
실험집단 B 여성의 풍경구성법 사전∙사후 분석 49
실험집단 D 여성의 풍경구성법 사전∙사후 분석 50
실험집단 E 여성의 풍경구성법 사전∙사후 분석 51
실험집단 F 여성의 풍경구성법 사전∙사후 분석 52
실험집단 G 여성의 풍경구성법 사전∙사후 분석 53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최은혜. (2013). 염색을 통한 집단 미술치료가 정신보건센터 거주자들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8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026
-
Appears in Collections:
- Art, Design, & Physical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3-08-22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