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디지털 건축에 나타난 유기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인영
Issued Date
2011
Abstract
디자인 분야에서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현대 건축의 디자인에 큰 분기점을 가져왔다. 건축은 다른 디자인 분야에 비해 중력, 재료, 공간의 물리적 제약과 공간 구성요소의 유기적 활동성이 가지는 한계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이러한 건축 디자인 분야는 혁명적인 속도로 팽창하고 있는 디지털 패러다임과 건축 디자인 프로세스의 통합으로 인해 이제까지 기하학적이며 물리적 공간 안에서 이루어졌던 공간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념의 공간, 유기적 공간이 나타나게 되었다. 유기적 공간은 ‘디지털의 개념을 적용하여 자연의 유기성, 생명현상들을 모방하는 시도들’로서 디지털의 개념이 나타나기 전 자연적 모방만을 시도해왔던 유기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선 새로운 공간이다. 이러한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인 공간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유기적인 형태와 연속적인 관계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환경과 상호 작용하며 유기적인 공간 개념들을 형상화함으로써 현재 비기하학적이고 역동적인 형상의 건축과 그 실내공간을 조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디지털 건축에서 나타나는 유기적 표현 특성들은 그 개념이 방대하고 복합적인 의미를 띄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디자인 표현에 적용 가능한 키워드 도출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13가지의 표현특성들을 정리하였다. 이 특성들은 분석의 기준에 따라 서로 연관되기도 하고 상위체계 또는 하위체계로 정리될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상호 보완적인 개념으로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공통적인 개념들을 묶어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분석 사례는 현재 유기적 디자인을 중점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자하 하디드의 2005년 이후의 작품을 선정대상으로 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자하 하디드의 건축과 실내공간에서 보여 지는 디지털의 유기적 표현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디지털과 자연이 조화롭게 결합된 유기적 건축과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기하학적인 수직, 수평으로 구성된 공간을 탈피한 유기적 전체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형태적 분류의 비선형성 개념인 유동성, 역동성, 위상변환성의 개념이 대부분의 작품에서 나타났으며 형태적 측면에서 유동성은 공간의 입체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역동적인 표현과 부드러운 연속을 통해 내부를 구성하는 모든 면이 하나의 면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개념과도 연관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비선형성은 공간을 대표하는 표현특성으로서 다른 표현특성과 더불어서 공간에 표현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현대건축에 적용시킬 수 있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디지털을 통해 비선형의 개념을 공간에 적용시키며 기존의 기하학적인 건축양식과는 확연히 다른 새로운 공간형태를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선형적 형태가 외부에서 내부로 연계 작용하여 변형을 통해서 공간과 공간, 외부와 내부, 관객과 공간의 연속적 상호관계성을 유도하고 있었다. 상호간에 지속적으로 공유되는 듯한 연속성이나 주변 환경의 다양한 변수에 따라 유동적 형태로 주변과의 유기적 관계를 갖는 조직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면에서 연속적으로 접히는 유기적 형태, 공간과 공간의 연결, 재료의 투명성, 공간 내부의 동선체계나 프로그램 및 문화공간의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외피와 주변 환경은 내부로 흘러 들어와 추상적, 감성적으로 외부와 내부의 경계가 무의미 해지는 탈경계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넷째, 이러한 유기적 형태를 가진 건축물은 기존의 정형적인 건축물의 형태를 벗어나 도시적 랜드마크가 될 수 있으며 국제적인 차원에서도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현대건축의 기하학적이고 정형적인 형태로 획일성의 한계에 부딪힌 건축 디자인 현실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됨으로서 국제적, 도시적 차원에서 큰 경쟁력을 갖춘 디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현재 디지털 건축에서 유기적 표현특성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자하 하디드의 사례분석을 토대로 최근 디지털 건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유기적 공간의 개념과 조형원리를 파악하여 앞으로 공간디자인에 유기적 개념을 적용시키기 위한 자료를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in design filed brought a big turning point to the design of modern architecture. Compared to other design fields, architectural design is greatly affected by the physical constraints, such as gravitation, materials and space, and also the limits of organic activity of space composition factors. In this architectural design field, the space with new concept and organic space come into sight, escaping from the space concept in the geometric and physical space until now, due to the integration between the digital paradigm and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expanding at a revolutionary speed. Organic space is ‘an attempt imitating the organic propensity and phenomenon of life in the nature, by applying digital concept’, and a space beyond the limits of organic space which have attempted only the natural modeling before the emergence of digital concept. This organic space of digital architecture maintains the organic relation with the organic forms,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Also, by embodying the organic concepts th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it has created the architecture in non-geometric and dynamic shape, and its interior space.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is digital architecture, has complex vast concepts and complex meaning.
In this study, for deriving the keywords applicable to the organic design expression of digital architecture, the 13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having appeared in the previous study, have been organized. These characteristic can be related to each other or can be organized as the sub-system or high level system, depending on the analytic criteria, but in this thesis, the keywords have been derived in a way that the common concepts which can represent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digital architecture well, are bound. The case study for an analysis targeted Zaha Hadid's works since 2005, because they predominantly showed the organic design.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the organic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appeared in Zaha Hadid's architecture and interior spac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reation of organic architecture and space in which the digital and the nature were combined in harmony, empathized the organic wholeness, escaping from the space configured by geometric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The nonlinearity concept in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such as liquidity, dynamics and phase transformation appeared in most of the works, and the liquidity, in the morphological aspect, has brought the cubic change to space. Because of this, it was known that, through this dynamic expression and smooth continuation, all sides were connected to one side and related to other concepts at the same time. This nonlinearity was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a space, and it was expressed in a space, in liaison with other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it was known that it was the essential elements which could be applicable to modern architecture, and a new space form which wa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geometric architecture was attempted.
Second, the non-linear form was affiliated from outside to inside, and induced the continued correlation through the transformation between ‘a space and a space’, ‘inside and outside’, and ‘the audience and a space’. It represented the structural configuration, having organic relations with the surroundings, according to the continuity which seemed to be mutually shared continuously or the various variables of the environment.
Third, by providing the organic form being continuously folded on the side, the connection between spaces, the connection with the traffic system inside the space or the cultural space, an outer cover and the environment flowed into the inside and the border became meaningless in the abstract and sentimental perspectives. In other words, border crossing was taking place.
Fourth, the structures with this organic form can break from the form of formal structure and become an urban landmark, and also become the elements increasing economic efficiency in the perspective of global level. This will be an alternative to the reality in the architectural design, facing the limits of uniform, due to the geometric and typical form of modern architecture, and, therefore, become a competitive design at global and urban level.
The organic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in the present digital architecture,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case study of Zaha Hadid. This study is the data which can be used for apprehending the concept and the design principles of organic space, and aims to suggest the data for the application of the organic concept to the space in the future.
Alternative Title
The organic expression characteristics appeared in digital architecture.
Alternative Author(s)
Jung, In 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partment
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학전공
Advisor
윤갑근
Awarded Date
2011-08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연구의 흐름 구성도
제2장 디지털 건축의 이론적 고찰
2.1. 디지털 패러다임
2.1.1. 디지털의 개념
2.1.2. 디지털에 의한 공간개념의 확장
2.1.3. 현대건축의 디지털 기술 활용
2.2. 디지털 건축의 개념 및 정의
2.2.1. 디지털 건축의 개념
2.2.2. 디지털 건축의 형태적 배경
2.2.3. 디지털 건축의 표현특성
제3장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특성
3.1.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개념과 배경
3.1.1. 유기적 디자인의 개념
3.1.2.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배경
3.2.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표현특성 분석
3.2.1.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디자인 특성
3.2.2.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표현특성 분석
3.3.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표현유형
3.3.1. 비선형성
3.3.2. 상호관계성
3.3.3. 비물질성
제4장 사례조사 및 분석
4.1. 자하 하디드의 디자인 배경과 이념
4.1.1. 자하 하디드의 디자인 배경
4.1.2. 자하 하디드의 건축 사고 개념
4.2. 조사개요
4.2.1. 사례선정의 범위 및 개요
4.2.2. 사례분석의 틀
4.3. 사례분석
4.3.1. Nuragic & contemporary art Museum
4.3.2. Nordpark Cable Railway
4.3.3. Abu Dhabi performing art center
4.3.4. London Aquatics center
4.3.5. heydar aliyev cultural center
4.3.6. Dongdaemun Design Park & Plaza
4.3.7. Mobile art - Chanel pavilion
4.3.8. Bahrain Hybrid Museum
4.3.9. JS BACH Chamber Music Hall
4.3.10. The Guangzhou Opera House
4.4. 분석의 종합
제5장 결론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정인영. (2011). 디지털 건축에 나타난 유기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5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1926
Appears in Collections:
Art, Design, & Physical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8-1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