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공동주택 거주자의 인지가치에 의한 주거만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신석하
Issued Date
2006
Abstract
21세기에 들어 심화된 세계 각국의 지배적인 시장주의 정책으로 인하여 산업간·업종 간 경쟁이 국경을 넘어 서비스의 품질이 측정되고 발표되는 등 무한 경쟁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국가 간 자유무역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경쟁의 대상은 더욱 더 넓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주택산업도 이미 주택공급 초과, 소득 증대, 수요자의 욕구 증대, 주거환경에 대한 인식의 증대 등으로 변화기에 이르렀고, 정부정책도 과거의 양적 증대 정책에서 질적 향상 정책으로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근래 많은 연구들이 주거선택의 문제에서 양적·질적 변화를 고려하게 되었고, 주거선택에 대한 연구도 수요자의 변화에 대응해서 공급자가 무엇을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주택의 수요자이자 이용자인 거주자가 생각하는 주거선택 항목별 중요도 평가와 가격 대비 만족도인 인지가치를 조사하여, 그 차이가 가지는 의미와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거주자의 주거선택에 대한 눈높이를 기준으로 한 인지가치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제주시 지역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조사한 실증자료를 선행연구의 실증조사자료와 비교하면서 지역별, 시기별로 조사대상 아파트별 주거선택의 속성에 따라 거주자가 생각하는 중요도가 달리 나타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어떤 속성에 대해서는 분양, 임대에 따라서, 또는 주부와 남편에 따라서, 또는 소득과 거주 평수에 따라서도 주거선택에 대하여 인식하는 중요도가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만큼 거주자의 특성에 따른 선호 유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동주택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목표시장의 수요자를 선정하고, 그들이 선호하는 유형에 맞게 주택을 공급할 필요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단지외부환경, 단지내부환경, 아파트실내환경 그리고 사회경제환경을 주요 독립변수로 하여 만족도를 측정하였는데, 전체만족도는 단지외부환경보다는 단지내부환경과 아파트실내환경 그리고 사회경제환경에 영향을 더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의 중요도와 인지가치의 차이가 클수록 전체만족도 및 각 주요 요인별 만족도 모두에 공통적으로 음(-)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측정된 각 항목의 중요도와 인지가치를 가지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결과 측정치의 평균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중요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인지가치는 낮게 나타난 비효율적인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의 수요자이자 이용자인 거주자가 아파트 인지가치를 평가한 것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무엇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의 문제에 집중했다면, 거주자의 중요도를 기준으로 볼 때 무엇을 얼마만큼 개선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실증조사대상인 제주시 지역 신시가지 아파트단지의 네 가지 환경요인을 구성하는 7개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인지가치의 차이를 독립변수로 하고 전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변수투입법을 stepwise로 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95%의 신뢰수준에서 단지외부환경 요인에서는 생활환경과 교육환경, 단지내부환경 요인에서는 단지형태, 아파트실내환경 요인에서는 실내공간, 실내쾌적성, 사회경제환경 요인에서는 경제가치와 비용가치에 대한 중요도와 인지가치의 차이가 클수록 전체만족도가 나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전체만족도 = 5.608 - 0.167 × (실내쾌적성 차이) - 0.140 × (경제가치 차이) - 0 .105 × (단지형태 차이) - 0.088 × (비용가치 차이) - 0.124 × (실내공간 차이) - 0.095 × (생활환경 차이) - 0.045 × (교육환경 차이)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할 때, 아파트 거주자가 주거선택 요소별 중요도를 평가하고 자신이 지불한 비용을 기준으로 생활하면서 평가한 인지가치의 차이를 줄이는 것은 각 요인별 만족도를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아파트 거주생활의 만족도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결국 주거환경의 중요도와 인지가치의 평가차이를 줄이는 것이 주거산업의 경쟁력을 더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Due to the flourish of capitalism in recent decades, stronger-than-ever competition is becoming reality in every industry. Moreover, the boundary of competitors is becoming wider than ever due to the enlargement of free trades between countries.
The housing industry of our nation is currently going through big changes due to the oversupply of housing, the increase in income, the increase in the consumer preference. the increase in the interest about the liv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se trends, many researches in recent years have considered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in the housing problem, and have been carried out with focus on what and how the housing suppliers need to improve.
This research stresses on analysis of the consumer's degree of satisfaction based on the consumer's preference about housing, by analysing the meaning and the effect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degree of the housing selecting factors and the perception value which is the satisfaction degree versus the housing expense.
We compare our data wit the data of previous researches conducted on apartment complexes in Jeju area, and observe that the consumer preferences vary according to regions and periods. We observe that for some factors such factors as sales or rental, housewives or husband, income, the gross apartment area affect the consumer preference. This shows that the character of the consumers really affect the consumer preference. It means that the housing industry should set the category of consumers before they make the housing plan and supply the housing according to their needs.
We measure the satisfaction degree with the outside and inside environment of the apartment complex, the interior of the apartment, and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It turns out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degree is affected more by the inside environment, interior environment, socio-economic environment than the outside environment.
Moreover, if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and the consumer satisfaction, the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individual items are both affected negatively. As we have made the portfolio with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he preception value, we could confirm that there are several factors whose degree of importance is high but whose degree of satisfaction is low.
This research provides informations about "what and how much" mush be improved,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es which provides informations about "what and how" must be improved.
This research performs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epwise enter method with the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gaps in the importance degree and the preceptive values in 7 factors which comprise the 4 environment typ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we could conclude with 95% confidence level that as the differences in the living environments, the education environments, the shape of the apartment complex, the interior space, the interior environment, economic value, and the expenses value become larger, the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become worse.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 5.068
- 0.167 x (gap in the in housing environment)
- 0.140 x (gap in the economic value)
- 0.105 x (gap in the shape of apartment complex )
- 0.088 x (gap in the expenses)
- 0.124 x (gap in the interior design)
- 0.095 x (gap in the living environment)
- 0.045 x (gap in education environment)
In conclusion, our research shows that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degree and the perceptive value of the consumers not only increas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each items but it also is related to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consumers. Therefore,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degree and the perceptive value is important in strengthening the competing power of housing industry.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by the Perception Value of the Residents at Multi-Family Housing
Alternative Author(s)
Shin, Suk-ha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김수인
Awarded Date
2007-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표목차
그림목차
제 1 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 연구의 배경 = 1
2. 연구의 목적 = 2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1. 연구의 범위 = 3
2. 연구의 방법 = 4
제3절 연구논문의 구성 = 6
제 2 장 주거선택과 인지가치 = 9
제1절 주거선택 = 9
1. 주거선택단계 = 9
2. 주거선택 의사결정 = 14
3. 주거선택 중요도 = 17
4. 주거선택요소 분류 = 25
5. 주거선택요소 = 29
제2절 인지가치 = 31
1. 환경인지 = 31
2. 인지가치 = 33
제 3 장 주택정책과 주택공급 = 38
제1절 주택정책의 변화 = 38
1. 1960년대 이전 : 일제강점기 성향 = 41
2. 1960년대 : 주택정책의 태동기 = 41
3. 1970년대 : 주택 대량공급의 기반조성기 = 43
4. 1980년대 : 주거복지 제도 및 주택문제 정비기 = 45
5. 1990년대 : 양적 주택 실현기 = 48
6. 2000~2005년 : 주거수준 향상기 = 49
제2절 주택공급 현황 = 52
1. 주택보급률 = 52
2. 주택공급 = 57
3. 규모별 공동주택 공급 = 62
4. 아파트의 규모 변화 = 65
제 4 장 제주시 아파트 공급과 조사지역의 현황 = 68
제1절 택지개발사업 = 68
제2절 아파트 공급 현황 = 69
1. 대한주택공사와 지방자치단체의 아파트 공급 = 69
2. 택지개발사업지구 내의 아파트 공급 = 70
제3절 조사지역의 개요 = 71
1. 택지개발 개요 = 71
2. 택지개발사업의 주요 내용 = 73
3. 조사대상단지의 선정 및 특성 = 76
제 5 장 주거선택 중요도 분석 = 84
제1절 응답자의 특성 = 84
1. 조사표본의 구성 = 84
2. 응답표본의 특성 = 87
제2절 주거선택 중요도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 = 91
제3절 주거선택 요인의 중요도 검증 = 93
1. 항목별 중요도 평가 = 93
2. 주거선택 요인별 중요도 차이검증 = 99
3. 주거선택 요인별 중요도 상관관계분석 = 108
제 6 장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112
제1절 주거선택 요인의 만족도 분석 = 112
1. 인구사회학적 변인별 만족도 차이검증 = 112
2. 회귀분석을 이용한 만족도 분석의 틀 = 124
3. 전체만족도 분석 = 125
4. 단지외부환경 만족도 = 127
5. 단지내부환경 만족도 = 128
6. 아파트실내환경 만족도 = 129
7. 사회경제환경 만족도 = 131
제2절 주거선택 요인의 중요도·인지가치 차이관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132
1. 순위별 중요도와 인지가치 평가 비교 = 132
2. 중요도와 인지가치의 평가 포트폴리오 구성 = 135
3. 중요도와 인지가치 요인 간 차이검증 = 136
4. 주거환경의 중요도와 인지가치의 차이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139
제 7 장 결론 = 146
참고문헌 = 151
부록
국문초록
감사의 글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신석하. (2006). 공동주택 거주자의 인지가치에 의한 주거만족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54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392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9-1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