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현대건축의 표피와 공간에 나타난 투명성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강승완
Issued Date
2006
Abstract
근대 건축 공간에서 유리를 비롯한 투명한 물성을 가진 자재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됨에 따라 투명성(transparency)은 근대 건축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이 되었고 그 개념은 분화를 거듭하여 재료의 표현으로 나타나는 즉물적인 개념 이외에 관찰자의 인지적 판단과 관계된다는 현상적인 개념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현대건축에서도 투명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투명성은 오늘날 이 시대에서 간과할 수 없는 다발적으로 생겨나는 자유로운 디자인의 한 요소이자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성을 가진 건물들은 현대건축의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공간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며, 도시의 컨텍스트를 반영하고, 내부공간의 질을 향상시키는 등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투명성’이라는 개념은 현대건축에서 많은 의미로 해석되어 지고 있으며, 그러한 이유로 해서 그 개념 자체가 혼란스럽게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투명성(透明性)’에 대한 다양한 개념과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이 어떠한 디자인원리에 의해 건축에 표현되고 적용되어지는지에 대해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건축의 적용되는 ‘투명성’을 각 관점별로 고찰한 후, 세부관점별로 현대건축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그 디자인기법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현대건축에 나타나는 투명성’의 디자인 기법 및 그 의미를 분석하고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 다양한 투명성의 개념의 유형화 : 표피와 공간
‘투명성’의 개념은 Giedion과 Rowe를 위시한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건축적으로 조명되고 정의되어졌으며, 이를 다시 선행연구들에 비추어 재정리 해본 결과, 크게 ‘표피’와 ‘공간’이라는 두 가지 큰 관점으로 건축에 있어서의 ‘투명성’의 표현양상이 정리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피’적 측면에서의 투명성의 논의는 현대건축의 피막 개념으로써의 클래딩에 대한 표현 관심의 변화와 내?외 경계면으로써의 표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었으며, ‘공간’적 측면에서의 논의는 여러 가지 다양한 공간의 창출에 대한 관심, 지각적?관념적 견지에서의 ‘모호한 경계’에 대한 실험적 시도 등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2) 표피적 관점에서의 투명성
‘표피의 관점’에서의 투명성은 1) 물성(物性)의 강조, 2) 즉물적 경량성, 3) 비물질화된 초표피 , 4) 시각적 양면성 등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른 세부적인 디자인 기법은 유리와 금속의 물성 표현을 극대화 하여, 그 물성 자체를 프로젝트의 성격에 은유하거나, 재료의 투명함을 통해 생동감 있는 다양한 공간과 매스의 탈중력화 등을 연출하는 법과, 표피 재료의 상호 대비를 통한 이미지의 중첩을 통해 공간의 동시성 등을 표현하고, 표면의 투명성을 통해 솔리드를 보이드로 인지하게 하는 등의 공간 및 형태의 조작 경향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표피의 비물질화를 통해 ‘자동성’과 ‘시간성’을 갖는 표피를 구성한다거나, 표피 자체가 변화하고 유동하는 정보를 담아내는 역할을 하는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3) 공간적 관점에서의 투명성
‘공간의 관점’에서는, 1) 정직한 공간, 2) 모호한 경계, 3) 공간의 확장성 등의 세부관점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공간적 논의의 측면에서는 하나의 공간에서 내부공간 구성요소의 투명성 부여를 통해 다수의 공간으로 시선을 유도하여 역동적인 공간을 구성하고, 내부공간에서 시각적 개방감을 느끼게 하는 등의 기법을 찾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내부로 적극적으로 빛을 유입하거나, 내부의 구조 및 내부에서 일어나는 행위를 외부공간의 관찰자와 공유함으로써 공간의 정직성을 도모하였으며,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중성적 성격의 공간을 형성하는 등의 각 공간의 경계 불명확화를 통해 공간의 상호관입과 다양화를 꾀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상 ‘투명성’에 대한 논의는 현대건축의 다양성만큼이나 다각적으로 분석되어지고 있었으며, 연구자의 바라보는 시점에 따른 개념상의 분류가 다양하여 크게 몇 가지의 관점으로 요약하여 살핀다는 것 자체가 무리일 수 있겠으나, 본 연구는 보다 디자인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는 설계자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크게 건축물 형태의 외관을 결정짓는다고 할 수 있는 ‘표피’적 측면과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공간요소의 조합이라는 물리적인 측면에서의 ‘공간’적 측면에서 ‘투명성’이라는 개념의 건축적 적용기법을 살피고자 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향후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투명성’개념의 건축적 적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As the application of materials having transparent property-of-matter including glass increases sharply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 'transparency' has become an important notion in explaining modern architecture. The notion differentiates into various ways, and it further has developed into the phenomenal notion supposedly involving observer's cognitive judgement besides the notion of material itself appearing as a way of expressing materials. Discussions on transparency are continually being don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ransparency, as one mentioned above, is a pattern which can not be overlooked in this age , and one of the liberal elements in design arising simultaneously. Buildings having such transparentness made possible the advent of space pluralistic and complex in contemporaryarchitecture. Also they are widely appearing, reflecting the urban context, improving the quality of inner space.
But the notion, transparency, has been explained as having various meaning in contemporaryarchitecture, for this reason, it is also true that the notion itself is being used ambiguously.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took a look at various notions and possibilities on transparency, and paid our attention to the way, by what design principle it is represented and applied to architecture. With this in mind, we studied the transparency applied to contemporaryarchitecture viewpoint by viewpoint, analyzed the examples of contemporaryarchitecture sub-viewpoint by sub-viewpoint, and then, by studying the respective design techniques, tried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design techniques and their meaning appearing in contemporaryarchitecture.
Through these, we conclude as follows.
1) Categorization of various notions on transparency : Epidermis and Space
The notion transparency was contemplated and defined architecturally by a variety of scholars including Giedion and Rowe. And as a result of rearranging such considerations in the light of preceding research, we were able to see that the architectural aspects of expressing transparency could be classified largely into two viewpoints, epidermis and space.
Discussions on transparency from epidermal aspects could be understood both through the interest change in expressing cladding as a membranous notion in contemporaryarchitecture, and through the viewpoint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pidermis as a bordering surf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ide. And discussions on transparency from spatial aspects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interest in creating various space and through the experimental trials on ambiguous border from perceptual and conceptional viewpoint.
2) Transparency from epidermal viewpoint Transparency from epidermal viewpoint could be categorized into 1) emphasis on property-of-matter, 2) lightness of material itself, 3) visual ambivalence, and 4) non-materialized ultra-epidermis. According to this categorization, we could see the tendency toward space and shape manipulation: the detailed design techniques, by maximizing the property-of-matter expression of glass and metal, allude the respective property-of-matter itself to the character of the project, produce the various dynamic space and mass de-gravitating by way of transparentness of the materials, express the simultaneity of space by overlapping the images through inter-comparison of epidermal materials, and let recognize the solid be recognized as void through surface transparency. We could also see that the detailed design techniques comprise(organize, form) the epidermis having automaticity and time characteristic through non-materializing the epidermis, and that epidermis itself changes and plays a role of including changeable information.
3) Transparency from spatial viewpoint
In spatial viewpoint, transparency is summarized into sub-viewpoints as 1) existing(straightforward) space 2) ambiguous border and 3) space expansibility.
In discussions on transparency from spatial aspects, we could find techniques comprising dynamic space by inducing attention into various space through, from one space, granting the inner space components transparentness, thus letting the visual openness felt within inner space. We could also find in them that lights were actively flowed into inner space, that space straightforwardness is encouraged by sharing both inner structure and actions happening inside the structure with the observers from outer space, and that space inter-penetration and diversification are sought through making the border of respective space obscure like forming space of neutral nature between outer and inner space.
Above discussions on transparency have been being analyzed as variedly as the diversity itself in contemporaryarchitecture. Though it is inappropriate to summarize the discussions into several specific viewpoints, as the notional classifications on transparency are varied according to the points of individual researchers, it can be said that, by approaching with the standpoint of the designers who may have various difficulties in the course of design, the meaning of this thesis lies largely in the fact that it attempted to study the architectural application techniques of transparency notion both through epidermal aspect which could be said to decide on the appearance of the architecture shape and through, in physical aspects as a combination of space components comprising the inner space, spatial aspect to which architectural techniques of transparency notion are applied.
From now on, discussions on architectural application of more systematic and concrete transparency notion are thought to be needed.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Transparency appearing in the Surface and Sp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lternative Author(s)
Kang, Seung Wa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partment
디자인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Advisor
尹甲根
Awarded Date
2006-02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 및 진행과정 = 2
Ⅱ. 투명성의 관련 제 이론 고찰 = 4
1. 투명성의 개념 = 4
2. 투명성 개념의 형성배경 = 7
2-1 새로운 공간개념 = 7
2-2 큐비즘(Cubism) = 10
2-3 새로운 건축재료 - 유리 = 13
3. 투명성과 관련된 학자별 이론 = 16
3-1 Sigfried Giedion의 이론 = 16
3-2 Gyorgy Kepes의 이론 = 18
3-3 Colin Rowe의 이론 = 19
3-4 Moholy-Nagy의 이론 = 21
3-5 Anthony Vidler의 이론 = 22
4. 투명성 논의의 변화 = 24
4-1 물성에 따른 ‘투명성’의 변화 = 24
4-2 건축체계에 따른 ‘투명성’의 변화 = 24
4-3 ‘투명성’ 개념의 변화 = 25
Ⅲ. 건축디자인에서의 투명성의 의미 = 30
1. 표피에 나타난 투명성 표현기법 = 31
1-1 물성(物性)의 강조 = 35
1-2 즉물적 경량성 = 37
1-3 비물질화된 초표피 - Visual Interface = 39
1-4 시각의 양면성 = 41
2. 공간에 나타난 투명성 표현기범 = 41
2-1 정직한 공간에 의한 투명성 = 45
2-2 모호한 경계에 의한 투명성 = 46
2-3 공간의 확장성에 의한 투명성 = 50
Ⅳ. 현대건축에서의 ‘투명성’의 표현특성 = 52
1. 분석의 틀 = 52
2. 표피적 논의에 의한 현대건축물의 분석 = 53
2-1 ‘물성(物性)의 강조’ 측면에서의 분석 = 53
1) French National Library, Dominique Perrault, Paris, 1995 = 53
2) Water Purification Plant, Bolles+Wilson, Mu"nster, 2001 = 55
2-2 ‘즉물적 경량성’ 측면에서의 분석 = 59
1) Experience Music Project, Frank Gehry, Seattle, 2000 = 59
2) Sendai Mediatheque, Toyo Ito, Sendai, 2000 = 61
2-3‘비물질화된 초표피’ 측면에서의 분석 = 63
1) Institute of Arab World, Jean Nouvel, paris, 1987 = 63
2) ZKM [Center for art and media technology], Rem Koolhaas, Karlsruhe, 1989 = 65
2-4 ‘시각적 양면성’ 측면에서의 분석 = 67
1) Agbar Tower in Barcelona, Jean Nouvel, Spain, 1999= 67
2) Two Wings of Glass on the Girtannersberg, Herzog & de Meuron, St.Gallen, 2001 = 69
3. 공간적 논의에 의한 현대건축물의 분석 = 71
3-1 ‘정직한 공간’에 의한 투명성 = 71
1) Educatorium in Utrecht, Rem Koolhaas, Utrecht, 1997 = 71
2) HHSTYLE.COM, Kazuyo Sejima, Japan, 2000 = 73
3-2 ‘모호한 경계’에 의한 투명성 = 75
1) Cartier Foundation, Jean Nouvel, Paris, 1995 = 75
2) Castellon Museum of Fine Arts, Mansilla+Tunon, Spain, 2000 = 77
3-3 ‘공간의 확장성’에 의한 투명성 = 79
1) Maastricht Academy for the Arts and Architecture, Wiel Arets, Maastricht, 1993 = 79
2) Serpentine Gallery Pavilion, Toyo Ito, London, 2002 = 81
4. 분석의 종합 = 83
Ⅴ. 결론 = 84
참고문헌 = 87
ABSTRACT = 90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Citation
강승완. (2006). 현대건축의 표피와 공간에 나타난 투명성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9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3319
Appears in Collections:
Art, Design, & Physical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9-0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