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生活環境要因에 따른 삶의 質에 關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梁弼勝
Issued Date
2005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환경과 보전에 대한 국민적 욕구 증대와 함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을 전제로 도시계획의 중요한 목적인 정주환경 요인들과 도시 지향적 요인들 간에 어떠한 상관성이 존재하는 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대도시들의 요인별 정주환경을 파악하여 향후 도시계획 및 개발에 삶의 질을 수용하는 고리를 찾는 계기를 마련하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75개 시급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성장 변수로서 인구와 24개의 생활환경지표의 의미를 파악하고, 도시의 생활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별로 도시규모와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 군집분석, 판별분석 등의 다변량 분석 기법을 통하여 생활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도시민의 요소에 부응함과 더불어 국토개발계획 및 지역개발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적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때 분석의 도구로는 자료의 분석 방법은 Microsoft Excel 2000과 SPSS 10.1k를 이용하며 도출된 결과는 도표와 함께 서열 및 등급화 한다.|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five-fold, to review the concept of quality of life and to propose a set of key components and indices of QOL(Quality of Life) in cities, to analyze the level of QOL and the discrepancies among citi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city and the level of QOL, to compare the level of QOL among OECD member countries, and to discuss policy issues and directions to improve the QOL in cities.
The study divides QOL into physical and non-physical types. Physical QOL i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economic aspect, convenience, and locational attributes. Non-physical QOL includes two components of education and culture, health and safety. Under these key component groups, 35 indic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level of QOL in cities. It was found that between 1997 and 200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level of QOL in general and that the gap among cities was not reduced.
Finally, the study suggested several macro level policy issues to improve QOL in citie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evaluation system of local administration of the performance to improve QOL.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comprehensive indices especially for subjective element and non-physical type of QOL and to accumulate internationally compatible database through collaborative research and exchange programs. The role of civil society, private sector should be articulated and micro-level coordinating measures and organizations chancing quality of life should be instituted to better function what has been traditionally perform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by Environmental Factor of Life
Alternative Author(s)
Yang, Pil-Seung
Affiliation
朝鮮大學校 大學院
Department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Advisor
吳在和
Awarded Date
2005-08
Table Of Contents
목차
ABSTRACT = Ⅰ
표목차 = Ⅴ
그림목차 = Ⅷ
제1장 서론 =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1.3 연구 동향 = 3
제2장 삶의 질에 관한 이론적 고찰 = 5
2.1 삶의 질의 정의 = 5
2.2 삶의 질 측정법 = 7
2.3 삶의 질의 분석체계 = 9
제3장 국내 도시 환경특성 = 16
3.1 국내 도시의 인구현황 = 16
3.2 국내 도시의 도시화 추세 = 18
3.3 유형별 지표변화 추이 = 21
제4장 국내 도시의 삶의 질 분석 = 26
4.1 도시규모별 생활환경 실태 = 26
4.2 인구규모와 생활환경간의 상관관계 = 35
4.3 군집분석에 의한 도시의 유형화 = 42
4.4 판별분석 결과 = 51
제5장 결론 = 66
참고문헌 = 68
Degree
Master
Publisher
朝鮮大學校 大學院
Citation
梁弼勝. (2005). 生活環境要因에 따른 삶의 質에 關한 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95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61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