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북한의 대남정책 변화와 그 요인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승한
Issued Date
2005
Abstract
북한의 대남전략은 ‘민주기지론’에 입각한 남조선혁명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 소련을 비롯한 동구 사회주의권의 체제 변화에 따른 국제적인 고립상태 그리고 남한과의 국력의 차이는 북한으로 하여금 대남정책의 수정내지 변화를 요구하였다.
북한은 대내외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남한과의 관계개선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체제의 안정보장을 위해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모색하게 되었다. 1993년 핵문제로 야기된 북한과 미국의 협상은 1994년 체제보장과 경제지원 등을 골자로 하는 북미기본합의서를 체결하여 미국과 관계개선을 도모하게 되었다.
북한은 미국과 협상과정에서 남한을 철저히 배제하는 정책을 취하였는데, 이러한 모습은 남한의 대미종속성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지만, 김일성 사망이후 남한에서 일어난 ‘조문파동’이 더 결정적 요인이었으며 이것은 북한이 남한을 배제하는 명분으로 작용해 김영삼 정부 말기까지 남한과 정치적 적대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1998년 출범한 김대중 정부의 ‘정경분리’ 원칙에 입각한 대북포용정책은 북한에게 남한정부에 대한 인식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북한은 대북포용정책 초기 북한을 흡수통일 하기 위한 정책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서해교전, 금강산관광객 억류사건에도 불구하고 일관되게 추진되는 대북포용정책에 대해 신뢰하게 되었고, 이는 남한정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게 되는 전환점이 되었다.
북한 내부적으로는 1990년대 최악의 경제위기를 맞이하여 군을 우선시하는 ‘선군정치’와 ‘강성대국론’을 내세워 어려운 경제위기를 돌파하고자 노력하였고, 그러나 북한은 내부적 힘만으로는 경제회생에 한계가 있음을 느끼고, 외부 자본유입과 북한경제의 안정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남북관계 개선이 필수적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북한은 체제를 보장 받기 위해 미국과 관계개선을 모색하게 되는데, 이는 주변국들의 한반도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처럼 북한의 대남정책 변화에 따른 남북관계 개선과 교류 증진은 한반도 정세 안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남과 북은 여전히 정치·군사적인 대치상태에 놓여 있고 이러한 적대적 관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2차 정상회담개최가 필수적이다. 1차 정상회담이 남북교류의 증진의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었다면 2차 정상회담은 정치·군사적인 대치상태를 해소하는 회담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미국의 부시정부 출범이후 냉각된 북미간의 관계개선이 선행되어야 하며, 평화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그 안에서 남과 북이 통일을 위해서 함께 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North Korea has maintained an idea of revolution of South Korea based on ' Democratic Theory' as a strategic plan to South Korea. However, internationally isolated position of North Korea because of political changes of socialists in East Europe including Russia in late 1980s and difference in national power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emanded changes or modification of the policy to South Korea.
North Korea pursued improved relations with U.S.A. to guarantee security of its political system as well as South Korea to meet international and domestic political conditions. In the negoti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A. caused by nuclear matter in 1993, it improved relations with the U.S.A. by concluding North Korea and the U.S.A. Agreement focusing on security of political system and economic support.
North Korea excluded South Korea completely in the process of the negotiation. The reasons are presented as follows: South Korea was considered as being dependent on the U.S.A. and in particular, since death of Kim Il-sung, ' a call of condolence' in South Korea worked as a final factor. So, it has been assumed that North Korea decided to maintain hostile political relations against South Korea till the late period of President Kim Young-sam's reign.
As of June 2000, North Korea definitely showed its changed policy in the South and North Korea Summit Conference. Such changes are found in changes of recognition of North Korea to South Korea, internal factors of North Korea, and demand of improved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y international societies.
The friendly policy of South Korea to North Korea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economy and politics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of president Kim Dae-jung brought on changed recognition of North Korea to South Korea. North Korea was doubtful that the policy was designed to unify the North Korea in the beginning, but it was convinced of the policy because it was consistently implemented despite of the West Sea battle and detention of tourists of Mt. Geumgang. Therefore, North Korea changed its recognition to South Korea positively.
North Korea faced the worst economic crisis in 1990s and did its best to overcome the crisis through ' Sungun Politics ' and ' the Powerful Nation Principle'. In late 1990s, it achieved some success. However, North Korea felt that there was a limit to economic recovery in its internal power and recognized that improved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as necessary to prepare stable bases of external capital inflow and economy.
Therefore, North Korea pursued improved relations with U.S.A. to guarantee its political system, which resulted in interests in Korean peninsular from neighboring countries. In particular, China, which is a traditional friendly nation of North Korea, recognized that political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r was necessary to stop expansion of the U.S.A. and demanded improved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us, the improved relations and exchange according to the policy to South Korea of North Korea played a positive role in political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r. However,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till stand opposite each other in political and military policies. To minimize the hostile relations, it is believed that the second summit conference is necessary. The first summit conference achieved innovative results and it is expected the second conference will help relieve political and military opposition.
For the purpose, relations between the U.S.A and North Korea which were frozen since the government of president Bush should be improved. And a peaceful atmosphere should be prepared in Korean peninsular, in which both South and North Korea cooperate each other for unification.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hanges in Policy of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its Factors
Alternative Author(s)
Park, Sueng Ha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Advisor
기광서
Awarded Date
2005-08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제2장 북한 대남관의 형성과 통일정책의 역사적 변천과정 = 4
제1절 대남관의 형성배경과 특징 = 4
제2절 북한 통일방안의 변천 과정 = 11
제3장 1990년대 북한의 대남인식과 정책의 변화 = 19
제1절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른 대남인식 = 19
1. 사회주의권의 변화와 북한의 대응 = 19
2. 대남인식의 계승과 굴절 = 22
제2절 대남정책의 전개와 대남관계에 대한 입장 = 25
1. 대남정책의 전개 양상 = 25
2. 대남관계의 태도와 입장 = 30
제3절 1990년대 대남정책의 특징과 한계 = 46
제4장 2000년 이후 북한 대남정책의 전환과 전개 = 49
제1절 대남정책의 전환요인 = 49
1. 대외정세의 변동 = 49
2. 국내적 변화 요구 = 51
3. 남한측 정세와 입장전환 = 52
제2절 대남정책의 전개와 특징 = 54
1. 당국간 관계 차원 = 54
2. 민간관계 차원 = 59
제5장 결론 : 북한 대남정책의 변화에 따른 남북관계의 미래 = 6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승한. (2005). 북한의 대남정책 변화와 그 요인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94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60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