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도슨트가 전시에 미치는 영향분석 - 2004 광주비엔날레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윤은희
Issued Date
2005
Abstract
이 논문은 도슨트가 관람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분석이다.
도슨트라는 말은 공식적으로는 ‘전시해설가’ 또는 ‘작품 해설사’라고 풀이되는데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전시물을 설명해주는 해설가를 말한다. 1907년 미국 보스턴미술관의 벤자민 입스 길먼(Benjamin Ives Gilman)이 처음으로 도슨트를 미술관에 배치하여 관람객들에게 설명해주는 것이 시초였으며 이후 여러 미술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삼성미술관에서 처음 도입하였고 광주비엔날레에서는 2002년에 이어 2004년에 60명이라는 파격적인 인원의 도슨트를 선발하여 각 전시관에 배치하였다.
지난 2004년은 비엔날레의 유용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되고 있던 시점이었는데, 결과적으로 2004광주비엔날레는 성공적이었다는 대내외의 평가가 있었다. 그리고 그 성공의 한 축으로 도슨트를 꼽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도슨트가 관람객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도슨트에게 만족했을 때 관람객들은 역시 전시 전반에도 만족하고 있는지 실증적인 검증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현재 많은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도슨트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지만 도슨트와 관람객의 상호작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전무하다. 그동안 도슨트와 관련되어 발표되어왔던 논문들은 도슨트에 대한 방법론들에 국한된 측면이 있었다. 도슨트가 관람객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만족을 주고 있는지 그리고 전시전반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이루어지고, 관람객들의 만족을 끌어내는 요인과 불만족하게 하는 요인을 찾아낼 수 있다면 차후 미술관의 도슨트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우선 연구자는 지난 2004 광주비엔날레 기간동안 광주비엔날레를 방문한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설문지는 도슨트의 역할과 제만족도와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43개 문항을 작성하여 전문가의 검토를 받은 설문지였다. 총 배포수는 259개였고 회수율은 100%였다. 같은 문항으로 부산비엔날레와 서울미디어아트비엔날레에도 각각 100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이번 논문의 대상은 광주비엔날레의 관람객들로 한정하였다. 이용된 척도는 리커트 4 척도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슨트 만족도에 대한 분석의 경우, 20명 이상의 단체관람객의 만족도는 2.33으로 약간만족을 조금 넘는 수치를 보였고 20인 이하 단체관람객의 만족도는 2.94로 ‘만족한다’ 에 근접한 수치였으며, 단독관람의 경우는 그보다 높은 3.13으로 ‘만족한다’를 넘어서는 수치를 보였다. 이는 관람객의 수가 많아질수록 도슨트가 통제하고 배려해줄 수 있는 부분이 한계가 있음을 반증하는 결과로 과다한 관람객에 대한 미술관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하겠다. 또한 도슨트의 정보 전달능력에는 3.15로 ‘만족한다’를 상회하는 반응이었던 것에 반해 관람객의 이해력을 높이는 해석능력에는 2.67로 ‘만족한다’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였다. 이는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은 있으나 관람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주는 능력에서 결여되어있음을 뜻한다 하겠다. 도슨트 자신이 암기위주의 중개자로 만족할 것이 아니라 여러 시각에서 작품을 살펴보고 이해하여 자신의 언어로 재해석해 낼 수 있는 스토리텔러로서의 능력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전체적인 실증분석 결과 도슨트가 도슨트 역할을 잘했을 때 관람객들은 만족했다고 분석되었고 도슨트에 대해 만족했을 때 전시전반에 대해서도 만족하였으며 이는 또한 전시에 대한 추천의지 그리고 재방문 의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분석되었다. 또한 미술관람에 있어 초보자라고 할 수 있는 1년 미만 관람객들의 도슨트 만족은 현저하게 높았던 동시에 전시만족도 또한 매우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반면, 3년 이상의 관람경력을 가진 미술애호가 및 전문가 그룹들은 도슨트의 해설을 원하지도 않았고 전시만족도 또한 현저하게 낮았는데, 도슨트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시만족도 또한 높았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후자 관람객그룹들을 아우를 수 있는 자질있는 도슨트의 양성과, 고급화 된 도슨트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연구방향 또한 이러한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s of docents on spectators. Although the docent program is implemented in many art galleries and museums, no full-fledged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docents and spectators is found. So far, the theses presented in regards with docents have mainly limited to the methodology with regard to docents. Taking a notice of this point, if an investigation and a corresponding analysis on whether docents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o and satisfy spectators, and what impacts do they impose on overall exhibition are conducted, and if the factors to draw spectator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re identified, useful data and materials for the future docent program operation could be judgingly presented.
The author of this paper distributed questionnaires targeting the visitors to 2004 Gwangju Biennale in 2004. That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3 questions, reviewed by experts, based on preceding studies to measure relation between the role of a docent and various satisfactions. A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s distributed was 259, and response collection rate was 100%. The questionnaires with the same questions as above were distributed to Busan Biennale and Seoul Media Art Biennale targeting 100 visitors, respectively. However, the target of this study has been limited to the visitors of Gwangju Biennale. The scale used in this study is Likert 4.
As a result of the overall empirical analysis, visitors are satisfied when docents fulfill their roles well. When the visitors are satisfied, they are satisfied with overall exhibition, which has been analyz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ir intention to recommend the concerned exhibition and to visit the exhibition again.
The satisfaction of art appreciation novices with less than a year of art appreciation experience on docents is remarkably high, and their satisfaction on the exhibition is also high. Meanwhile, art lovers and experts with more than three years' art appreciation experience do not want the explanations from docents and their exhibition satisfaction is remarkably low. It seems that fostering of highly quality docents and development of a highly sophisticated docent program are needed to meet the experienced spectator group, in view of the result that exhibition satisfaction is high, when docent satisfaction is high.
The future study direction should focus on such an area.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the Influence that Docents effect on the exhibition -Laying stress on Kwangju Biennale
Alternative Author(s)
Yoon, Eun-he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이론및행정학과
Advisor
김승환
Awarded Date
2005-08
Table Of Contents
차례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내용 2
Ⅱ. 이론적 배경 5
1. 도슨트의 개념 및 역할 5
1) 도슨트의 역사적 배경 5
2) 도슨트의 개념 8
3) 도슨트의 역할 9
4) 도슨트의 국내 현황 12
2. 관람객 만족의 개념 14
Ⅲ. 연구방법 19
1. 연구의 모형 19
2. 연구의 대상 및 자료 수집 20
3. 측정도구 설계 및 측정 방법 20
1) 측정 도구 설계 20
2) 분석방법 21
3) 변수의 정의 22
Ⅳ. 조사 결과 및 분석 25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5
2. 도슨트 역할에 대한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징 26
1) 리더 역할에 대한 만족도 27
2) 중재자 역할에 대한 만족도 38
3. 도슨트 만족도 및 전시 만족도 50
4. 상관관계 분석 54
1) 리더 역할과 도슨트 만족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54
2) 중재적 역할과 도슨트 만족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55
3) 도슨트 만족도와 전시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57
4) 전시만족도와 추천, 재방문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58
Ⅴ. 결론 59
1. 의의 및 결론 59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62
참고문헌 63
요약 66
부록 1 설문지 69
부록 2 도슨트의 자세 및 방법 73
부록 2 제5회 광주비엔날레 교육일정 8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윤은희. (2005). 도슨트가 전시에 미치는 영향분석 - 2004 광주비엔날레를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93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80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