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에서 보여 지는 세기말 비엔나 젠더불균형 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오명란
Issued Date
2005
Abstract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 1862-1918)가 즐겨 그리던 주제 가운데 하나는 ‘여성’이다. 그의 작품 속 여성이미지는 화가 자신과 다른 성(性), 즉 여성에 대한 그의 잠재적인 생각을 담고 있다.
클림트 작품의 중심 주제인 여성 이미지가 당시 오스트리아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던 여성과 남성의 역할이나 관계를 올바르게 반영하고 있는가? 혹은 그와 반대로 그것은 남성 예술가나 그의 후원자가 꿈꾸는 세계를, 혹은 그들이 이미 획득하고 있는 달콤한 세계만을 반영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이러한 의문에 대한 분석의 타당한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젠더(gender) 개념에 근거하고자 한다. 한 작가의 작품을 성/젠더라는 시각에서 바라보면, 그 담론들이 어떻게 굴절되고 어떤 모습으로 모순과 갈등의 계기들을 드러내게 되는지 추적할 수 있다. 그 결과, 우리는 기존의 남성 중심적 학문이 지닌 모순성과 배타성, 가치중립성, 탈정치성의 틀에서 벗어나 남녀의 권력관계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가부장제의 구조, 그리고 남성 지배이데올로기를 통해 여성들의 활동을 제한하고자 힘썼던 제도권의 지속적이고 조직적인 노력을 조명함으로써 19세기말 오스트리아 사회와 문화의 남성성을 지적하는 것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자 주관심사이다.
당시 남성들의 시각과 더불어 클림트 작품 속 남녀의 모습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는 남성의 시각이다. 클림트는 그의 작품에서 획일적인 예술의 외관 뒤에 여성들의 진정한 다양성을 숨기고 있다. 즉, 남성에 비해 열등하고 부정적인 존재로서 여성 이미지를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클림트의 수많은 작품 중 당시 남성의 시각을 잘 드러내 주고 있는 작품은 1902년 인데, 이 작품 속 여성 이미지는 악의 화신 마녀, 부정적으로 읽혀지는 신화적 인물 고르곤, 죄의 근원 이브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여성이미지를 적절히 해석함으로써 당시 남성들이 가졌던 여성에 대한 공포와 욕망을 다양하게 읽어낼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림트가 그려낸 여성이미지를 팜므 파탈로 해석하고, 팜므 파탈이 여성의 성에 대한 남성적 지배 이데올로기와 담론의 반영으로 인식되었음을 규명했다. 더 나아가 팜므 파탈이라는 여성상이 남성들의 성적 강박관념으로서 가공되어지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Ⅱ장에서 19세기말 시대적 상황 속에서 차츰 자신의 목소리를 내어가는 비엔나 여권의 신장 모습과 그 목소리를 묻어버리려는 남성의 반응을 살펴보았고, 아울러 그 사상적 배경을 이해했다. Ⅲ장에서는 구체적 작품 분석에 앞서, 의 배경과 클림트의 아르누보 양식의 특징을 개관했다. 에 나타나는 여성이미지와 남성이미지를 각각 여성은 적대적인 힘의 팜므 파탈, 남성은 권력자로서 영웅으로 분리하여, 심층 분석하는 Ⅳ장을 통해 우리는 당시 비엔나 사회의 균형을 이루지 못한 젠더를 살펴보았다.|One of Gustav Klimt(1862-1918)'s most favorite themes is ‘woman’. Female images in his painting represent different gender from his, that is, they imply potential thoughts about women.
Do female images as a main theme of Klimt's painting correctly reflect roles of females and males or their relations that were generally accepted in Austria? Or don't they reflect only the sweet world that male artists or their patrons dreamed of or they already acquired?
This study is to be based on gender in feministic perspective to prepare devices of valid analysis on these questions. When one artist's painting is examined in a view of gender, how such discourses are reflected and reveal elements of conflicts and contradiction can be traced. This study is to speculate power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while challenging contradictions, men-oriented scholastic pursuits, exclusiveness, neutrality of values, and dis-politics.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masculinity in society and culture of the 19th century by identifying consistent and organized efforts to limit activities of women through patriarchism and an ideology of men's rule.
What we can understand through men and women in Klimt's painting along with perspectives of men at that time is that men who tended to keep their patriarchism made vain effort. Klimt hides true variations of women behind uniform appearance of art. That is to say, he describes female images as negative and inferior to male.
One of Klimt's paintings which reveal men's perspectives the most properly is in 1902, where female images are represented as witches, a Gorgon, a mythologic person and Eve, an origin of sin. From it, we can infer men's fear and desire in various angle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cess which femme fatal has been recognized as a reflection of masculine rule ideology and discourses by understanding females images represented by Klimt as femme fatal. Further, it is to analyse that female images as femme fatal have been treated as sexual obsession.
For the purpose, Chapter 2 speculates improved right of women in Vienne and responses of men who intend to oppress voices of women under social condition in late 19th century, and the background of the thought. Chapter 3 outlines the background of < Beethoven Frieze > prior to specific analysis of his painting and Klimt's style of art nouveau. Chapter 4 intensively speculates unbalanced genders in Vienne at that time by dividing female images as femme fatal with hostile power and male ones as a hero of power.
Alternative Title
On the Gender Asymmetries in Fin-de-siecle Vienna in the case of Gustav Klimt's
Alternative Author(s)
O, Myoung-ra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이론및행정학과
Advisor
김승환
Awarded Date
2005-08
Table Of Cont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Ⅱ.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세기말 젠더 불균형 8
1. 여권의 신장 = 11
2. 남성의 반응 = 14
Ⅲ. 클림트의 중기 회화와 아르누보 = 21
1. 비엔나 분리파와 클림트의 관계 = 21
2. 양식의 변화와 아르누보 = 25
Ⅳ. 의 여성 이미지와 남성 이미지 = 30
1. 팜므 파탈 (적대적인 힘) = 37
2. 영웅 (남성의 권력) = 45
Ⅴ. 결론 = 51
참고문헌 = 56
도판목차 = 61
도판 = 63
저작물 이용 허락서 = 7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오명란. (2005).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에서 보여 지는 세기말 비엔나 젠더불균형 를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93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78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