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R. Wollheim 의 미술작품 해석론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혜령
Issued Date
2005
Abstract
해석의 문제는 이해의 전 단계로서 내용해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 내용은 다면적이다. 월하임에게 그 문제는 단순히 하나의 방법을 가지고 보고 있지 않고 여러 가지 장치를 집결하여 보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난해한 것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월하임의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본 논문은 Painting as an art 4장에서 언급하고 있는 작품 해석의 전 단계인 작가가 갖는 두 가지 방식을 이해하여 푸생의 작품을 해석해 본다는 데에 주목해 있다.
첫 번째 것은 원문성의 방법(the way of textulaity)라는 것이다. “미술작품을 지각해서 이해하는 데에는 반드시 명제적(命題的)인 지식(propositional knowledge)이 개입해야 한다” 고 보는 바로 월하임은 어떤 하나의 문서가 회화의 내용으로 개입하는 것이라고 언급한다.
두 번째 것은 차용의 방법(the way of borrowing)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모든 감각의 미술작품이 역사적인 상황과 관련된 성립(생산)조건들을 고려하는 것이 원리적으로 불가피한 것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하나의 미술작품이 현존하는 표현수단을 변경시킬 경우 위의 조건들이 특히 필요한 것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차용이 어떤 그림의 요소로 개입하는 것이라고 언급한다.
무엇보다도 월하임은 표현의 이해를 위해서는 작가가 예술적인 관점에서 계획하고 있는 정보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두 가지 방법을 분석해 보는 동시에 이것을 미술작품이 제작되는 측면에서 볼 경우 어떤 하나의 정신의 상태나 감정의 상태에서 생산되어 관객(관찰자)에게 그와 같은 상태를 야기함으로서 그것들의 표현력을 얻는다는 견해가 아니라 그림의 표현력이 작가의 전기에서 해명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이 점에서 월하임이 고찰하고 있는 미술작품 해석론의 의의와 한계를 알아보고자 한다.|In this thesis my intention is knowing two ways. One way is the way of textuality and the other way is the way of borrowing 『Painting as an Art』Chapter Ⅳ. That is a method when the artist tries to incorporate something into his artworks. Wollheim strictly absorbed in looking at visual art. Therefore two aspects will be examined: How much is important and what the limits are.
Wollheim's fundamental thought was based on psychoanalysis, which has largely been marginal to philosophical psychology, and at best a target of critical hostility by philosophers of science. He regarded it as exactly the right kind of theory through which to understand human nature.
Psychoanalysis was crucial to his personal outlook, and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defining his outlook on art.
In 『Painting As An Art』Wollheim cautions against taking the idea of intention in a too narrow or limited a way. "At least in the context of art," he writes, "intention must be taken to include desires, beliefs, emotions, commitments, wishes." The viewer will infer the intention from the way the painting looks, and this, Wollheim believed, "presupposes a universal human nature in which artist and audience share".
This notwithstanding, paintings do not instantly disclose their meanings. Though he disclaimed an intention of psychoanalysing works of art, many of the remarkable interpretations in 『Painting As An Art』 seem to presuppose psychoanalytical ideas.
The three threads of Wollheims' life and thought unite in this description: painting, philosophy and psychoanalysis. He argued that if painting presupposes a universal human nature, then "it must be absurd to bring to the understanding of art a conception of human nature less rich than what is required elsewhere." "And he reiterates this thought with the profound observation this would be as true of philosophy or psychology as of art." He took a brave stand against the reductionisms that impoverish the way so many intellectuals have approached what are, in effect, the highest achievements of the human spirit.
Alternative Title
R. Wollheim's Theory of Interpretation of Art Works
Alternative Author(s)
Lee, Hye-R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Advisor
박정기
Awarded Date
2005-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Ⅰ. 서론 = 1
Ⅱ. 미술작품 해석의 두 가지 방법 = 4
1. 텍스트적 의미 분석과 역사적인 의미 분석 = 10
2. 미술작품의 분석의 예: = 16
푸쌩의 (1629)
(1637)
(1631-3)
(1633-4)
Ⅲ. 월하임의 작품해석론의 미학적 의의와 문제점 = 34
도판목록 = 38
참고문헌 = 46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혜령. (2005). R. Wollheim 의 미술작품 해석론.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91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75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