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Early bone healing of adding Hyaloss™ to grafting materials in osseous defects in rats

Metadata Downloads
Author(s)
윤광철
Issued Date
2005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각종 골 이식재중 치아 회분말과 치과용 연석고를 혼합한 후 골조직의 재생능력을 증가시킬 것으로 여겨지는 여러 제재 중 hyaluronic acid가 주 성분인 Hyaloss™를 첨가하여 흰쥐의 두개골 결손부에서의 초기 치유과정을 통하여 Hyaloss™의 역할을 알아보는 데 있다.
실험동물은 동일조건 하에서 일정기간 사육한 체중 200mg 이상의 Sprague-Dawley 흰쥐를 암수 구별없이 사용하였다. 노출시킨 두개골의 정중앙부에 #1/4 round bur를 이용하여 직경 1cm 크기의 원형으로 전층골 결손을 야기시킨 후, 제1군은 아무런 이식을 시행하지 않았고, 제2군은 치아회분말과 치과용 연석고를 무게비 2:1로 혼합하여 멸균한 이식재를 멸균 식염수와 혼합하여 이식하였고, 제3군은 치아회분말과 치과용 연석고를 무게비 2:1로 혼합하여 멸균한 이식재를 0.2cc의 Hyaloss™와 혼합하여 이식하였으며, 제4군은 Hyaloss™만 이식하였다.
조직 검사를 위해 실험 후 2주와 4주로 나누어 실험군을 희생한 후 매식된 경계부를 포함하여 조직편을 채취한 후,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일정기간 고정하고, 탈회 및 포매과정을 거쳐, Hematoxyline-Eosin으로 이중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흡수정도, 신생 골의 형성, 염증반응 유무 등의 치유과정을 분석하였다.
각 주에 따른 군별 비교에서 2주의 경우 전체적으로 유의한(p=0.006) 신생골 형성의 차이를 보였으며, 1-2군간(p=0.009), 1-3군간(p=0.006), 1-4군간(p=0.006) 비교에서 신생골 형성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4주의 경우 역시 전체적으로 유의한(p=0.000) 신생골 형성의 차이를 보였으며, 1-2군간(p=0.004), 1-3군간(p=0.009), 1-4군간(p=0.003), 2-3군간(p=0.010), 2-4군간(p=0.004) 비교에서 신생골 형성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계한계 이상의 골결손을 수복하기 위해서는 골형성 유도물질의 이식이 필요한데, 치아 회분말 단독, Hyaloss™ 단독은 물론 치아 회분말과 Hyaloss™를 혼합하여 이식할 경우 효과적인 신생골 형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중에서도 특히 치아 회분말의 효과가 탁월한데, Hyaloss™를 섞어서 사용할 경우 신생골 형성 결과가 치아 회분말에는 약간 못 미치지만 비교적 충분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어 치아 회분말의 대용품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장기간의 투여시 기간별, 농도별 연구가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백서의 골 결손부에 이식재와 Hyaloss™를 혼합한 후 초기 골치유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Advisor
윤광철
Awarded Date
2005-08
Table Of Contents
Contents
Contents of Table = ⅱ
Contents of Figures = ⅲ
Abstract = ⅴ
Ⅰ. Introduction = 1
Ⅱ. Materials & Methods = 3
Ⅲ. Results = 6
Ⅳ. Discussion = 10
References = 13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윤광철. (2005). Early bone healing of adding Hyaloss™ to grafting materials in osseous defects in rats.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89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53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