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지역축제 관광문화상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지선
Issued Date
2005
Abstract
이미 고도의 정보화 사회에 있어 문화예술의 시장 환경은 급변하고 있고 문화산업, 문화콘텐츠가 국가의 핵심전략산업으로 부각되어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세계화 시대에 지역간에 경제장벽이 무너짐으로서 지역의 경쟁력은 그 지역의 우수한 문화콘텐츠 및 문화상품과 문화산업의 개발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다. 세계가 격고 있는 변화의 흐름 속에서 한나라의 경제발전과 사회진보를 촉진하는데 디자인은 중요한 원동력이 되어왔다.
상품의 예술화 예술의 상품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상품미학이 만연한 오늘날 경제영역은 그 자체를 문화영역이라 해야 할 것이다.
한국적 이미지 상승과 막대한 연쇄적 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상품으로 새로운 페러다임의 지역축제가 부각되고 있다. 국제적인 축제행사를 개발하여 진행하고 있는 광주광역시의 지역축제 관광문화상품으로 공예산업분야는 미개척분야라 할 수 있다고 본다.
축제에 나타난 공예 문화상품이 협의적이고, 획일적이며 외국의 수입품들로 일시적인 이벤트성 성향을 띠고 있어 이에 따른 근본적인 해결방안의 구도를 찾아야 한다는 전제하에 공예문화마을 조성을 제안 했다.
공예마을은 자연 환경적 영향으로 발생하여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나 현대에 이르러 그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되어 지고 있다.
국내의 한 예를 보면 뜻을 모아 함께 만들어 가는 예술인 문화마을이 축제 속의 축제로 개발 되어지고 예술문화 확산과 더불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각 지역에서는 정체성을 살려 경제를 활성화 하려는 목표와 과제를 안고 지역 축제라는 컨벤션 유형의 축제를 아이템으로 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있는 에딘버러(1947~)축제와 같은 세계적인 축제들이 그 모델이 된다. 관광객들은 볼거리, 살거리, 즐길거리 들을 찾는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에 나타난 관광문화상품의 활성화 방안으로 다양한 예술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도시형 복합적인 공예문화마을조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예문화마을은 그 자체로도 축제의 한 아이템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지역축제의 관광문화상품으로 제시하고자함은 공예품 개발의 생산성을 뒷받침해 줄 경제적인 자립도 향상과 활성화 방안이라는 시너지 효과를 위해서이다. 공예문화상품이 축제 기간만을 위한 형태와 정부의 이벤트성 지원을 통해 개발되는 문화상품개발의 한계성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범위는 세계적인 문화행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이 지역의 공예품 개발 분야에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역민의 정서와 지역대학의 산·학·관 협동 연구를 통해서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한 연구이다.|As cultural and art markets' environments are rapidly changing in current information-based society,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and contents is being highlighted as one of national strategic industries. Design has become a main energy which promotes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progress. As an economic boundary between regions all over the countries collapsed, regional competitive power tends to depend on the development of superior culture contents and cultural products and industry.
As products can be artistically pursued and art can be a source of profitable products at the same time, the area of economy is the area of culture itself where the aesthetics of products prevails. As a product that will increase Korean image and produce chain added value, regional festivals with a new paradigm are being encouraged.
Craft industry as a cultural product of Gwangju city festival is under development. As craft products presented in festivals have a narrow meaning, and are imported ones designed for temporary events, this study proposes a construction of a craft village to find a basic solution. The craft village was naturally made because of environmental influences, but its style has been changed diversely.
Wh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are considered, artists villages are developed as a festival of festivals which have contributed to regional activation. Each region has goals to activate its economy through reinforcing its identity. It is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with convention type festivals as items. International festivals such as Edinburgh festival that produced positive results are examples to be followed. Tourists seek for things to see, to buy and enjoy.
This study is to present a town-style crafts& cultural village where various styles of art and culture are shared. The cultural village can be an item of festivals. However, as a cultural and tourism product of regional festivals, it pursues synergy effect, financial independency and activation that will support crafts products development. We have to overcome a limit that crafts products are developed through governmental supports only for the periods of festivals.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duce consistent and developmental results through Gwangju people who will lead the development of craft products and incorporated research of industry&school&government.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tourism & culture products of regional festivals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산업공예학과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 i
ABSTRACT = iii
목차 = v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목적 =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 3
제2장 지역축제의 고찰 = 4
제1절 축제의 의의 = 4
제2절 축제의 기능 = 5
제3절 지역축제의 고찰 = 6
1. 축제의 개최 목적에 따른 분류 = 6
2. 축제의 구성 형식에 따른 분류 = 10
3. 지역축제 개발의 필요성 = 11
4. 광주광역시 축제의 종류 = 13
5. 축제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 = 15
제3장 문화상품의 개념 및 고찰 = 16
제1절 문화와 문화산업의 의의 = 16
제2절 문화관광의 영향 = 19
제3절 문화상품의 개념 = 21
제4절 공예문화상품의 종류 = 24
제4장 예술문화마을의 고찰 = 28
제1절 헤이리 예술인 마을 = 28
제2절 에딘버러 국제 페스티벌 = 33
1. 일본 후쿠이현의 나이프 빌리지 = 34
2. 일본 오이따현 유후인 공예마을 = 37
3. 호주의 멜버른 = 38
4. 미국의 뉴욕 = 39
5. 프랑스 중앙미술관협의회 = 39
제5장 공예 문화상품의 문제점과 대안 = 41
제1절 공예 문화상품의 문제점 = 41
제2절 공예 문화상품의 문제점에 대한 방안 = 42
1. 공예문화마을의 조성 = 42
2. 공예문화산업 활성화 방안 = 45
3. 산·학·관 클러스터 형성 = 46
제6장 결론 = 48
참고문헌·논문·웹사이트 = 50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이지선. (2005). 지역축제 관광문화상품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86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186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12-1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