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아파트 建築物의 外裝色彩 디자인 方法에 關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하주아
Issued Date
2005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시산업화의 가속화 영향으로 각 지역마다 존재하는 고유 색채가 축소·소멸되기 전에 지역의 환경색채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접근방법과 지역의 고유색채를 건축물로 도출하고, 지역 아파트 외장색채를 대상으로 색채분포상황과 색채군의 경향을 조사·분석하여 물리적·심리적 특성에 대한 환경색채 이론을 근거로 지역색채 계획을 과학적으로 정량화 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조사대상 지역의 지리적·문화적·환경적인 색채를 조사·분석하기위해 색채분야에서 검증되고 논리적인 체계가 수립되어 있는 J.P.Lenclos의 환경색채조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또한 지역환경색채에 대한 이론의 재정립은 미국의 색채학자 루이스 체스킨(Louis Cheskin), 피버비렌(Faber Birren), 허리 워커 헤프너(Harry Walker Hepner), 영국의 존 윌슨(John Wilson)등이 "색채는 기후, 풍토, 환경에 따라 고려되어야 하며, 지역적인 기호색채의 차이는 태양광선의 지속 시간, 일조량과 각도에 따라 색채가 영향을 받는다"라고 주장한 기후와 지역에 대한 학설을 적용하여 가설모형식을 도출했다.
이상으로 추출된 색조판(파레트)의 피험자 인지 감응도를 밝히기 위한 설문조사는 대표적 군집형상을 이루고 있는 아파트 외장을 컴퓨터로 조작한 이미지에 대해 High-Resolution Power Point Program 상영 후 SD법을 이용하였고, SPSS/PC+로 일원변량분석(Anova-test) 및 t-test 로 통계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냈으며, 색채의 3속성과 감응도에 나타나는 반응 의미의 일치 여부와 제반의 학설에 대한 지역의 건축물 외장색채 접근방법에 대해서 제안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 환경색채 접근성 연구의 결과 값으로 색채파레트를 추출하였다.
- 자연환경에 대한 색채 조사는 설문방법을 통한 환경요소들을 추출하여 색상(H)은 YR·Y·PB·R·Y·N·G·B등의 다양한 분포와 명도(V)는 중명도·고명도, 채도(C)는 중채도·고채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기후설에 의한 색채모형연구 결과 일조시간과 관계된 명도(V)는 6.8~8.5로 평균 V=7.5인 중명도에 가까운 고명도 분포를 나타내었고, 온도(℃)와 관계된 채도(C)는 1.1~6.6으로 평균 C=3인 중채도에 가까운 저채도를 나타냈다. 이것은 광주지역이 부산, 서울지역 보다 청정일수 및 강우량이 많은 기후 특성과도 일치했다.
- 지역설에 의한 색채 모형 연구 결과는 광주지역 위도(35.15°)를 중심으로 하지, 춘·추분, 동지에 대해 523nm~727nm 의 범위에 있는 G, GY, Y, YR, R의 색상(H) 분포를 나타냈다.
둘째, 자연환경색채 파레트가 적용될 아파트의 선정 및 대표 유형을 추출하였다.
- 조사대상지역의 아파트 외장색채와 가로경관에 대해서 현황 및 측색 조사한 결과 조적벽 5YR 4/4, 가로수 5GY 4/4, 상업건축물 5PB 8/1, 방음벽 10R 7/1, 공공건축물 5YR 4/3, 아파트(M.C) 10Y 8/2 값이 대표 유형 색채로 추출되었고,
- 자연환경색채 파레트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다음과 같이 9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1그룹은 가로수와 조적벽, 2그룹은 가로수와 차폐식재, 3그룹은 방음벽과 공공건축물, 4그룹은 가로수와 방음벽, 5그룹은 가로수와 간판량, 6그룹은 가로수와 공공건축물, 7그룹은 가로수와 상가건축물, 8그룹은 가로수와 상가간판, 조적벽, 공지, 9그룹은 조적벽과 방음벽
셋째, 상기의 그룹에 대한 최적의 선호색채를 찾고자 기존아파트 외장색채 색측값과 자연환경색채 측색값 중 1·2순위 색채값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배색안을 작성하였다.
□ 배색안 1 (명칭 : ALT1)
- 배색방법
· 색조(명도/채도) : 기존아파트 외장색채 대표 색조값 사용
( 명도/채도 : 8 / 2 )
· 색상 : 호시노 조화론에 의해 선정된 아래 13색 사용
□ 배색안 2 (명칭 : ALT2)
- 배색방법
· 색조(명도/채도) : 자연환경색채 측색값 중 1순위 선호색조 사용
( 명도/채도 : 7 / 3 )
· 색상 : 호시노 조화론에 의해 선정된 아래 13색 사용
□ 배색안 3 (명칭 : ALT3)
- 배색방법
· 색조(명도/채도) : 자연환경색채 측색값 중 2순위 선호색조 사용
( 명도/채도 : 6 / 2 )
· 색상 : 호시노 조화론에 의해 선정된 아래 13색 사용
※ 호시론의 조화이론에 따라 선정된 색상
13가지 색상(H) : 5B, 5PB, 5G, 7.5PB, 5P, 5Y, 7.5G, 5B, 7.5B, 5YR, 5PB, 5B, 5YR
넷째, 배색안(ALTl, ALT2, ALT3)에 대한 색채 감응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 감응도조사 결과는 배색안(ALT1, ALT2, ALT3)중에서 ALT2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배색 1안과는 적은 차이지만 피험자의 기호특성으로 강수량이 많은 지역의 기후적인 특성과 같은 반응을 하였으며, 명도가 기존(V=8) 환경색채보다 낮은 명도(V=7)를 선호함으로써 연구 대상지역의 아파트 외장색채의 측색 결과 값과 비교하여 보면 명도(V)가 전반적으로 고명도로 조사되었는데 본 실험 및 결과에서는 명도가 1단계 낮은 결과값을 얻었다.
다섯째, 본 연구 결과의 지역색채 파레트를 제시하였다.
- 현재 광주지역의 아파트는 지역색채에 대한 고려보다는 대도시의 흐름과 같이 고명도/저채도의 무난한 색조와 브랜드의 선호색을 그대로 답습하는 외장 색채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 그러므로 광주지역에 적합한 아파트 외장색채의 색조(명도+채도)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자연환경색채의 가설 모형식에서 추출한 명도(V=7) 값을 주조색조로서 제시한다.
이상으로 축적된 색채의 자료들은 외장색채에 대한 설계접근방법 연구로서 건축계획적 요소와 자연적 요소, 지역적 요소, 기후적 요소에 대해 건축설계 전반에 걸쳐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더불어 시각적 질의 향상을 위한 지역적 특색을 살리는 색채계획의 객관적 자료로서 제공되고자 한다.|Color made of natural environment is varied and has a unique composition with regional nature. According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features of region over long times, the color in harmony with the nature is established as regional color, and is recognized and handed over by regional people. In other words, regional color is the color in harmony with nature and making a fine view.
The factors influencing on regional environment color include regional features, climate features, the use of buildings, human and social custom, and individual taste. The need of various system for cultural environment features, and order establishment have been constantly proposed through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earches.
Colors native to each region should be derived to buildings through approaches to systematic and reasonable color plan of regional environment color before its scope is reduced more with the acceleration of urban industri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plan and improve color scheme in accordance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regional environment color by presenting the method of suggesting regional color newly, and examining and analyzing the situation of color distribution and the trend of color group in the regional color of apartment exterior.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the environment color survey method by J. P. Lenclos which was widely verified in the color field and establishes its logical system in order to examine and analyze the geographic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lor of a subject region. To reestablish the theory of regional environment color, this study yielded hypothesis model equations on the basis of the regional color preference that "the color used in present times should consider climate, natural features, and environment. The difference of regional preferred color is influenced by a duration period, insolation, and angle of sunbeams" suggested by Louis Cheskin, Faber Birren, Harry Walker Hepner in USA, and John Wilson in England.
Then the sampled color palette was simulated to match colors to an apartment exterior by a computer. Subjects were asked to report their recognition and sensitization about the simulation. A questionnaire survey used SD method after High-Resolution Power Point Program was watched, and a social survey used a statistical analysis of one-way Anova-test and t-test using SPSS10.0.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consistency of three properties of color and the reaction meaning of responsiveness, and the approach to the exterior color of regional building as follows.
First, the color palette was sampled as a result value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lor approach. To survey color by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elements were given through a questionnaire: color distribution(Hue: YR, Y, PB, R, Y, N, G, B), brightness(Value: middle, high), and chroma(Chroma: middle, high).
The results of color model research was obtained based on regional color preference. Insolation-related brightness(V) was ranged from 6.8 to 8.5 with its mean V=7.5, suggesting the high-color distribution closed to middle color. In the temperature(℃)-related chroma(C) model equation, chroma(C) was ranged from 1.1 to 6.6 with its mean C=3, suggesting middle and low chroma. It accorded with climate feature of higher rainfall in Gwangju compared to Busan or Seoul. In electromagnetic wave causing the perception on latitude-related color, the wavelength range(nm) of a visual ray(380~780nm) was 523~727nm in the summer solstice, the vernal and autumnal equinox, and the winter solstice and color distribution (H) included G, GY, Y, YR, and R on the basis of latitude(35.15°).
Second, to apply the natural environment color palette, apartments were selected and typical types were sampled. The state and colorimetry of the exterior color and streetscape of apartments in a subject region were examined. The typical type colors included stone and brick walls, 5YR 4/4; street trees, 5GY 4/4; commercial buildings, 5PB 8/1; soundproofing walls, 10R 7/1; public buildings 5YR 4/3 and apartments(M.C) 10Y 8/2. To verify the availableness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lor palette, nine groups were divided: Group 1 included street trees and stone and brick walls; Group 2, street trees and covered tree planting; Group 3, soundproofing walls and public buildings; Group 4, street trees and soundproofing walls; Group 5, street trees and the quantity of signboards; Group 6, street trees and soundproofing walls; Group 7, street trees and commercial buildings; Group 8, street trees, commercial signboards, stone and brick walls, and vacant land, and Group 9, stone and brick walls and soundproofing walls.
Third, color responsiveness was examined by matching colors to the above-mentioned types. Preference of color match scheme(ALT1 , ALT2, and ALT3) was investigated out of 13 colors(H)(5B, 5PB, 5G, 7.5PB, 5P, 5Y, 7.5G, 5B, 7.5B, 5YR, 5PB, 5B, and 5YR), and tone(brightness and chroma)[6/2(ALT3), 7/3(ALT2), and 8/2(ALT1) according to the theory of harmony. The results showed positive response to ALT 2. Although there was small difference from ALT 1 , subjects' preference was agreed to the climate feature of high-rainfall region. Lower brightness(V=7) was preferred than the existing environment color(V=8). While the results of colorimetry of exterior color of apartments in a subject region generally showed high bright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1 level lower.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the regional color palette. The color plan of apartments in Gwangju prefers high color/low chroma like the trend of big cities and follows only a tradition of major construction companies rather than considers regional color. Thus, this study presented brightness, V=7 as the major tone(Value+Chroma) of apartment exterior color in the Gwangju area, which was obtained natural environment color, considering regional features.
These materials collected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exterior color design will generally help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es to architectural plan, natural, regional, and climate elements in architectural design. Furthermore, the focus of color plan should be on reflecting regional features to improve visual quality.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color design for the apartments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 i
ABSTRACT = ix
Ⅰ.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 1
1.2 연구의 목적 = 2
1.3 연구의 방법 = 4
Ⅱ. 지역의 환경색채 이론 고찰 = 7
2.1 환경색채의 일반적 현상 = 8
2.1.1 색채의 물리적 현상 = 8
2.1.2 색채의 심리적 현상 = 16
2.1.3 색채의 지각적 현상 = 20
2.2 지역의 환경색채 연구사례 = 23
2.2.1 국내의 동향 = 24
2.2.2 국외의 동향 = 25
2.2.3 지역성 의미 = 31
2.3 소결 = 33
Ⅲ. 지역의 자연환경색채 조사 = 35
3.1 지역의자연환경색채 = 35
3.1.1 조사의 개요 = 35
3.1.2 조사의 방법 = 37
3.1.3 조사의 내용 = 37
3.2 지역설에의한자연색채 = 39
3.2.1 조사대상지역의 설문조사 = 39
3.2.2 조사대상지역의 자연색채 분석 = 42
3.2.3 조사대상지역의 전통·문화 색채 분석 = 44
3.3 기후설에 의한 자연환경색채 = 49
3.3.1 조사대상지역의 기후조사 = 49
3.3.2 기후설에 따른 자연환경색채 분석 = 51
3.3.3 기후설에 따른 자연환경색채 추출 = 55
3.4 위도설에 의한 자연환경색채 = 57
3.4.1 조사대상지역의 위도 조사 = 57
3.4.2 위도설에 따른 자연환경색채 분석 = 58
3.4.3 위도설에 따른 자연환경색채 추출 = 63
3.5 소결 = 65
Ⅳ. 지역의 아파트 외장색채 분석 = 68
4.1 조사대상지역의 아파트 외장색채 = 68
4.1.1 조사의 개요 = 68
4.1.2 조사대상 지역의 현황 = 68
4.1.3 조사대상 지역의 분석 방법 = 69
4.2 아파트의 특성 및 유형분석 = 73
4.2.1 조사대상지역 아파트 단지의 특성 = 73
4.2.2 조사대상지역의 아파트 단지의 군집분석 = 75
4.2.3 조사대상지역의 아파트 단지 유형 분석 = 78
4.3 아파트 외장색채 현황별 분석 = 80
4.3.1 조사대상지역의 아파트 외장색채 분석 = 81
4.3.2 조사대상지역의 아파트 가로변 요소의 색채 분석 = 87
4.3.3 조사대상지역의 아파트 외장색채 분석 내용 = 89
4.4 소결 = 90
Ⅴ. 지역의 아파트 외장색채 화상 배색 = 92
5.1 아파트 외장색채 화상 배색안 = 92
5.1.1 조사의 방법 = 92
5.1.2 조사의 내용 = 94
5.2 지역의 현행 아파트 외장색채 배색안 = 95
5.2.1 지역의 현행 아파트 외장색채 이미지 특성 = 97
5.2.2 지역의 현행 아파트 외장색채 이미지 분석 = 103
5.3 지역의 아파트 외장색채 화상 배색안 감응도 = 104
5.3.1 화상 배색안의 조화 유형 설정 = 104
5.3.2 화상 배색안에 대한 이미지 분석 = 108
5.4 소결 = 117
Ⅵ. 아파트 외장색채 디자인 방법 = 120
6.1 아파트 외장색채 디자인 과정의 배색안 설정 = 120
6.2 아파트 외장색채 현황분석 = 120
6.2.1 아파트 외장색채 현황 조사 = 120
6.2.2 현행 아파트 외장색채 대표 색채파레트 추출 = 122
6.3 아파트 외장색채 화상 배색안 = 123
6.3.1 아파트외장색채배색안설정 = 123
6.3.2 조사대상지역자연환경색채파레트추출 = 128
6.4 아파트 외장색채 배색유형 = 129
6.4.1 아파트 외장색채 배색 모형 및 작성 = 129
6.4.2 아파트 외장색채 감응도 조사 = 130
6.4.3 아파트 외장색채 적용 색채파레트 제안 = 130
6.5 소결 = 132
Ⅶ. 결론 = 134
참고문헌 = 139
國文要旨 = 144
부록 = 148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하주아. (2005). 아파트 建築物의 外裝色彩 디자인 方法에 關한 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84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177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12-1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