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xonomy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laboulbeniales in Korea
- Author(s)
- 나영희
- Issued Date
- 2005
- Abstract
- 본 논문은 생물 유전자 자원 확보 차원에서 충생자낭균류의 자원을 발굴하고 동정하여 신종과 미기록종 그리고 그들의 숙주곤충들과 분포현황을 밝히기 위하여 우리나라 전 지역을 대상으로 1996년 3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연구한 결과이다. 충생자낭균류는 절족동물(Arthropoda)의 표피에 기생하는 자낭균류의 일종이다. 이 균류는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고 현재 133속 2,000여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조사기간 전 우리나라에서는 14속 46종 (3신종 포함)이 기록되어져 있었다.
본 조사기간 중에 우리나라의 충생자낭균류는 2신종과 20미기록종 그리고 3미기록속들이 11속 22종의 숙주곤충들에서 각 지역으로부터 추가로 기록되었다.
그 종과 속들 그리고 숙주곤충들과 채집지역들은 다음과 같다.
2 신종은 Laboulbenia mudeungensis Y. H. Na et Y. B. Lee는 Bembidion lissonotum Bate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광주 무등산과 전남 무안에서 채집되었으며, Laboulbenia nogodanicus Y. H. Na et Y. B, Lee는 Agonum bucanani Hope 와 Agonum sp.의 숙주곤충들로부터 지리산 노고단, 전남 두륜산, 전북 덕유산에서 채집되었다.
20 미기록종은 Herpomyces stylopygae는 Blatta orientali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경기도 광릉과 광주 두암동에서, Filariomyces forficulae는 Labidura japonica의 숙주곤충으로부터 전남 장성, 진도와 제주 성산에서, Laboulbenia anoplogenii는 Anoplogenius cyanescens, Platynus daimio 와 Stenolophus quinquepustulatu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지리산, 제주 성산, 경남 우포늪에서, L. benjaminii는 Stenolophus difficili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전남 백운산에서, L. borealis는 Gyrinus japonicu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경남 취서산 (통도사)에서, L. filifera는 Harpalus sp.의 숙주곤충으로부터 광주시에서, L. gebleri는 Haplochlaenius constiger의 숙주곤충으로부터 제주 성판악에서, L. habui는 Chlaenius variicorni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경기도 광릉에서, L. hastiana는 Bembidion lissonotum의 숙주곤충으로부터 전남 백운산에서, L. humilis는 Chlaenius naeviger의 숙주곤충으로부터 전남 백운산에서, L. pallida는 Anisodactylus signatu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제주 한라산에서, L. pedicellata는 Bembidion thermarum 와 B. morawitzi의 숙주곤충으로부터 경남 우포늪과 주남저수지에서, L. Philonthi는 Philonthus wuesthoffi의 숙주곤충으로부터 경남 우포늪에서 , L. yamadae는 Chlaenius variicorni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경기도 광릉에서, Misgomyces dyschirii는 Dyschirius ovicolli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경남 우포늪에서 , Chitonomyces iriomotensis는 Laccophills lewisiu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경남 우포늪과 주남저수지에서, C. orietalis는 Laccophilus lewisiu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경남 우포늪과 주남저수지에서, C. zonatus는 Laccophilus lewisiu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제주 용수에서, Rickia pallodina는 Pallodes umbratilis의 숙주곤충으로부터 전남 조계산과 경기도 광릉에서, Dimeromyces anisolabis는 Anisolabis maritima의 숙주곤충으로부터 지리산에서 채집되었다.
3 미기록속은 Dimeromyces, Filariomyces, Misgomyces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우리나라의 충생자낭균류는 현재까지 17속 68종이 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조사기간 전까지 보고 된 숙주곤충들을 보면 31속 49종으로 나타났지만, 본 조사기간을 통해 11속 22종이 추가로 기록되어 현재까지 42속 71종으로 밝혀졌다. Laboulbenia에 속하는 33종의 균류는 22속 42종의 숙주곤충에 기생하여 가장 많은 숙주곤충들에서 발견되었고, Peyritschiella에 속하는 7종의 균류는 3속 9종의 숙주곤충에 기생하였으며, Rickia에 속하는 6종의 균류는 6속 6종의 숙주곤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충생자낭균류 14속 22종의 균류들은 16속 18종의 숙주곤충들에 기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기록된 충생자낭균류의 속들과 그들의 숙주곤충들의 속과 종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Philonthus에 속하는 9종의 숙주곤충들에 3속 9종의 균류가 기생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 그들 중에 Peyritschiella에 속하는 7종의 균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Chlaenius에 속하는 5종의 숙주곤충들에 2속 7종의 균류가 기생했으며, 그들 중에 가장 Laboulbenia에 속하는 6종의 균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Laccophilus에 속하는 2종의 숙주곤충들에 1속 6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이들 모두는 Chitonomyces에 속하는 종들이다. L. difficilis의 숙주곤충에서 3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L.. lewisius의 숙주곤충에는 5종의 균류가 채집되었으며, Chitonomyces chinensis 와 C. paradoxus는 L. diffcilis, L. lewisius의 두 숙주곤충들에서 모두 발견되었다.
Harpalus에 속하는 3종의 숙주곤충들에 1속 3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Bembidion에 속하는 6종의 숙주곤충들에 1속 5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Anoplogenius에 속하는 3종의 숙주곤충들에 1속 3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Pterostichus에 속하는 3종의 숙주곤충들에 1속 3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이들 모두는 Laboulbenia속으로 나타났다.
Acupalpus inoratus, Agonum buchanani, A. sp., Anisodactylus punctatipennis, A. signatus, A. tricuspidatus, Anoplogenius cyanescens, Bembidion chloreum, B. lissonotum, B. morawitzi B. oxyglimma B. scopulinum, B. thermarum, Brachinus stenoderus, Chlaenius inops, C. naeviger, C. protenus, C. variicornis, Colpodes buchani, Gyrinusjaponicus, Haplochlaenius costiger; Harpalus roninus, H. sinicus, H. sp., H. sp.(1), (2), Nebria ocohotica, Paederus fuscipes, P. parallelus, Panagaeus japonicus, Perigona nigricepis, Philonthus longicoris, P. wuesthoffi, Platynus daimio, Pterostichus audax, P. microcephalus, P. subovatus, Stenolophus diffficilis, S. quinquepustulatus, Tachys fuscicauda, T. gradatus, T. laetifica, Trichotichnus congruus의 숙주곤충들에서는 Laboulbenia에 속하는 33종의 균류가 채집되었다.
Aleocharinaev sp., Philonthus amicus, P. azabuensis, P. micanticollis, P. peliomerus, P. rectangulus, P. spinipes, P. tardus, Staphylindiae sp.의 숙주곤충들에서는 Peyritschiella에 속하는 7종의 균류가 채집되었다.
Ancylopus melanocephalus, Episcapha flavofasciata, Haptoncus sp., Pallodes umbratilis, Scaphidium sp., Tritoma nipponensis의 숙주곤충들에서는 Rickia에 속하는 6종의 균류가 채집되었다.
Laccophilus difficilis, L. lewisius의 숙주곤충에서는 Chitonomyces에 속하는 6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Anthicus corfucii, A. floraris의 숙주곤충들에서는 Dioicomyces에 속하는 1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Blatta orientalis, Periplaneta japonica의 숙주곤충들에서는 Herpomyces에 속하는 2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Acupalpus inoratus, Philonthus micanticollis의 숙주곤충들에서는 Rhachomyces에 속하는 2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Laccobius bedeli의 숙주곤충에서는 Autoicomyces에 속하는 1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Carpelimus exiguns의 숙주곤충에서는 Cantharomyces에 속하는 1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Ochthephilum densipenne의 숙주곤충에서는 Corethromyces에 속하는 1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Anisolabis maritima의 숙주곤충에서는 Dimeromyces에 속하는 1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Pheropsolhus jessoensis의 숙주곤충에서는 Enarthromyces에 속하는 1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Chlaenius ocreatus의 숙주곤충에서는 Eucantharomyces에 속하는 1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Labidura japonica의 숙주곤충에서는 Filariomyces에 속하는 1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Dyschirius ovicollis의 숙주곤충에서는 Misgomyces에 속하는 1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Atheta sp.의 숙주곤충에서는 Monoicomyces에 속하는 1종의 균류가 채집되었고, Helochares lentus의 숙주곤충에서는 Zodiomyces에 속하는 2종의 균류가 채집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분석해 보면 우리나라에서 충생자낭균류의 숙주곤충들은 딱정벌레목 Carabidae에 속하는 21속과 40종들에서 Laboulbenia에 29종들이 기록되어 가장 풍부한 숙주곤충이 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딱정벌레목Staphylinidae에 속하는 5속과 14종들에서 Peyritschiella에 7종이 기록되었다.
분포상을 보면 Laboulbenia에 속하는 균류들이 총 조사지역 45개 지역에 중에서 30개 지역에서 채집되어 가장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며, Chitonomyces에 속하는 균류들이 10개 지역, Peyritschiella에 속하는 균류들이 9개 지역, Rickia에 속하는 균류들이 8개 지역 순으로 채집되었다. 가장 채집이 많이 된 지역은 광주시로 총 8속 24종이 채집되었으며, 다음으로 경남 우포늪에서 5속 15종, 제주 한라산에서 3속 11종이 채집되었다.
충생자낭균류의 분포는 그들이 숙주곤충에 기생하는 절대 기생체이기 때문에 그들의 숙주곤충들의 분포와 깊은 관계가 있다. 세계적으로 곤충의 분포는 열대지역으로 갈수록 양적으로 풍부하고, 종의 분포도 다양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곤충의 분포도 기후대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위도상 적도에 가까운 남쪽으로 갈수록 종의 분포도 다양하고 풍부하지만 북쪽으로 갈수록 빈약하다.
위와 같은 결과는 채집시의 계절적 차이, 채집횟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지라도, 총 채집지역의 45개소에서 위도상 36° 이남에 위치한 지역에서 Laboulbenia에 속하는 균류들은 30종, Peyritschiella에 속하는 균류들은 7종, Chitonomyces에 속하는 균류들은 6종, Rickia에 속하는 균류들은 6종, 나머지 속에서는 12속 12종으로 총 60종의 충생자낭균류가 채집되어 비교적 풍부하였다. 위도상 36° 이북에 위치한 지역에서 Laboulbenia에 속하는 균류들은 9종, Peyritschiella에 속하는 균류들은 2종, Rickia에 속하는 균류들은 2종, 나머지 속에서는 4속 5종으로 총 18종의 충생자낭균류가 채집되어 빈약하게 나타나 남쪽으로 갈수록 종의 분포도 다양하고 풍부하고 북쪽으로 갈수록 빈약하다는 것과 일치하였다.|In 1994, 46 species under 14 genera of the Laboulbeniales are known in Korean numbers of the Laboulbeniales. Latter that time, 3 unrecorded genera, 2 new species and 20 species newly collected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68 species under 17 genera in Korea.
Two new species are Laboulbenia mudeungensis Y. H. Na et Y. B. Lee on Bembidion lissonotum Bates, Laboulbenia nogodanicus Y. H. Na et Y. B. Lee on Agonum bucanani Hope and Agonum sp.. Laboulbenia mudeungenesis Y. H. Na et Y. B. Lee collected from Mt. Mudeung, Gwangju city and Muan, Jeonnam Province. Labulbenia nogodanicus Y. H. Na et Y. B. Lee collected from Nogodan, Mt. Jiri, Mt. Duryeun, Jeonnam Province and Mt. Deckyou, Jeonbuk Province.
Herpomyces stylopygae on Blatta orientalis, Filariomyces forficulae on Labidura japonica, Laboulbenia anoplogenii on Anoplogenius cyanescens, Platynus daimio and Stenolophus quinquepustulatus, L. benjaminii on Stenolophus difficilis, L. borealis on Gyrinus japonicus, L. filifera on Harpalus sp., L gebleri on Haplochlaerius constiger, L. habui on Chlaenius variicornis, L. hastiana on Bembidion lissonotum, L. humilis on Chlaenius naeviger; L. pallida on Anisodactylus signatus, L. pedicellata on Bembidion thermarum and B. morawitzi, L. Philonthi on Philonthus wuesthoffi, L.. yamadae on Chlaenius variicornis, Misgomyces dyschirii on Dyschirius ovicollis, Chitonomyces iriomotensis on Laccophilus lewisius, C. orientalis on Laccophilus lewisius, C. zonatus on Laccophilus lewisius, Rickia pallodina on Pallodes umbratilis, Dimeromyces anisolabis on Anisolabis maritima were newly collected in Korea.
Three unrecorded genera were Dimeromyces, Filariomyces, Misgomyces.
In 1994, 49 species under 31 genera of insects are known as the hosts of Korean numbers of the Laboulbeniales. Latter that time, 22 species under 11 genera are add to host ins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71 species under 42 genera in Korea.
33 species of Laboulbenia which were a parasite on the host of 42 species under 22 genera in total take the dominant of them. They are Acupalpus inoratus, Agonum buchanani, A sp., Anisodactylus punctatipennis, A. signatus, A. tricuspidatus, Anoplogenius cyanescens, Bembidion chloreum, B. lissonotum, B. morawitzi, B. oxyglimma, B. scopulinum, B. thermarum, Brachinus stenoderus, Chlaenius inops, C. naeviger; C. protenus, C. variicornis, Colpodes buchani, Gyrinus japonicus, Haplochlaenius costiger; Harpalus roninus, H. sinicus, H. sp., H. sp.(1), (2), Nebria ocohotica, Paederus fuscipes, P. parallelus, Panagaeus japonicus, Perigona nigriceps, Philonthus longicoris, P. wuesthoffi, Platynus daimio, Pterostichus audax, P. microcephalus, P. subovatus, Stenolophus difficilis, S. quinquepustulatus, Tachys fuscicauda, T. gradatus, T. laetifica and Trichotichnus congruus.
7 species of Peyritschiella were a parasite on the host of 9 species under 3 genera. They are Aleocharinaev sp., Philonthus amicus, P. azabuensis, P. micanticollis, P. peliomerus, P. rectangulus, P. spinipes, P. tardus and Staphylindiae sp.. 6 species of Rickia were parasite on the host of 9 species under 3 genera. They are AncylopuS melanocephalus, Episcapha flavofasciata, Haptoncus sp., Pallodes umbratilis, Scaphidium sp. and Tritoma nipponensis. 6 species of Chitonomyces were parasite on the host of 2 species under 1 genus. They are Laccophilus difficilis and L. lewisius.
The other genera of Laboulbeniales were a parasite on the host of 16 species under 13 genera. They are as follows; 2 species of Herpomyces were parasite on the Blatta orientalis, Periplaneta japonica. 1 species of Autoicomyces was parasite on the Laccobius bedeli. 2 species of Zodiomyces were parasite on the Helochares lentus. 2 species of Rhachomyces were parasite on the Acupalpus inoratus and Philonthus micanticollis. 1 species of Filariomyces was parasite on the Labidura japonica. 1 species of Misgomyces was parasite on the Dyschirius ovicollis. 1 species of Corethromyces was parasite on the Ochthephilum densipenne. 1 species of Dioicomyces was parasite on the Anthicus confucii and A. floraris. 1 species of Enarthromyces was parasite on the Pheropsolhus jessoensis. 1 species of Cantharomyces was parasite on the Carpelimus exiguns. 1 species of Eucantharomyces was parasite on the Chlaenius ocreatus. 1 species of Dimeromyces was parasite on the Anisolabis maritima. 1 species of Monoicomyces was parasite on the Atheta sp..
9 species under 3 genera of Laboulbeniales were parasite on the Philonthus of 9 species. 7 species of Peyritschiella take the dominant of them. 7 species under 2 genera of Laboulbeniales were parasite on the Chlaenius of 5 species. 6 species of Laboulbenia take the dominant of them. 6 species under 1 genera of Laboulbeniales were parasite on the Laccophilus of 2 species. 6 species of Chitonomyces take the dominant of them. 3 species under 1 genera of Laboulbeniales were parasite on the Harpalus of 3 species. 5 species under 1 genera of Laboulbeniales were parasite on the Bembidion of 6 species. 3 species under 1 genera of Laboulbeniales were parasite on the Anoplogenius of 3 species. 3 species under 1 genera of Laboulbeniales were parasite on the Pterostichus of 3 species. Laboulbenia was parasite on the all of them.
In a view of distribution, 33 species of Laboulbenia were widely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30 to totally 45 survey areas. 6 species of Chitonomyc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10 areas of them, 7 species of Peyritschiella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9 areas of them and 6 species of Rickia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8 areas of them. The other genera of Laboulbenial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14 areas of them.
The most dominant collecting areas was Gwangju city (24 species), next one was Upo swamp (15 species), and Mt. halla (11 species).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생물학과
- Awarded Date
- 2005-02
- Table Of Contents
- Contents = 0
국문초록 = i
Abstract = vi
Ⅰ. Introduction = 1
1. Host-parasite relationship = 4
1) Host range = 4
2) Pathogenicity = 5
3) Transmission and growth = 5
4) Host and position specificity = 6
2. Development of thallus = 7
1) Spore = 7
2) Development of thallus = 8
Ⅱ. Materials and Methods = 12
Ⅲ. Results and Discussion = 18
1.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Laboulbeniales = 18
1) Generic Key to the Laboulbeniales of Korea = 18
2) Three genera of the Laboulbeniales new to Korea = 23
3) Two new species of the Laboulbeniales = 25
4) Twenty species of the Laboulbeniales new to Korea = 30
5) Species of the Laboulbeniales in Korea = 64
2. Host of Korean Laboulbeniales = 160
3. Distribution of Korean Laboulbeniales = 171
IV. Summary = 175
V . References = 179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 Citation
- 나영희. (2005). Taxonomy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laboulbeniales in Korea.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82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1632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09-12-10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