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국 민속화에 나타난 해학적(諧謔的) 일러스트 표현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신애
Issued Date
2004
Abstract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은 인류의 발생초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중과의 유대관계를 이루며 시각예술(視覺藝術)이라는 본질을 지니고 새로운 조형개념(造形槪念)으로 다극화(多極化) 되어 발전하여 왔다. 특히 일러스트레이션의 영역이 확장되어 가는 현대에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수단뿐 만 아니라 작가의 주관적(主觀的) 내면세계가 강하게 반영되어 무엇보다 개성적인 표현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 표현방식에 있어서는 다양한 기법과 재료를 이용하여 객관적인 사실을 기록하기도 하고, 사회의 모순을 보도하기도 하며, 이상적인 삶을 염원하는 행위 등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리고 자유분방하고 때로는 과감한 표현형식을 도출시킴으로서 작가 자신만의 개성과 고유한 목소리를 표출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그 표현형식의 방법론적 입장에서 해학(諧謔)이란 요소를 끄집어내어 해학적인 일러스트를 분석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그리고 해학적인 일러스트의 근원을 민속에다 두고, 시대에 따라 민속화(民俗畵)에 나타난 해학적 일러스트의 특징과 조형성을 고찰(考察)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광범위한 민속화의 범위는 삼국시대(三國時代)부터 조선후기(朝鮮後期)까지의 회화(繪畵)로 정하였다.
연구 방향은 민속화에 나타난 해학적 일러스트의 고찰에 따라 풍부한 문화적 자원을 습득하고, 그것을 현대적인 일러스트(Illust) 표현에 수용하는 방법과 ‘해학’이란 시각적 기능이 수용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전개하였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민속화의 고찰을 통해서 첫째, 시대적 증거로서 그 시대의 사회상(社會相)을 읽게 해주는 기록이라는 점 둘째, 사회의 변화와 변동에 관련하여 새로운 변모(變貌)를 지향하려는 인간주의를 보여준다라는 점 셋째, 민중 삶을 비롯한 인간의 일상을 탁월한 예술성으로 구현(具現)해 내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재가 주는 민속적 내용들은 애써 인위적(人爲的)으로 가감(加減)하려는 의도보다 세련되지 못한 어떤 표정, 모습, 소재들을 그대로 그려내고 있고, 그 재료나 기법, 사물의 배치들이 일정한 법칙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스러움을 꾀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문화적(文化的)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습득할 수 있었다.
민속화의 이러한 조형성(造形性)은 일러스트레이션과 일정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가지고 있었다. 그 동일한 점을 보면, 원근법과 비례를 무시하고 전달 주제를 부각시키는 자유스런 형식을 취하고 있고, 대중의 흥미를 끌기 위해 전달 내용에 해학을 더하고, 객관적(客觀的)인 사실을 전달하려는 목적의 그림과 장식적인 그림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민속화 속에 내재된 해학적 일러스트 표현을 연구한 결과 주제의 사실성(事實性)과 명확성(明確性)이 뚜렷하여 각 시대의 풍습과 종교관, 놀이와 성(性) 문화의 다양함을 개성 넘친 형상(形像)들로 묘사하고, 서술적(敍述的)인 이야기나 순간적인 인상을 간결한 선(線)으로 풀어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사실성에서 오는 직접적(直接的) 해학 외에도 사물의 형상을 빌어 개인의 내면세계와 사회의 모순을 은유적(隱喩的) 해학으로 표출한 그림도 나타나 있었다.
현재 일러스트레이션은 풍자(諷刺)나 유머(Humor)를 동반한 실천미술(實踐美術)로 수용자에게 큰 호감을 얻고 있고, 다양한 전파매체(電波媒體)를 통해 그 기능을 사회화(社會化)하고 있다. 특히 신문이나 잡지, 광고에서 해학이 하나의 소구방식(訴求方式)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전파매체를 통한 해학적 일러스트는 수용자에게 긍정적인 호감과 반응을 가져다 주는 요인이 되고, 해학적이지 않는 일러스트 보다 기억력에 있어서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현대적 일러스트 표현방법으로 민속화에서 보여준 해학적인 표현의 도입은 수용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는 요소가 되고, 이것이 실용화(實用畵)로 쓰였을 때 강한 호소력(呼訴力)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Illustration, originated from the early birth of human beings and tied with the public to this modern times, has been multilaterally developed as a new formative notion carrying the substance of visual art. Especially, in this modern times when the area of illustration is extending, idiosyncratic expressions, strongly reflected by artist's subjective internal world as well as visual communicative means, are paramountly valued. This is because illustration as visual communications has inseparable relations with the public consciousness and living circumstances at thi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ultimedia age, and because illustration is emotional media of vision which enables changes of this times and social functions.
Illustration which has been steadily developed as a way of delivering informations started when the primitive used symbols and pictures for communication, trade, and transmission. As we can see from the paintings of Altamira and Lascaux, with their own visual languages they used graphs or pictures as good media before the real language use. This makes us realize that illustration is not the paintings without subject for self-satisfaction or decoration but purposeful art with distinct subject. Since 1980s, establishing methodological ground for illustration, Korea has constantly advanced its own ways of illustration with the help of the studies analysing the elements of expression and the functions depending on pattern.
This study is focused on considering the meanings of artistic humor and the values of aesthetics in the function of illustration from the methodological view. The humor has been the main indicator of the Korean disposition keeping originality of the age by encouraging high aesthetic consciousness. Therefore, introducing the symbolic meaning of the humor for the ways of expressing Korean illustration can be enough to satisfy the needs immensely.
This study is design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 expressed in folk paintings from different times, regarding the origin of humorous illustration as folk paintings.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following;
1. to figure out the tendency of folk paintings on the background of the times.
2. to observe the relation between illustration and folk painting.
3. to analyse the values of humor which reflect the originality of the times, classifying the kinds of the humorous illustrations into some functions.
4. to judge the roles of the humorous illustration from the aspects of tradition, society, and painting.
5. to suggest the most typical Korean illustration.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humor expressed in the folk paintings reflects a variety of aspects such as our nation's history, culture, lifestyle, and beauty, and it has a strong attraction for the expressions of illustration. It thus appears that the visual function of illustration can play a leading role. In playing the role, above all, illustration isolated between design and painting should have the identity of an independent art and should be a creative transformation based on the cultural archetype.
Traditional folk painting, as an evidence of the times, has noble cultural values in three main reasons. First, it is a record enabling us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of the times. Second, it shows humanism pointing toward new transfiguration associated with social change and alteration. Third, it has embodied people's everyday lives in excellent artistry. Regarding those values as a starting line, it is desired that the most typical Korean illustration contribute the richness to the art through humor.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Expression Humorous Illust in the Korean Folk painting
Alternative Author(s)
Park, Sin-ya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고현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 범위와 방법 = 3
Ⅱ. 민속화의 정의와 개념 = 4
1. 민속화의 의의와 목적 = 4
2. 민속화의 변천과정 = 5
Ⅲ. 민속화의 시대적 분류 = 7
1. 선사시대 민속화 = 7
2. 삼국시대 민속화 = 9
3. 고려시대 민속화 = 12
4. 조선시대 민속화 = 14
Ⅳ. 일러스트레이션의 이론적 배경 = 18
1. 일러스트의 의의와 목적 = 18
2. 일러스트의 변천과정 = 19
3. 일러스트의 영향 = 22
Ⅴ. 민속화와 일러스트레이션과의 관계 = 30
1. 민속화와 일러스트와의 동일성 = 30
2. 민속화와 일러스트와의 차별성 = 32
Ⅵ. 민속화의 해학적 일러스트레이션 = 34
1. 일러스트레이션의 해학적 표현 = 34
1) 해학의 개념 = 34
2) 일러스트레이션의 해학 요건 = 35
2. 해학적 민속 일러스트레이션의 종류 = 36
1) 생업적 민속 일러스트 = 36
2) 종교적 민속 일러스트 = 41
3) 일상적 민속 일러스트 = 48
4) 대립적 민속 일러스트 = 53
5) 놀이적 민속 일러스트 = 60
6) 춘의적 민속 일러스트 = 66
Ⅶ. 해학적 일러스트레이션의 비교 분석 = 74
1. 전통적 측면 = 74
2. 사회적 측면 = 76
3. 회화적 측면 = 79
Ⅷ. 해학적 일러스트레이션의 발전 방향 = 83
1. 독립적 실천예술 = 83
2. 주체적 언어표현 = 85
3. 실용을 위한 실험 방법 = 87
Ⅸ. 결론 = 91
참고문헌 = 94
참고논문 = 95
참고자료 = 96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신애. (2004). 한국 민속화에 나타난 해학적(諧謔的) 일러스트 표현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78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5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