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제2형 근관에서 거터퍼쳐콘의 적용방법에 따른 치근단 누출의 비교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재방
Issued Date
2004
Abstract
Ⅰ. 서론
근관치료란 치아우식, 치주질환, 외상 등으로 인하여 치아에 염증이 생기거나 괴사된 경우에 시행하는 치료이다. 근관치료의 과정은, 근관와동을 형성한 후, 근관계를 세정 및 확대한 후 근관을 충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근관치료를 어렵게 하는 요인을 보면, 불규칙한 형태의 근관이나 부근관과 측방근관 등의 근관의 해부학적 형태의 이상, 석회화된 근관, 심한 만곡을 가진 근관, 근관내에 기구가 파절된 치아, 기존 수복물, 치아의 내흡수 및 외흡수, 두 개의 근관이 근단부에서 하나로 만나거나, 하나의 근관이 근단부에서 여러개로 나뉘는 근관의 형태 등 다양하다. 이는 근관계의 세정 및 확대가 어렵고, 따라서 충전도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제 2형 근관은 두개의 근관이 근단부에서 하나로 만나는 형태의 근관이며, 일반적으로 근관의 확대와 충전이 어려운 근관으로 알려져 있다.
Ⅱ.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Type Ⅱ 근관에서, continuous wave technique을 이용하여 근관충전시 gutta-percha cone을 동시에 삽입하여 근관충전하는 방법과, 하나의 근관을 충전한 후에 나머지 근관을 충전했을때 근관 밀폐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또한 근단부의 형태가 둥글게 되어있는지 또는 fin이나 또다른 변형된 형태를 가지는지에 따른 근관 밀폐효과 또한 비교하였다.
Ⅲ. 실험재료 및 방법
발거된 사람의 상악 제 2소구치와 하악 대구치의 근심치근 중 Type Ⅱ 근관을 지닌 치아를 40개를 선별하여 20개씩 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치수강 개방은 고속의 핸드피스 bur를 이용하여 시행되었고, 근관입구는 #10~25 H-file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근관의 치관부1/3과 중간 1/3까지 미리 확대하였다. 근관확대는 제 3세대 Ni-Ti file인 엔진구동형 Protaper(Dentsply Tulsa Dental, U.S.A.)를 사용하였으며, 수동 stainless steel file인 K-flexofile (Maillefer, Swiss)을 사용하였다. 근관충전은 system B와 obturaⅡ를 이용한 continuous wave technique을 사용하였으며 충전재로 사용한 거터퍼쳐의 삽입 방법을 2개의 군에서 각각 달리하였다.
(1) 1군 : 치근단 1/3에 sealer를 얇게 도포한 거터퍼쳐 콘을 2개의 근관에 동시에 삽입한 후 근관장보다 3mm 짧은 길이로 system B(Analytic Technology, U.S.A)를 사용하고, 200℃로 맞춰진 obrura Ⅱ(Obtura/Sparten, Fenton, U.S.A)를 이용하여 backfill을 하였다.
(2) 2군 : 치근단 1/3에 sealer를 얇게 도포한 거터퍼쳐 콘을 하나의 근관에 삽입 후 근관장보다 3mm 짧은 길이로 system B를 삽입하였고, 이후 또다른 근관에 거터퍼쳐 콘을 삽입한 후 근관장보다 3mm 짧은 길이로 system B를 삽입하였으며, obtura Ⅱ를 이용하여 두 근관을 차례로 backfill하였다.
근관충전이 끝난 모든 치아는 미세누출 측정을 위하여 치근단 5mm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 nail varnish를 도포하고, Indian ink에 72시간동안 실온 보관하였다. 보관된 치아는 미세누출 측정을 위해 석고에 매몰하고 저속의 diamond wheel saw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근첨에서 각각 1.0mm, 2.0mm, 3.0mm, 4.0mm, 5.0mm 떨어진 위치에서 수평절단 하였다.
수평절단한 시편의 절단면은 slide glass에 위치시킨 후, stereomicroscope (Olympus, Japan)으로 20배 확대 관찰한 뒤 각 절단면 상에서, 염색액의 침투 여부를 기록하여 각각의 위치에서의 미세누출을 기록하였다(그림 2). 또한 각 근단부의 형태 즉, 둥근모양이거나 fin 또는 다른 변형된 형태를 가지느냐에 따른 미세누출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Ⅳ. 실험 결과
두 군 중에서 G-P cone을 동시에 넣고 근관충전을 시행한 1군에서 누출률의 평균이 다소 낮게 나왔으나(그림 3), 각 측정결과를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해본 결과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또한 근관의 형태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치근단 5.0mm 부위에서의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근단 5.0mm에서 미세누출을 평가했을 때, fin 형태의 76.2%가 미세누출이 있었고, 23.%에서는 미세누출을 보이지 않았다.
2. 치근단 5.0mm에서 미세누출을 평가하였을 때, round 형태의 52.6%가 미세누출이 있었고, 47.4%는 미세누출을 보이지 않았다.
3. 치근단 5.0mm에서 미세누출이 있는 경우의 61.5%가 fin 형태였으며, 38.5%가 round 형태였다.
4. 치근단 5.0mm에서 미세누출이 없는 경우 35.7%가 fin 형태였으며, 64.3%가 round 형태였다.
근단부의 근관형태가 round한 경우보다 fin 형태인 경우에 미세누출이 일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05).
Ⅴ. 결론
본 연구결과 Type Ⅱ 근관에서의 근관충전시, G-P cone을 삽입하는 방법에 따른 근단부 미세누출의 차이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근단부의 근관형태에 따른 미세누출에서는 둥근 형태의 근관이 근단부 밀폐효과가 다소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근관충전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근관에 따른 적절한 근관의 확대와 그에 따른 적절한 근관충전이 시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pical sealing ability according to the gutta-percha(G-P) cone insertion methods in type Ⅱ canal. Forty maxillary 2nd premolars and mesial root of lower molars with complete apical formation and patent foramina were selected.
A #10 K-file(Dentsply-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was introduced into the canal and advanced until it appeared at the apical foramen. The working length of each root was established by subtracting 1mm from this measurement. The apical preparation was then completed with PROTAPER^(TM) (Dentsply, Maillerfer Co., Swiss). Each PROTAPER^(TM) was introduced into the canal at a constant speed of 300 rpm with gentle push-pull motion.
Forty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of twenty teeth, respectively according to G-P cone insertion methods.
Group 1 : Following placement of the master G-P cone and sealer in two canal at the same time, the pre-fitted Buchanan’s plugger was activated by the System B^(TM)(Analytic Tec., Redmond, WA, U.S.A.) and Obtura Ⅱ(Obtura Corp., Fenton, MO, U.S.A.) was used for backfill at 200℃.
Group 2 : Following placement of the master G-P cone and sealer in one canal, the pre-fitted Buchanan’s plugger was activated by the System B^(TM). Master G-P cone and sealer was placed in another canal. And the pre-fitted Buchanan’s plugger was activated by the System B^(TM) and Obtura Ⅱ was used for backfill at 200℃.
To examine the apical microleakage, transverse section was performed at 1.0 mm(Level 1), 2.0 mm(Level 2), 3.0 mm(Level 3), 4.0 mm(Level 4), and 5.0 mm(Level 5) from the anatomical apex. And We compared the microleakage between the apical round preparation and fin or any devi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mean apical microleakage score of the group 1 was lower than the group 2.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pical microleakage at each group(p>0.05).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1 between the apical round preparation and fin or any deviation(p<0.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2.
Overall, the apical microleakage in type Ⅱ canal was affected by the apical preparation rather than the G-P cone insertion methods. Therefore, the clinicians need to be careful when instrument the type Ⅱ canal.
Alternative Title
An apical sealing ability according to the gutta-percha cone insertion methods in type II canal
Alternative Author(s)
Lee, Jae-Ba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Advisor
황호길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표목차 = ⅱ
도목차 = ⅲ
영문초록 = ⅳ
Ⅰ. 서론 = 1
Ⅱ. 연구재료 및 방법 = 3
Ⅲ. 연구성적 = 7
Ⅳ. 총괄 및 고안 = 9
Ⅴ. 결론 = 13
참고문헌 = 1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재방. (2004). 제2형 근관에서 거터퍼쳐콘의 적용방법에 따른 치근단 누출의 비교.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74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14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