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융합 텍스트로서의 대중매체에 대한 텍스트학적 연구-시사만화, TV뉴스, 시사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서옥란
Issued Date
2004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학적 이론을 가지고 융합 텍스트에 대한 전면적인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그 동안 대중매체 연구에서 주로 의존해왔던 사회과학적인 내용분석이나 기호학적인 방법 등이 안고 있는 이론적인 한계점을 극복하고 그림이나 영상과 문자가 어우러져 있는 융합 텍스트에 대한 보다 더 세밀하고 총체적인 분석을 할 수 있었다.
다양한 학문을 수용하면서 텍스트학은 오늘에 와서 하나의 과학으로 자리 잡고있다. 특히 텍스트학은 학제적인 방법론으로서 언어학, 기호학, 인지심리학, 커뮤니케이션이론 등을 등에 업고 그 동안 언어학이나,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도외시되었던 인간의 인지추론 과정을 거친 텍스트 산출, 이해, 전략과 수용 등 의사소통의 과정을 텍스트 구조와 기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해결함으로써 각종 텍스트, 특히 영상과 같은 대중매체의 텍스트 해석을 함에 있어서 실제로 인간의 의사소통과정에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학의 이론을 소개하는 각도에서 텍스트의 개념으로부터 출발하여 그림이나 영상도 하나의 확대된 텍스트라는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출발하여 대중매체와 같은 융합 텍스트들은 기존의 텍스트들과 어떻게 다른가 하는 특징을 인쇄 텍스트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 비교를 통해 우리는 융합 텍스트의 산출과 수용에 관한 해석은 현재 이런 텍스트를 산출하는 코드들에 대한 복합적인 해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다음 대중매체에 대한 텍스트학적인 분석을 위하여 반 다이크의 텍스트학적 이론에서 거시구조와 초구조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고 미시구조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보그란데와 드레슬러의 텍스트성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이론을 통하여 융합 텍스트로서 대중매체 텍스트의 구조와 기능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텍스트를 이루어 가고 있으며, 각 장르의 텍스트가 탄핵관련 보도를 어떻게 만들어내고 있는가 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중매체에서 만화나 영상 텍스트와 같은 융합 텍스트를 텍스트답게 하는 응결성에는 기존의 자소/음운론적 장치나 형태/통사론적 장치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다. 특히 만화의 특수기호, 글자의 크기, 등장인물의 표정, 풍선그림의 사용 등을 통하여 인물의 감정상태, 행동의 크고 작음과 강약 등 차이를 표현하며 텍스트다움에 이바지 한다. 영상 텍스트에서의 영상에서 크로마키와 자막을 포함한 기타 영상언어의 각종 코드들은 모두 응결성과 응집성의 장치로 볼 수 있다. 융합 텍스트는 이러한 영상기법의 각종 장치와 문자 텍스트와의 상호 연관 속에서 텍스트성을 실현한다.
둘째, 대중매체 텍스트들에서 응결성의 장치들로는 재수용과 생략, 대용어의 사용 등 다양한 기법들이 있다. 시사만화의 생략법은 지면의 제약을 극복하는 동시에 추론의 과정을 통한 수용자들의 인지활성화를 극대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셋째, 뉴스 텍스트나 시사다큐멘터리 텍스트에서 초구조를 통한 거시구조 분석은 생산자와 수용자의 인지과정을 밝혀내는 데 유용하다. 즉 어떤 특정한 현상을 둘러싼 구체적인 상황, 컨텍스트와의 연계를 통하여 사회구성원 즉 수용자들에게 설득시키고 인지시키는 의사소통의 과정을 설명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대통령 탄핵사건’의 경우, 생산자는 여러 단계의 담론을 형성시켜 자신의 의도성에 따라 사건 전반에 대한 발단, 발전, 결과에 대한 보도를 진행하고 있다.
넷째, 텔레비전 영상언어는 그 자체로서도 풍부한 의미를 나타낸다. 즉 언어표현으로서는 달성할 수 없는 규모나 크기를 나타내기도 하고, 정서적이고 감성적인 기의를 풍부하게 표출하기도 한다. 영상언어는 때로는 언어기사를 넘어서는 의미를 표현하기도 하고, 때로는 언어기사의 보조적인 의미를 표현하기도 한다. 영상 텍스트에서의 이런 상보적인 관계는 시사만화에서도 보여 진다. 시사만화에서 그림 텍스트의 다의성은 글을 통해, 글의 어려움은 그림을 통해 보완된다. 즉 언어 텍스트는 그림 텍스트가 전달하지 못하는 의미를 구체화시킬 수 있고, 그림 텍스트는 언어 텍스트의 해석, 방향, 범위, 강도 등을 한정하거나 규정해주고 있다. 언어와 그림, 영상의 이런 상보성의 관계는 융합 텍스트의 본질적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여섯째, 대중매체 텍스트에 대한 응집성 분석은 생산자의 의도성과 수용자의 용인성을 파악하고 텍스트의 의미화과정을 분석하는데 아주 유용하다는 것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비판과 풍자를 특징으로 하는 시사만화의 경우 이런 특징이 더욱 잘 드러나 있었다. 예컨대 대통령 탄핵안에 대한 ‘조선일보’나 ‘한겨레신문’의 경우 대립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었다. 객관적인 보도를 특징으로 하는 뉴스의 경우에도 이런 문제들이 드러나 있었다. 즉 KBS의 ‘대통령 탄핵관련’ 뉴스나 시사다큐멘터리는 여러 단계의 담론을 거쳐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 영상언어나 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생산자의 의도성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 방면에 대한 연구는 대중매체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는 공정성의 분석에도 유용한 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의 문화적 규범장치의 하나로서 대중매체가 어떻게 의미작용을 수행하고 수용자에게 읽혀지는가 하는 것을 여러 가지 방법론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오늘날 멀티미디어 시대 융합 텍스트의 소비자와 생산자의 상호작용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융합 텍스트를 분석하고, 그 의미작용을 체계화하는 기초 작업이 될 것이다.|This study attempted to analyse multi-text based on text-linguistic theories. Through this attempt, it is believed that we are able to overcome theoretical limitations of socio-scientific content analysis and semiologic studies which have depended on studies on mass media and conduct more specific and organized analysis on multi-text in which pictures, images and characters are mixed.
This study started from a study on a concept of text in terms of introduction of text linguistic theory and developed discussions in a viewpoint that pictures or images are one of expanded texts. Therefore, this study speculated how multi-text are different from existing texts through a comparison with printed tex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production and of acceptance of multi-text needs complex interpretation of codes that produce such texts.
Then, this study discussed text-linguistic analysis of mass media based on the macro-structure and superstructure theory in Van Dike text linguistic theory and an analysis of microstructure based on textuality theory presented by Beaugrande and Dressler.
This study speculated how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mass media text as multi-text interact to make a text and how texts in each genre produce "reports on presidents' impeachment" using the two theories. Through a specific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respect to cohesion to make multi-text be more textual,more expanded range of speculation is needed than phoneme/phonologi-
cal devices or morphological /syntactical devices. In particular, special signs in cartoons, size of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of characters, and use of bubbles that represent changes in emotion of characters, tone and size of behaviors contribute to achievement of textuality. Various codes of other screen languages including chroma-key and caption in screen texts are believed to be devices of cohesion. Multi-text realizes textuality in interaction between various devices of screen image techniques and characters texts.
Second, as devices of cohesion in mass-media texts, there are various techniques: re-acceptance, ellipsis, and pro-form. Ellipsis in current cartoons works to overcome restriction on pages and maximize active recognition of accepters through a process of inference. Recurrence and use of substitutes in TV news or current documentary are believed to emphasize themes of texts and ellipsis is a technique to overcome restriction in prescribed time schedule of broadcasting.
Third, an analysis of macro structure through superstructure in news text or current documentary texts is useful in identifying processes of recognition of producers and accepters. That is, through connections with contexts, specific circumstances surrounding a specific phenomenon, social members, accepters, are persuaded to understand and processes of communication are explained.
Fourth, image languages in TV have abundant meanings themselves. That is, they may have size or scales that can not be achieved by linguistic expression or abundantly produce sensational or emotional energy. Sometimes, they represent meanings beyond linguistic articles or assistant meaning of the articles. Complementary relations in image texts are shown in current cartoons. Equivocality in current cartoons is complemented through writing and difficulty of writing through pictures. That is, linguistic texts can specify the meanings that are not delivered by picture texts, and picture texts confine or define the interpretation, direction, range and strength of linguistic texts.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languages, pictures and images are essential properties of multi-text.
Fifth, it was inferred that an analysis on cohesion of mass media texts are very useful in identifying intentionality of producers and acceptability of accepters and analysing the process of providing meaning for texts.
Current cartoons on criticism and parody are remarkably characterized by such characteristics. For example, newspapers such as "Chosunilbo" or "Hangyeoresinmun" showed opposing attitudes on presidents' impeachment. News which is characterized by objective reports have such problems. That is, news on " presidents' impeachment" or current documentary programs showed strong intentionality of producers in use of image languages or vocabulary in the process to produce texts via several stages of discourses. It is thought that studies on it will provide useful frames for an analysis of fairness that has been significantly discussed in mass media.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se how mass media has meaning as one of cultural norms in contemporary society and how it is understood by accepters using various methods. It is sure that speculation on the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and producers of multi-text in this multi-media erawill provide basic data to analyse multi-texts and organize their meanings.
Alternative Title
The Textlinguistic Analysis of Mass Media as Multi- Text -Focused political cartoons, TV news, and current event documentaries
Alternative Author(s)
Seo, Ok- Ra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李晟衍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 1
1.1 문제의 제기 = 1
1.2 연구목적과 의의 = 5
1.3 연구대상과 방법 = 7
Ⅱ. 텍스트학과 대중매체 융합 텍스트 = 12
2.1 텍스트학 이론 = 12
2.1.1 텍스트와 융합 텍스트의 개념 = 12
2.1.2 텍스트학의 전개와 이론적 논의 = 19
2.2 텍스트학적 분석틀 = 28 2.2.1 거시구조와 초구조 = 27
2.2.2 미시구조 = 32
2.3 대중매체 융합 텍스트에 대한 텍스트학적 접근 = 36
2.3.1 시사만화 텍스트의 구조와 의미 = 36
2.3.2 TV영상언어의 구성요소와 의미 = 41
Ⅲ. 시사만화 텍스트의 텍스트학적 분석 = 47
3.1 시사만화의 특징 = 47
3.2 시사만화 텍스트의 텍스트학적 분석 = 48
3.3 요약 = 65
Ⅳ. 텔레비전 뉴스 텍스트의 텍스트학적 분석 = 68
4.1 텔레비전 뉴스의 특징 = 68
4.2 텔레비전 뉴스 텍스트의 텍스트학적 분석 = 70
4.3 요약 = 90
Ⅴ. 시사다큐멘터리 텍스트의 텍스트학적 분석 = 92
5.1 시사다큐멘터리의 특징 = 92
5.2 시사다큐멘터리 텍스트의 텍스트학적 분석 = 93
5.3 요약 = 123
Ⅵ. 결론 = 125
참고문헌 = 13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서옥란. (2004). 융합 텍스트로서의 대중매체에 대한 텍스트학적 연구-시사만화, TV뉴스, 시사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71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0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