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종에서 E2F 인자의 발현 의미
- Author(s)
- 박진실
- Issued Date
- 2004
- Keyword
- 유방암|E2F-4|E2F-2|면역조직화학적 방법|Breastcancer|Immunohistochemistry
- Abstract
- 유방암종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며 발병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유방암종의 발생과 예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중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이상이 최근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세포주기 중 G1기에서 S기로의 이행이 중요한 조절점인데, 세포가 증식할 것인지 또는 휴지기에 머물거나 분화할 것인지 이 시기에 결정된다. 세포주기 조절의 전사인자인 E2F군은 표적 유전자를 활성 또는 억제시켜 세포를 증식하게 하거나 세포자멸사를 촉진시키며 조직의 종류에 따라 종양발생을 촉진 또는 억제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중 E2F-4는 유방암에서 자주 결손되어 유방암 발생에 종양억제유전자로서의 기능을 암시하고 있지만 상반되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논란의 여지가 많다. 현재까지 유방암에서 E2F-4의 역할은 아직 분명하지 않으며 연구 또한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며 이 인자의 발현이 갖는 임상적 의의에 관한 연구 또한 부족하다. 또한 유방암에서 E2F-2 발현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2F 인자들이 유방암종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유방암종에서 E2F-4와 E2F-2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으로 평가하고, 임상병리학적 변수(즉, 환자의 나이, 조직학적 등급,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여부 및 DNA 배수성)와의 상관성을 통해 이들 발현이 갖는 임상적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세포주기 G/S기에 주로 작용하는 pRb, cyclin D1 및 p16 발현과 E2F-4 또는 E2F-2의 발현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E2F-4 단백은 침윤성 관암종 113예 가운데 48예 (42.5%)에서, E2F-2 단백은 침윤성 관암종 113예 가운데 66예 (58.4%)에서 양성이었다. E2F-4 단백 발현과 E2F-2 단백 발현의 일치율이 높았다(90예, 79.6%). E2F-4와 E2F-2 단백 발현은 종양의 크기와 림프절 전이여부와의 상관관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는데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발현율이 증가하였고 (p<0.0001)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 발현율이 증가하였다 (p<0.0001). E2F-4와 E2F-2 발현을 Rb, cylin D1 및 p16 발현과 비교하였을 때 이 들 사이의 의의있는 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종합하면 유방암종에서 E2F-4 또는 E2F-2 발현은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어 나쁜 예후인자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소견은 E2F-4 또는 E2F-2 인자가 유방암의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최소한 유방암의 발생에 있어서는 종양 억제 역할보다는 오히려 종양의 발생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The E2F family has the ability to mediate transcriptional activation or repression of target genes, to promote cell proliferation or apoptosis, and to promote or inhibit tumorigenesis in a tissue-specific manner. E2F-4 is a member of the E2F family, located at 16q22.1, that shows frequent deletion in breast cancer, suggesting that it may function as a tumor suppressor gene in breast carcinogenesis. The clinical impact of E2F-2 expression on breast cancer remains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the expressions of E2F-4 and E2F-2 were assessed immunohistochemically on paraffin sections from 113 breast carcinomas and expressions were compared with clinicopathological variables (age, grade, tumor size, lymph node status), expression of G1/S checkpoint proteins (p16, cyclin D1, and Rb), and DNA ploidy in an attempt to identify its possible role as a tumor suppressor gene and to assess its prognostic value, if any, in breast cancer. E2F-4 expression was detected in the nucleus and cytoplasm of normal and malignant breast epithelial cells. E2F-2 expression was detected in the cytoplasm of normal and malignant breast epithelial cells. There were a correlation between increased expression of E2F-4 or E2F-2 and indicators of poor prognosis including larger tumor size, and lymph node status. No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s of E2F-4 or E2F-2 and expression of p16, cyclin D1, and Rb, and DNA ploidy was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E2F-4 and E2F-2 may play a role in breast cancer progression and that E2F-4 and E2F-2 appears to have an oncogenic role rather than a tumor suppressor role in breast carcinogenesis.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13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