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양방병동과 한방병동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비교연구 - 5개 양·한방 협진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강승주
Issued Date
2004
Abstract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양·한방 협진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양·한방병동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파악하여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대상은 광주에 위치한 2개 양·한방 대학병원과 전라북도에 위치한 1개 양·한방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7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 까지이었다.
연구도구는 업무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김연태(1989)가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는 Slavitt 등(1978)이 개발한 도구를 김수자(1992)가 번안하여 사용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χ2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방병동과 한방병동 근무 간호사간의 업무 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한 결과, 양방병동 간호사군의 업무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3.24점, 한방병동 간호사군의 업무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2.71점이었다.
2.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의 두 집단간 차이는 양방병동 간호사군은 2.51점(p=.159)이며 한방병동 간호사군의 직무만족도 전체 평점은 2.55점(p=.000)이므로 두 집단간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업무 스트레스정도 차이는 양방병동 간호사군에서는 직위(t=13.74, p=.000), 건강상태(t=11.93, p=.000), 근무예정기간(F=10.60, 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한방병동 간호사군에서는 연령(F=4.43, p=.006), 교육기회(F=3.91, p=.024), 만족요인(F=3.76, p=.00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양방병동 간호사군에서는 교육기회(F=3.43, p=.037), 건강상태(F=6.34, p=.035), 근무예정기간(F=10.60, p= .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한방병동 간호사군의 경우 교육기회(F=5.72,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4.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양방병동 간호사군에서는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업무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았다(r=-.453, p=.000), 한방병동 간호사군에서도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업무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았다(r=-.430, p=.000).
결론 : 따라서 업무 스트레스 관리가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 근무환경 조성 등 제도적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is study is descriptive comparison investigation study to compare grasping Internal and Oriental Medicine nurse's business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egree which work in university hospital.
This study target did to 177 nurses who work in the 2 Internal and Oriental Medicine university hospital situated in Gwang-ju and 1 Internal and Oriental Medicine university hospital situated in Cholla bukdo and source collection period got thin on September 20 from Sep tember 1, 2004.
It used job stress measuring tool developed by Kim, Yeon-tae(1989), job satisfaction measurment made by Slavitt(1978) and adapted by Kim Suk-Ja (1992) as the research methods.
SPS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data were analysed by the use of freuency, percentage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cheffe's test.
This study finding is as follows:
1. Result that se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about subject person's business stress degree, Internal Medicine nurses business stress whole grades is 3.24 points, and Oriental Medicine nurses business stress whole grades was 2.71 points.
2. Difference between subject person's two group of job satisfaction Internal Medicine nurses 2.51 points be and Oriental Medicine nurse's job satisfaction whole grades difference that Oriental Medicine nurse's job satisfaction was some high than Internal nurses but keeps in mind between two group because it is 2.55 points be .
3. There was difference that business stress degree by subject person's general special quality keeps in mind in position(t=13.74, p=.000), health (t=11.93, p=.000), work schedule period(F=10.60, p=,000) in Internal Medicine nurses, and in age(F=4.43, p=.006), education opportunity (F=3.91, p=.024), satisfaction factor(F=3.76, p=.007) in Oriental Medicine nurses.
Job satisfaction by general special quality was similar difference in education opportunity(F=3.43, p=.037), health(F=6.34, p=0.35), work schedule period(F=10.60, p=.000) in Internal Medicine nurses and there was similar difference in education opportunity(F=5.72, p=.005) in Oriental Medicine nurses(p<.001).
4. According to result that analyze business stress and inte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as low as business stress is high displaying station interrelation in business stress and job satisfaction(r=-.453, p=.000).
As business stress is high displaying station interrelation in Internal Medicine nurses, Oriental Medicine nurses, job satisfaction was low (r=-.430, p=.000).
Therefore, systematic reform measure with education, work environment development that can manage stress because control of business stress becomes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that need known support consider .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b Stress and Satisfaction between the Oriental and Western ward Nurses.
Alternative Author(s)
Kang, Seung-J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dvisor
김인숙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내용 목차
ABSTRACT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3
C. 연구가설 = 3
D. 용어의 정의 = 4
Ⅱ. 문헌고찰 = 5
A. 업무 스트레스 = 5
B. 직무만족도 = 6
C.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 9
Ⅲ. 연구방법 = 11
A. 연구설계 = 11
B. 연구대상자 = 11
C. 연구도구 = 11
D. 자료수집방법 = 12
E. 자료분석방법 = 12
F. 연구의 제한점 = 13
Ⅳ. 연구결과 = 14
1. 양방병동과 한방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동질성 검증= 14
2. 양방병동과 한방병동 간호사간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비교= 16
3. 양방병동과 한방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업무 스트레스 정도 차이분석= 17
4. 양방병동과 한방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 19
5. 양방병동과 한방병동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정도와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 = 21
Ⅴ. 논의 = 22
Ⅵ. 결론 및 제언 = 27
A. 결론 = 27
B. 제언 = 28
참고문헌 = 30
부록 = 35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승주. (2004). 양방병동과 한방병동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비교연구 - 5개 양·한방 협진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69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13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