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신체지각을 통한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현대건축의 유기적 현상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金銀伊
Issued Date
2004
Abstract
산업혁명이후 가속화된 도시공업화로 인류가 오랫동안 추구해왔던 편익의 근대화를 이루었지만 그 반면 환경적으로는 지구촌 생태계의 평형을 위협하는 현상이 초래되고 심리적으로는 인간성 황폐화와 상업주의적인 생활환경속에서 점유자인 인간이 주위공간에 종속되어 비감성적으로 전락되어 가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인간은 자연을 포함하는 실재적인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공간은 우리의 일상적 경험 세계를 포함하는 신체의 세계이다. 인간의 존재와 행위는 모두 공간적 체험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의 체험은 신체적 지각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인간은 신체가 가지는 여러 가지 감각기관을 통하여 공간을 인식하고 공간은 체험자들의 다양한 경험과 행위를 제공하는 역할이다.
건축디자인에서도 환경과 인간 그리고 공간이라는 요소들로 구성되며, 각요소들은 상호작용에 의해 그 존재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현대 건축의 디자인 개념과 원리는 1960년대 이후 합리적인 원리에서 심리적인 원리와 상징적인 원리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공간의 개념은 인간성을 회복하고자 여러 경향 가운데 하나로 현상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에서 인간의 몸은 세계를 지각하는 본질이라고 하였다. 공간에 있어서 본질은 인간이 공간을 활용하고 인식하며 인간의 생활을 담는다는 것으로 공간디자인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공간의 주체자인 인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공간의 인간화’ 라는 관점에서 신체의 감각기관에 의해 지각되며 이러한 지각에 공간과 인간은 상호연관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인간은 하나의 상황에 대해서도 같은 지각을 하지 않기에 본질적으로 지각은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공간은 인위적인 기능이 한정된 수용일수록 그 생명력을 잃어버릴뿐 아니라 한정된 그 기능을 수용하기에도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능적인 공간 탈피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유기적 특성의 유동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즉, 인간의 신체는 공간에서 주체와 대상 즉, ‘나와 사물’의 관계가 아니라 서로 상호 작용하는 관계로 보아야 할 것이다.
공간디자인에서 신체적 지각의 특징을 이용하여 신체의 운동과 시선의 이동을 고려하여 회유동선을 만들어 주거나 빛의 유입을 이용하여 시선의 이동을 가져오는 방식등이 있다. 또한 공감각적인 요소들을 사용함으로서 더욱 활발해지며 감각과 기억의 혼합은 경험에 의한 기억, 인식을 교란시키거나 비교할 수 있는 내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은 변하지 않는 동일한 존재가 아니라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화하는 존재로써 그러한 변화는 인간에게 또 다른 경험을 제공하며 그시간성과 함께 자연적 요소의 변화를 많이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공간의 표현이 형태적 특징들로만 인식되지 않으며 공간과 이를 체험하는 신체는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이러한 지각의 다양성과 이를 경험하는 사람이 함께 이해되고 그 가능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d the urban industrialization, humankind finally achieved the long-awaited modernization of comfort and convenience. On the contrary, this expedited modernization also caused some unexpected, adverse effects from various aspects. Environmentally, it created a threatening phenomenon of destroying the equilibrium of the earth's ecosystem, whereas, psychologically, it caused the deprivation of humanity and enslaved the supposed possessor, human, to his surrounding space in a highly commercial living environment, ultimately becoming an unemotional being. This is the current reality of today. Human lives in a real, existing space that includes nature, and space is a physical world that includes the realm of our ordinary experience. The existence and action of human are all connected to a spatial experience. And this kind of spatial experience is formed through physical perception. Human perceives space by his various sensory systems, and space, in turn, provides him with varying experience and actions.
Architectural design consists of environment, human and space, and each factor get its meaning of existence through mutual interaction. After the 1960s,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modern architecture evolved from rationality to a psychological and symbolic principle. Therefore, the concept of spac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phenomenology, which is one of the many trends trying to recover the lost humanity. In her phenomenology lecture, Merleau-Ponty states that the human body is the essence that perceives the world. The essence of space design is, most important, the fact that human uses and perceives space, and he fills his living in it. In this regard, as being the subject of space, the importance of human should be recognized, and, in terms of the 'humanization of space', space is perceived by the human body's sensory systems, and, by this perception, human and space form mutual relationship. Also, since the human's perception against a same situation varies, it is essential for the human perception to take on diversity.
The more artificial the functions, the more vitality space will lose. Furthermore, space will be so saturated that it won't be even able to accommodate that artificial function. One way to solve this functional space problem is to give the flexibility of organic characteristic. Thus the relation between the human body and space should not be regarded as 'subject and object', i.e. 'me and object', but as a mutual relationship.
Space design makes a migrating moving-line us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body perception while considering the bodyand vision's movement, or brings the vision's movement by importing light. By using synesthetic factors, it turns more lively, and the combination of sense and memory may disturb or compare the perception or memory stemming from experience. Also space is not a fixed, identicalbeing, but rather changes as time passes by, and this change provides human with a different experience. Along with this time characteristic, space frequently uses the change of natural factors as well.
By these methods, the inexorably changing expressions of space will not be perceived as simple features of form. Space and the experiencing body will share an organic, mutual relationship, and the diversity of perception and the experiencing human will be considered together. And this possibility will be recognized.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pace Design by physical perception - Focusing on the organic phenomenon of modern architecture
Alternative Author(s)
Kim, Eun-Yi
Affiliation
朝鮮大學校 大學院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尹甲根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ABSTRACT
제1장. 서론 = 2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
1.2. 연구의 방법 = 3
제2장. 공간개념의 이론적배경 및 유기적 의미 = 6
2.1. 공간개념의 배경 = 6
2.1.1. 공간의 의미 = 6
2.1.2. 공간인식의 변화 = 8
2.2. 공간과 유기성의 관계 = 10
2.2.1. 공간의 유기적 사고 = 10
2.2.2. 유기체적 공간 = 11
2.2.3. 공간의 내부와 외부와의 관계 = 12
2.3. 유기적 의미 및 디자인 경향 = 14
2.3.1. 유기적 사고 = 14
2.3.2. 유기적 의미 = 16
2.3.3. 유기적 공간의 전개 = 18
2.3.4. 유기적 공간의 표현양상 = 22
제3장. 공간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 27
3.1. 공간구성에 대한 사고 = 27
3.1.1. 사고유형 = 27
3.1.2. 사고유형의 변화 = 28
3.2. 공간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 30
3.2.1. 공간의 신체지각 요소 = 30
3.2.2. 공간의 지각과 인지 = 31
3.2.3. 이미지와 상징 = 35
3.3. 공간내의 신체적 지각 = 38
3.3.1. 공간 체험 = 39
3.3.2. 체험에 의한 이미지와 상징 = 40
3.3.3. 공간과 행동 = 43
3.3.4. 공간의 행동과 지원성 = 45
3.4. 신체지각의 디자인적 요소 = 47
3.4.1. 신체의 움직임 = 48
3.4.2. 복합적 감각 = 49
3.4.3. 기억의 지속성 = 50
3.4.4. 시간성 = 51
3.4.5. 다양성 = 52
제4장. 신체 지각의 디자인특성 = 56
4.1. 신체의 시선유도 = 56
4.1.1. 빛에 의한 시선유도 = 56
4.1.2. 회유동선에 의한 시선유도 = 58
4.2. 복합적 감각 = 60
4.3. 기억의 지속성 = 62
4.3.1. 경험에 의한 지각 = 62
4.3.2. 기억의 착각 = 62
4.4. 시간성 = 64
4.4.1. 자연요소의 변화 = 64
4.4.2. 오브제로서의 자연 = 65
4.4.3. 풍경으로의 자연 = 66
4.5. 다양성 = 68
제5장. 결론 = 70
참고문헌 = 73
Degree
Master
Publisher
朝鮮大學校 大學院
Citation
金銀伊. (2004). 신체지각을 통한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현대건축의 유기적 현상을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68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84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