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복합레진 표면의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조도

Metadata Downloads
Author(s)
조공철
Issued Date
2004
Abstract
본 연구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 복합레진 연마 후 레진전색제의 적용이 복합레진의 표면조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합레진의 표면조도 측정과 FE-SEM 관찰을 통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미세입자형과 nanofill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8×3×2 mm의 시편을 각각 100개씩 제작하였고, 연마방법과 레진전색제의 적용 유무에 따라 20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Micronew를 사용한 군은 M군, Filtek Supreme을 사용한 군은 S군으로 분류한 후, 연마방법에 따라 M1군과 S1군은 polyester strip만을 사용한 군, M2군와 S2군은 Sof-Lex disc를 사용한 군, M3군과 S3군은 Enhance disc와 polishing paste를 사용한 군, M4군과 S4군은 Astropol disc를 사용한 군, M5군과 S5군은 carbide finishing bur를 사용한 군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또한 연마 후 Biscover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군은 연마방법에 따른 각 군에 B를 추가하여 M1B군-M5B군 및 S1B군-S5B군으로 분류하였다.
제작된 모든 시편은 표면조도의 측정과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시행하기 전에 실온의 증류수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표면조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각 시편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서 각각 5회씩 측정하여 평균 표면조도 값을 산출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군에서 대표적인 시편 1개를 선택하여 FE-SEM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합레진의 표면조도 값은 polyester strip에 의해 형성된 모든 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 났고,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S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군에서 finishing bur로 연마한 군 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 < 0.05). FE-SEM 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의 표 면은 polyester strip을 사용한 M1군과 S1군이 가장 평활한 표면을 나타냈고, finishing bur를 사용한 M5군과 S5군은 필러의 탈락에 의해 형성된 여러 개의 기포와 함께 울퉁 불퉁한 표면을 보였다.
2.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른 표면조도는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에는 통계학적으로 차이 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레진 전색제를 적용한 후에는 Micronew가 Filtek Supreme보다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p < 0.05).
3.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에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조도 간에 상호 연관성이 있었으나 (p=0.000),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에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 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 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 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 게 나타났다 (p < 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fi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 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Enhance, Astropol, carbide finishing bur로 연마한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었지만, polyester strip과 Sof-Lex disc로 얻어진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표면조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surface roughness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composite resin type, polishing methods, and use of resin sealant.
Two hundred rectangular specimens, sized 8×3×2mm, were made of Micro-new (Bisco, Inc., Schaumburg, IL, U.S.A) and Filtek Supreme (3M ESPE Dental Products, St. Paul, MN, U.S.A.), and divided into two groups; Micronew-M group, Filtek Supreme-S group. Specimens for each composite group were subdivided into five groups by finishing and polishing instruments used; M1 & S1 (polyester strip), M2 & S2 (Sof-Lex disc), M3 &S3 (Enhance disc and polishing paste), M4 & S4 (Astropol), and M5 & S5 (finishing bur). Polished groups were added letter B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urface sealant (Biscover), eg, M1B and S1B.
After specimens were stored with distilled water for 24 hr, average surface roughness (Ra) was taken using a surface roughness tester. Representative specimens of each group were examined by FE-SEM (S-4700: Hitachi High Technologies Co., Tokyo, Japan ).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paired -test, ANOVA and Duncan,s tests at the 0.05 probability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owest Ra was achieved in all groups using polyester strip and the highest Ra was achieved in M5, S5 and M5B groups using finishing bur. On FE-SEM, M1 and S1 groups provided the smoothest surfaces, M5 and S5 groups were presented the roughest surfaces and voids by debonding of filler on the polished specimens.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a between Micronew and Filek Supreme before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but Micronew was smoother than Filek Supreme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3. There was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Ra of type of composite resin and polishing methods before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p=0.000), but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m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On FE-SEM, most of composite resin surfaces were smooth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on the polished specimens.
4. Compared with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in group treated in the same composite and polishing methods, Ra of M4B and M5B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M4 and M5, and S5B was lower than that of S5, respectively (p < 0.05).
In conclusion, surface roughness by polishing instrument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composite resin. Overall, polyester strip produced the smoothest surface, but finishing bur produced the roughest surfac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provided the smooth surfaces in specimens polished with Enhance, Astropol and finishing bur, but not provided them in specimens polished with Sof-Lex disc.
Alternative Title
Surface roughness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finishing methods
Alternative Author(s)
Cho, Kong-Chul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Advisor
조영곤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영문초록 = ⅲ
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4
Ⅲ. 실험결과 = 8
Ⅳ. 총괄 및 고찰 = 12
Ⅴ. 결론 = 17
참고문헌 = 13
사진부도 = 22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조공철. (2004). 복합레진 표면의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조도.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66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1-1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