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복합레진 수복물에서 잔존 치질과 파절 강도의 상관관계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동균
Issued Date
2004
Abstract
Ⅰ. 서론
치아는 우식병소 등에 의한 치질 파괴로 인하여 외형과 기능이 손상된다. 이처럼 결함이 있는 치아에 적절한 형태와 기능 및 심미성을 회복시켜 줄 수복재를 받을 수 있도록 기계적인 변화를 주는 행위가 와동 형성이다. 구치부의 교두는 음식물을 분쇄할 때 교합압이 집중되어 발생하는 높은 응력에 의해 치질이 파절될 수 있으며, 또한 와동형성은 치아의 파절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와동의 협설폭경에 대한 임상적인 기준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었으나 치아형태는 다양하고 교합면에서 교두정의 위치도 특정지을 수 없으므로 폭경에 대한 비율과 교두정은 협설폭경의 기준으로써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Ⅱ.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협설폭경이 서로 다른 와동을 형성하고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치아에서 잔존치질의 폭경과 치아의 파절강도를 측정하여 상호비교함으로써 이 두 가지 요소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Ⅲ. 실험재료 및 방법
최근에 발거한 100개의 건전 영구 제 3 대구치를 선별하였다. 트레이용 화학중합형 레진을 사용하여 각각의 치아들을 둥근 스테인레스 스틸 주형에 매몰하였다.
각 표본은 무작위로 20개씩 선택하여 5개의 군으로 분류하고 1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에 1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의 폭은 중심구에서 교두정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1/2 (2군), 2/3 (3군), 5/6 (4, 5군) 비율로 삭제하였다.
와동형성한 치아에서 2, 3, 4군을 수복하였다. 수복재료로는 복합레진(Filtek™ Z250, 3M ESPE, USA)을 사용하였다. 각 표본의 파절강도는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강도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12.0 (SPSS Inc.,Chicago, I.L., USA)에서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정은 Tukey test를 이용하여 p=0.05 유의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잔존치질의 폭경(㎜)과 파절강도(kgf)와의 상관관계를 계산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Ⅳ. 실험결과
파절강도는 1군 (건전치)이 149.13 ± 31.97 kgf로 가장 높게 나타냈으며, 수복하지 않은 5군 (5/6 와동폭경)이 82.61 ± 24.63 kgf로 가장 낮았다.
통계학적 분석에서 파절강도는 1, 2, 3, 4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5군과 나머지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5).
1, 5군을 제외한 2, 3, 4군 (와동을 수복한 군)에서 잔존치질의 폭경이 클수록 파절강도가 높은 양상을 보였다 (p < 0.01). 또한, 와연에서 최대풍융부까지의 폭경과 파절강도 간의 상관관계는 와연에서 교두정까지의 폭경보다 높게 나타났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직접 복합레진 수복물로 와동수복을 할 경우, 잔존치질의 폭경과 치아의 파절강도 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각 표본은 만능시험기에서 파절강도를 측정하였으며, 통계분석은 one-way ANOVA, Tukey test, Pearson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치아의 파절강도는 와동의 협설폭경의 크기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또한 건전한 치아의 파절강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p < 0.05).
2.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치아의 파절강도는 와연부터 교두정까지의 폭경보다 와연부터 최대풍융부까지의 폭경에서 큰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 < 0.01).
3. 수복하지 않은 치아의 파절강도는 수복한 치아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p < 0.05).|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remained tooth structure and fracture strength in composite resin restoration.
One-hundred extracted human 3rd molar were selected. Selected teeth were those which satisfied the mean measurement of the bucco-lingual width of each individual group to vary by no more than 2.5% from the mean bucco-lingual width. Each specimen was embeded in round stainless steel mold with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First, standardized class I cavity preparation were made in 80 extracted human 3rd molars. The rest, 20 intact teeth were positive control. 60 prepared teeth were restored as composite (Filtek™ Z250, 3M ESPE, St. Paul, USA), and 20 prepared teeth were not restored. The fracture strength, under continuous compressive force at a cross-head speed of 5 mm/minute, was applied by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was recorded. One-way ANOVA and, Tukey test were used to statistically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t significance level p<0.05.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compare the correlation of fracture strength and width of remained tooth structure at significance level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 fracture strength of tooth restored with composit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sthmus of cavity and similar with that of sound tooth (p < 0.05).
2.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racture strength and width of cavosurface margin to height of contour than to cusp tip (p < 0.01).
3. The fracture strength of tooth not restored with composit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ooth restored (p < 0.05).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fracture strength of molars with different isthmus of composite-filled cavity and to evaluate correlation between fracture strength and amount of remained tooth structure. Correlation between fracture strength and width of cavosurface margin to height of contour was higher than to cusp tip.
Alternative Title
Correlation between remained tooth structure and fracture strength in composite resin restoration
Alternative Author(s)
Lee, Dong-Gy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Advisor
조영곤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표목차 = ⅱ
도목차 = ⅲ
영문초록 = ⅳ
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3
Ⅲ. 실험성적 = 6
Ⅳ. 총괄 및 고안 = 8
Ⅴ. 결론 = 11
참고문헌 = 12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동균. (2004). 복합레진 수복물에서 잔존 치질과 파절 강도의 상관관계.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66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14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