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민화를 응용한 한국적 슈퍼그래픽 개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崔暢訓
Issued Date
2004
Keyword
민화|슈퍼그래픽|벽화|한국 슈퍼그래픽|Folk Painting(Minwha)|Super Graphic|Wall Painting|Korea Super Graphic
Abstract
본 논문은 도시 곳곳에 있는 슈퍼그래픽을 대상으로 작품의 성격, 표현방법, 제작의미 등을 분석을 통해 연구하고 민화가 가지고 있는 작품성과 의미부여를 국내의 슈퍼그래픽에 표현을 해 보고자 하는 마음으로 출발을 하였다.
본 연구는 민화를 모티브로 하여 민화가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미의식과 역할, 현대적인 조형성으로 슈퍼그래픽의 방향을 제시하고, 도시 곳곳에 있는 슈퍼그래픽을 대상으로 작품의 성격, 표현방법, 제작의미 등을 분석을 통해 연구하고 민화가 가지고 있는 작품성과 의미부여를 국내의 슈퍼그래픽에 표현을 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디자인은 인간의 기본적인 정신에서 부터 경험 속까지 존재해 왔다. 이는 시간과 공간의 주축으로 경험을 표상화 하려는 인간의 상징적인 사고에 의한 것이다. 이는 인간의 주변을 아름답게 꾸미려는 장식적인 본능과 나를 알리기 위해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 감정, 의사 등을 표현하고자 하는 본능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본다면 인류최초의 동굴벽화나 신석기 시대의 암각화, 삼국시대의 고분벽화, 민화 등에서 디자인의 행위나 동기가 고스란히 표현되고 있다.
슈퍼그래픽은 조형적 방법과 시각적 방법을 통한 인간의 감정이나 뜻,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디자인의 한 분야라 말할 수 있으며 또한 공간디자인이라 정의 할 수 있다. 모든 예술이 인간의 유희본능에서 생겨난 것임을 상기하면 디자인의 한 분야인 슈퍼그래픽의 경우도 예외 일 수 없다. 슈퍼그래픽은 인간생활과 매우 가까이 밀착된 디자인으로서 여러 생활환경의 영향 속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생활환경의 영향은 인간들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생명체가 서로 상호 연관 속에 유기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인간의 행위는 여러 가지 형태로 작품을 이루게 되었고 우리의 환경을 은연 중 지배해 왔으며 이는 어느덧 서로 간에 집단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집단이 서로 다른 환경과 생활조건 속에서 국가라는 이름하에 표현 양상도 서로 간에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민화도 한 시대의 생활조건을 같이하는 민중에 의해서 항상 우리끼리 공감하고 있던 사실들이지만 어느 순간 우리의 공감대는 사라지고 서구미술에 그 눈높이가 맞추어져 왔다. 그들에게 필요한 내용과 형식으로 우리의 생활공간에 그려지게 된 것이다. 서구미술이 무조건 나쁘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서구미술 중에서 그 예술이 깊이와 감동이 오랫동안 이어지는 작품들이 너무나 많기에 일일이 열거하지는 않지만 여기서 말하는 서구미술은 우리들이 무분별하게 아무거나 받아들인 내용을 말한다. 서구문물을 받아서 더욱 깊이 있는 학문으로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는 그대로를 아무 곳에나 사용하는 모양새는 결코 진정한 우리의 모습이 아니다.
우리의 전통 중 중국이나 서구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도 높은 예술 감각을 자랑하며 어느 나라에서도 따라오지 못할 전통물은 너무나도 많이 남아 있다. 이러한 면에서 한국의 민화는 그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한국 민화의 발생기원은 뚜렷한 연대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농악이나 탈춤과 마찬가지로 원시공동예술에 까지 소급될 수 있을 것이다. 무속적인 형태의 원시 시각예술은 일상적 공예의 장식모양이나 암각화, 벽화 등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엄격하게 말한다면 동굴벽화나 고분벽화속의 소재는 민화의 소재와 그 내용이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으나 벽화가 선사시대의 태초의 기법을 사용한 순박함을 나타내고 있다면, 민화는 점차 양식화 되고 세속화 되면서 기호화, 부호화됨으로 인해 추상적 표현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한 울타리로 분류하기는 힘들다고 본다.
본 연구는 민화에서 보여 지는 회화적 표현과 그 의미 등을 소재로 한 현대적인 민화표현을 하고자 하였으며 슈퍼그래픽과 민화 속에 누적 표현 되어진 소재가 갖는 의미를 현대의 슈퍼그래픽에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슈퍼그래픽과 민화의 기원, 용도, 조형미 등을 연구하였으며, 작품을 통한 슈퍼그래픽의 이미지와 민화적 소재가 내포하는 의미에 대해 중점적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현대미술에 있어 슈퍼그래픽과 민화가 어떠한 형태로 그 명맥을 유지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민화의 소재를 작품 제작 시 새로운 표현 방법으로 응용함으로써 작품의 내용적인 면과 방법적인 면의 근간을 이루게 하였으며 본인 작품을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작품 제작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This paper was initiated to express the artistic characteristic and implication bestowal of folk painting through national super graphic, and study the character of the work, expression method, meaning of creation of the super graphics that exist in various places of the city through analysis.
This paper proposes the direction of super graphic with modern modeling, traditional artistic mind and role that folk paintings hold from folk painting set as the motive. Also, this paper was initiated to express the artistic characteristic and implication bestowal of folk painting through national super graphic, and study the character of the work, expression method, meaning of creation of the super graphics that exist in various places of the city through analysis.
Design has always existed from human basic mind and to experiences. This is due to human symbolic mindset to express experience based on time and space. Design started from the decorative instinct to beautifully decorate human environment, and the extinct to express individual idea, emotion, and thought. From this perspective, design activities and motives are expressed as they are through the most initiative cave walls of human, rock drawings from the New Stone Age, tomb wall painting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folk painting, and more.
Super graphic is a field in design that expresses the details of human feelings, intention, and what individuals wish to deliver to others through visual and modeling methods, and can also be defined as space design. Thinking of the fact that all arts started off from human's entertainment instinct, super graphic, a part of design cannot be an exception. super graphic is a design very closely attached to human life, started from many influences of living environment, but these influences of living environment does not only refer to human and all living beings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mutual relationship. In this environment, human activities create works in many forms, and rule our environment from the shadows, create groups with each other, and these groups show slight difference in expressing aspects under the name of nations in different environments and living conditions.
From this aspect, folk painting surely did live always exist with us by the people who share living conditions of an era, but at one point, our bond disappeared and our eyes began to get acquainted to western art. We have come to draw our living spaces in the details and forms they require.
It is not to say that western art is infinitely bad. I will not say all the works that continue the depth and impression of arts in western arts, but in this paper, I am referring to the western art that we have accepted without discretion. It is not our true culture to not develop what we accepted from western culture into a more deeper knowledge, but to use it anywhere the way they are.
Our culture has high artistic mind without influences from China or the West, and there are still so many traditions that no other country can follow. In this part, Korean folk painting can be mention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origin of Korean folk painting development does not indicate a clear epoch, but can be retracted all the way to primitive community arts, just like farm music and tal-chum(mask dance). Primitive visual art in the form of shaman customs maintains its life in decorations of regular craft, wall painting, and stone painting. To be clear, the cave painting and the theme of tomb wall painting share the same thread of character in contents, but while wall painting shows simplicity using primitive technique of prehistoric age, folk painting is thought to be difficult to be classified into one field in that it is described too abstract due to westernization, wordlization, symbolization, and encodement.
This study tried to express modern folk painting with the theme of pictorial expression and its meanings that shows in folk painting, and search for the meaning of themes accumulated in super graphic and folk painting through modern super graphic.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origin, purpose, and modeling art form of super graphic and folk painting, and mainly mentioned about what the image of super graphic and theme of folk painting means through works. Moreover, this paper studies how super graphic and folk painting maintains its thread of life in what form in modern art. By using this theme of folk painting for newly expression of work creation, I tried to create the basis of details and techniques of works, and by analyzing self works, I tried to propose the direction that works should be created in the future.
Alternative Title
Korean Super Graphic Developing Method Research with Folk painting
Alternative Author(s)
Choi, Chang Hoon
Affiliation
朝鮮大學校 大學院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高鉉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 1
1. 연구 배경 = 1
2. 연구목적 = 1
3. 연구방법 = 2
Ⅱ. 민화의 고찰 = 5
1. 민화의 개념 = 5
2. 민화의 종류 = 8
3. 민화의 기능과 역할 = 29
4. 민화의 시대적 해석 = 31
Ⅲ. 국내 슈퍼그래픽의 이해 = 35
1. 슈퍼그래픽의 개념 = 36
2. 국내 슈퍼그래픽의 연보 = 38
3. 슈퍼그래픽의 종류 = 47
4. 슈퍼그래픽의 역할 = 55
Ⅳ. 민화와 슈퍼그래픽 개발 방안 = 58
1. 민화 표현에 대한 현대적 고찰 = 59
2. 민화의 소재 개발 = 61
3. 개발된 소재의 적용범위 = 67
Ⅴ. 슈퍼그래픽의 분석 및 사례조사 = 71
1. 슈퍼그래픽의 조형적 분석 = 71
2. 국내의 슈퍼그래픽 = 76
3. 설문조사 결과 = 81
4. 외국의 슈퍼그래픽 = 91
Ⅵ. 주거환경을 위한 슈퍼그래픽 = 100
1. 주거환경의 조형원리 = 100
2. 주거환경 평가의 기준 = 101
3. 재료의 문제 해결 = 102
4. 슈퍼그래픽 제작과정 = 105
5. 슈퍼그래픽의 환경 평가 = 107
Ⅶ. 결론 = 110
참고문헌 = 114
Degree
Master
Publisher
朝鮮大學校 大學院
Citation
崔暢訓. (2004). 민화를 응용한 한국적 슈퍼그래픽 개발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65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08-26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