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彌勒下生信仰과 元末 白蓮敎의 民衆 動員

Metadata Downloads
Author(s)
劉海璃
Issued Date
2004
Abstract
백련교(白蓮敎)는 정토종(淨土宗)의 일파로서 중국 역사상 민중 반란의 정신적·조직적 지주의 역할을 담당했다. 그 성립 또한 특정한 연대, 인물이 아닌 여러 종류의 요소가 각각의 전통을 가지고 시간적 간격의 사이에서 혼습해 온 만큼 그 성격의 다양성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백련교 연구의 상황은 대부분이 민중반란과 연결 지어져서 정치적인 측면에 치우쳐 있거나 개별적인 사건의 경과등을 추적하는데에 집중되고 있고, 신앙 내지 종교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다소 소홀히 된바가 있다. 이것은 백련교가 끊임없는 탄압의 위험 속에서 공개적인 활동이 어렵기 때문에 교단이 제재로 유지 발전되기 힘들었고, 경전의 정리·유포도 어려웠기 때문이다.
백련교의 기원을 소급해 보았을 때 동진(東晋) 혜원(慧遠)이 백련사(白蓮社)로 결사하여 정토종을 융성하게 하고 이후 남송(南宋) 모자원(茅子元)이 천태종(天台宗)의 교의를 따서 보(普)·각(覺)·묘(妙)·도(道)의 네 강령을 세워 염불(念佛)·참회(懺悔)하여 금욕주의를 받드는 白蓮宗 창건을 그 기원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백련교가 특히 기피 대상이 된 것은 미륵불(彌勒佛)의 현세 출현과 필연적으로 연결 지어지는 현세부정의 논리 때문이다. 미륵불의 현세 출현 자체가 극단적인 재앙을 동반하는 현세의 종결과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의미하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현실적 통치질서나 사회구조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극히 위험스러운 것으로 간주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백련교의 미륵하생신앙 도입에 따른 급진주의적 성향은 원대(元代)라고 하는 이민족 지배하에서 원말(元末)의 여러 모순의 첨예화된 상황하에 새로운 유토피아 실현을 바라는 민중들의 이상(理想)을 표출해 나가는 분출구로서 형성되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종래의 백련사와 백련종과도 다르고 이름을 백련(白蓮)이라 하면서 현체제 부정과 미륵출현을 말하는 격렬한 백련교의 모습을 보여준 한산동(韓山童) 집단이 있다. 이 집단은 조부대(祖父代)부터 분향(焚香)으로써 백련교를 받들어 오다가 한산동에 이르러 미륵하생신앙(彌勒下生信仰)을 교의 안에 도입하여 사상적으로 확충 강화됨으로서 강한 민중 동원력으로 혁명성을 가진 종교집단을 이루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집단의 활동 과정을 통하여 원대 백련교가 미륵하생신앙을 도입하여 이뤄낸 민중 동원을 가능하게 하였던 원동력을 찾을 수 있다.
첫째 봉건사회의 기본적인 틀이라고 할 수 있는 계급성 타파의 평등주의를 지향하였다.
둘째 동요(童謠)에 의한 선전공작은 교세확장에 있어서 상당한 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이민족 타도의 슬로건을 내걸어 한민족의 단결을 바라는 애국심을 유발하였다.
넷째 금욕주의의 교리는 서민의 생활상과 친화성을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종교적 결사의 무력분자와의 결합을 통하여 혁명성을 더하였다.
이처럼 한산동의 백련교 활동 중 민중과의 접촉양상과 민중동원의 원동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원말 백련교의 여러 반란이 단순히 국가 권력의 모순에서 파생하는 부정적 현상 정도로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당시 민중의 삶의 본질이라든가 그들이 추구했던 미래상에 대해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었다.
요컨대 백련교가 어떠한 민간종파 보다도 다양하게 그리고 자주 역사의 표면에 등장하고, 장구한 전통과 끈질긴 생명력을 지니고 있으며, 몇 차례의 중요한 역사적 전환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중요한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Bai-lian jiao, one of Buddhist sects, worked as a mental and constitutional support of the popular uprising in Chinese history. It was established by diverse kinds of factors mixed between chronological intervals with independent traditions. However, studies on Bai-lian jiao have focused on political aspect connected to the populace uprising or tracing time passage of individual events. Its religious aspect has been neglected. This is because as Bai-lian jiao has been continuously oppressed, its religious development and arrangement and distribution of its sacred books were hard to be achieved.
When the origin of Bai-lian jiao was traced, it was found that Hui-yuan in Dongjin formed an association at Bai-lian she to flourish Jeongtojong and then Mao-zi-yuan in Namsong established four principles of Pu, Jue, Miao and Dao following after the religious principle of Cheon-tae-jong which supports stoicism through Buddhist invocation and penitence.
However, Bai-lian jiao became a unwelcomed religion because of the logic of negation of transient life which is inevitably connected to Buddha's appearance in transient life. As Buddha's appearance itself means the termination of this age and advent of a new age accompanied by extreme disasters, 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negate actual governing order or social structure, it may be considered as extremely dangerous.
The rapidly-progressing tendency according to introduction of Maitreya-belief worked as an outlet to express the ideals of the populace who desired a realization of a new Utopia in contradictory atmosphere of society under a control by foreign people.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 Hanshandong group appeared, whose name was Bai-lian, but which was different from Bai-lian she and Bai-lian zong. It insisted extreme negation of a present system and appearance of Buddha. It introduced the Maitreya-belief into their religious principle based on Hanshandong while it supported Bai-lian jiao since its ancestors, and established a religious group with revolutionary nature through strong power of populace mobilization. Therefore, through speculating activities of this group, this study can find a momentum that made mobilization of the people possible by the introduction of Maitreya-belief.
First, it pursued equality through the abolition of class distinction which is a basic frame of feudalism.
Second, publicity by children's so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xpansion of religious influence.
Third, it stuck to a slogan of overthrow of foreign people to incite patriotism of people who desired unification of their people.
Fourth, The religious principle of stoicism had friendly relationship with life of the populace.
Fifth, it reinforced revolutionary nature through association with forced power of religious association.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can have access to future ideals and essence of life the people pursued at that time beyond understanding negative phenomenon derived from contradiction of national power through a study on contact with the populace and momentum of populace mobilization.
That is, this study can give an important meaning that Bai-lian jiao appeared more frequently and in more diverse forms in history than any other religious sect, has long tradition and vitality, and paved the way for several important historical changes
Alternative Title
Maitreya-belief and the Propaganda of Bai-lian jiao late Yuan dynasty.
Alternative Author(s)
Yoo, Hae-lee
Affiliation
朝鮮大學校 大學院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사학과
Advisor
崔震奎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차례
1. 序論 = 9
2. 白蓮敎의 起源과 元朝 社會 = 13
1) 白蓮社와 白蓮宗 = 13
2) 元朝 社會의 矛盾 = 19
3. 彌勒下生信仰과 元末 白蓮敎 = 25
1) 彌勒下生信仰의 傳統 = 25
2) 元末 韓山童의 白蓮敎 = 31
4. 白蓮敎의 民衆 動員 = 35
5. 結論 = 42
참고문헌 = 46
Degree
Master
Publisher
朝鮮大學校 大學院
Citation
劉海璃. (2004). 彌勒下生信仰과 元末 白蓮敎의 民衆 動員.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65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6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