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먹을 이용한 한지 마블링의 기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정선
Issued Date
2004
Abstract
경제와 문화가 개방되는 시기에는 보편적 가치를 느낄 수 있는 독자적이며 창조적인 전통문화나 차별화된 이미지를 살린 고부가가치의 상품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옛 것에 대한 향수와 새로운 것에 대한 추구가 공존하기를 바라는 현대인의 요구에 맞는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가장 전통적이며 세계시장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는 재료인 한지와 동양의 멋을 가진 먹을 이용하여 여백의 미와 우아한 선의 효과를 보여주는 마블링 패턴을 개발하고 기법에 어울리는 상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먹과 한지라는 재료의 혼용을 통해 제작된 작품의 새로운 용도를 개발하여 대중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고 이를 통한 조형성 있는 한지작업과 한지문화상품 제작으로 한국인이 가진 내면의 이미지를 표현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한지에 먹을 이용한 마블링 염색으로 현대적인 감각의 패턴을 만들기 위해 재료와 도구의 변화에 따른 실험으로 표현효과를 연구해 보며 그 결과를 토대로 문구류 및 조명등, 찻상보 등의 쓰임새를 지닌 문화상품과 조형작품을 제작하였다.
또한 한지의 두께에 따라 나타나는 마블링의 표현효과를 염착 실험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한국, 중국, 일본의 먹물을 이용하여 성분비율이 다른 먹의 마블링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먹을 이용한 마블링에서 먹의 절제된 색채를 통하여 작가의 의도가 가미된 우연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작업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표현되는 공간과 결의 섬세함이 주는 마블링의 패턴을 연구하여 한지가 가지고 있는 물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 마블링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패턴들이 단순히 우연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재료의 사용 또는 방법적인 측면에서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단순한 색과 선으로 표현되는 시각적인 효과가 아닌 작가의 의도를 한지에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마블링에 있어서 도구의 사용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독특한 먹의 패턴으로 독창적인 아름다움을 찾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마블링 실험을 통해 수공예적인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마블링은 같은 패턴을 재현할 수 없으므로 희소성으로 인한 고부가가치를 지니는 문화상품 제작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으나 표현된 마블링 패턴을 종이에 인쇄하거나, 섬유에는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 등의 방법을 통해 양산체제로 개발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21세기의 환경은 문화를 매개로 하는 사회구조로 자연친화적인 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기법의 연구와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는 새로운 문화를 찾아내어 보존하고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모습으로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When economy and culture are open to the world,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is a unique and creative traditional culture from which we could see common values or high value-added goods with different images.
Thus, I intended to create marbling patterns to show the effects of elegant lines as well as the beauty of blank and to develop goods according to the technique by using Korean paper, a material which is one of the most traditional and its superiority is well recognized in the global market, and Korean ink, another material with oriental beauty, in order to come up with the goods responding to the moderns who hope that nostalgia for old things coexists with pursuit of new one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try to develop and popularize a new use of the works from a combination of Korean ink and paper with unlimited capabilities, and moreover, with the help of it the production of modeling works and cultural goods by Korean paper should present internal images Koreans have.
Therefore, to make modern-style patterns with marbling coloring of Korean ink on Korean paper, I studied the expression effect by tests on the change of materials and tools, and based on the results, produced cultural goods and modeling works with uses such as stationery, lighting and tea table covers.
I also tested the color yield of marbling expression effects according to paper thickness to analyze the results, and used Korean, Chinese and Japanese inks to analyze comparatively marbling effects of those inks that had different proportion of ingredients. As well as it, in terms of marbling by Korean ink, the focus was on the free expression of coincidence intended by the artist with moderate ink colors, and studied was the marbling pattern from the delicacy of space and grain described in this process to identify Korean paper's properties.
As a result of it, it was revealed that the unique patterns of marbling could be adjusted not by a simple coincidence but by using materials or methods, and not a simple visual effect with colors and lines but the artist's intent could be expressed on Korean paper. In marbling, moreover, unique patterns of Korean ink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ools gave creative beauty.
Though concluding that the manual marbling, of which same patterns could not come out, would be appropriate to the production of high value-added cultural goods with scarcity, I also tried to look for other possibilities to develop those marbling patterns into mass production by printing them on paper or using digital textile printing on cloth.
The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has a culture-mediated social structure, thus it needs research on various techniques and design development with eco-friendly materials. We have to find and preserve new cultures, and develop them differently and originally.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Hanji Marbling by the Korean ink
Alternative Author(s)
Lee, Jeong-S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산업공예학과
Advisor
노은희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ABSTRACT = ⅴ
제 1 장. 서론 = 1
제1절. 연구 목적 =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2
제 2 장. 한지의 이론적 고찰 = 3
제1절. 한지의 역사 = 3
제2절. 한지의 종류 및 특성 = 5
제 3 장. 먹의 이론적 고찰 = 9
제1절. 먹의 역사 = 9
제2절. 먹의 원료 = 11
제3절. 먹의 종류 = 13
제 4 장. 마블링 기법에 대한 고찰 = 14
제1절. 마블링의 역사 = 14
제2절. 마블링의 종류 = 16
제3절. 마블링 패턴의 특징과 종류 = 20
제4절. 먹마블링 패턴의 염착실험 = 24
제 5 장. 한지문화상품의 개발 = 33
제1절. 제작 품목의 선정 기준 = 33
제2절. 작품 제작 및 설명 = 34
제 6 장. 결론 = 50
참고문헌 = 5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정선. (2004). 먹을 이용한 한지 마블링의 기법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64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08-26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