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마크 로드코(Mark Rothko)의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柳奉順
Issued Date
2004
Abstract
20세기에 들어와 인간의 합리적 사고와 기계문명의 발달 등으로 전통적 회화관이 붕괴되고 회화의 자율성이 크게 부각되면서 추상미술이 탄생하였고 그 중에서도 순수이념의 절대적인 양식으로 인간 내면의 궁극적 의미를 추구하는 색면추상 회화가 등장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 추상표현주의는 잭슨 폴록과 드 쿠닝으로 대표되는 액션페인팅(Action Painting)과 마크 로드코, 바넷 뉴만, 클리포드 스틸 등으로 대표되는 색면추상(Color field Abstraction)의 두 가지로 전개 발전되었는데, 색면추상 회화는 액션보다는 색채 자체가 지니는 의미와 시각의 순수성을 염원하며 색의 침잠에서 신비한 넓이를 보여주는 엄숙, 고요한 요소를 갖고 있다.
마크 로드코(Mark Lothko, 1903~1970)는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경향에 속하는 색면추상 계열의 대표적인 중심작가로서 인간 내면의 보다 순수하고 절대적인 태도에 기초한 초월적 영역의 탐구를 통하여 인간의 궁극적 의미를 암시하려 하였다.
1940년대 마크 로드코는 프로이드와 칼융의 정신분석학자들의 이론과 고대 그리이스, 로마문화와 기독교신화에 심취하여 신화를 소재로 한 회화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자기 자신의 작품과 보편적이고 초자연적이라고 생각한 신화정신과의 모순점을 발견한 로드코는 자신의 작품에서 모든 상징성과 문학적인 표현성을 배제한 이른바 환원된 양식의 색면추상에 이르게 된다.
마크 로드코는 다른 동료 추상표현주의자들처럼 항상 자신의 회화작품에 대한 주제를 강조하였는데, 일반적으로 로드코 회화의 주제는 삶과 죽음, 즐거움과 고통과 같은 서로 상반된 양향적(兩向的)관점으로 파악한 ‘숭고’의 개념이라고 이해된다. 로드코 채플(chapel)회화에서도 그의 다른 회화작품 세계와 마찬가지로 작품의 주제는 ‘숭고’의 개념으로 결론을 짓을 수 있다.
그가 추구한 회화세계의 특징은 여러 가지 지적에도 불구하고, 그가 추구하여 획득한 양식과 특별한 환경적 특징 등은 추상회화가 보다 밀접하게 리얼리티에 접근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점은 단지 한정된 예술적 리얼리티만을 추구하는 순수주의자들과는 달리 종교적 영역까지 내재되어 승화된 예술을 추구하려는 그의 신념으로 로드코만의 독특한 특징이다라고 하겠다. 로드코는 세속적인 기본적 요소들을 줄이고 색을 통한 내면적 필연성과 함께 고상함을 얻고자 추구하였다.
마크 로드코는 거대한 규모의 작품과 전례가 없는 커다란 크기의 화면과 광채가 깃든 회화를 창조하고 신비한 존재의 영적(靈的)기운을 갖는 그의 상상력을 화폭에 채움으로써 추상회화의 본질을 변화시킨 미국작가의 한 사람이다.
이 논문은 마크 로드코의 표현양식 속에 나타나는 여러 요소들을 공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개념을 갖고서 현대 미술 속에서 색면추상회화의 의미를 생각해 보도록 하겠다.|The traditional painting came to break down. It was the result that occurred to the self-control of painting, because rational consideration and machine civilization developed in 20th century. The abstract-expressionism was developed in two ways since the end of World WarⅡ. One is called Action painting that was represented Jackson Pollock, Willem de Kooning, the other is called Color field Abstraction represented Mark Lothko, Barnett Newman, Clyfford Still and so on.
The painting of Color field Abstraction had pursued a human being’s ultimate meaning with the absolute high sense of a pure ideology.
Mark Rothko(1903~1970), a major artist of Color field Abstraction that was a tendency of American abstract-expressionism, had tried to imply ultimate human nature through investigating transcendental ground, based on more pure and absolute attitude.
From the 1940’s, he could produce paintings eliminated symbolism and literary relationship by his attaining the painting world united by both the sublime and the spirit of myth which is the main part of his art.
He had regarded a creative behavior as a trial to arrive at superhuman absoluteness, had pursued mysteries of human nature and rebirth of art by means of the mythical idea universal and supernatural.
Mark Rothko always emphasizes the subject of his painting like other colleagues of abstract-expressionists. Generally the subject of Rothko’s is regarded as the ‘sublime’ in respect of binary opposition between life and death, or pleasure and pain. We can conclude that the ‘sublime’ is the subject in the Rothko chapel paintings like his other paintings. This idea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binary opposition which appears in the Rothko’s subject as well as the idea of the ‘sublime’.
Even though a character of his paintings he pursued has contradiction, with analytical point of view, his style of containing substance and a characteristic of environment peculiarly shows that abstract painting can adhere closely to reality.
This point is a unique nature to differentiate Rothko with purist only pursuing a confined artistic reality, his belief to try to sublimate art up to religious dimension lies in it. Rothko had reduced basic elements of real world intellectually, and had achieved nobility with internal inevitability by color.
Mark Rothko belonged to a generation of American artists that changed the nature of abstract painting. He created paintings of unprecedented breadth and radiance, working on a large scale, suffusing his images with the aura of a numinous presenc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a kind of many factors that are appeared in Mark Lothko’s expressional style. By having a basic on this consideration, we will consider the meaning of color field painting in modern art.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expressional style of Mark Rothko
Alternative Author(s)
Ryu, Bong-Soon
Affiliation
朝鮮大學校 大學院
Department
일반대학원 순수미술학과
Advisor
崔英勳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영문초록 = 3
Ⅰ. 서론 = 5
Ⅱ. 전후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 8
1. 추상표현주의 형성의 배경 = 8
2. 추상표현주의의 두 경향과 특징 = 13
Ⅲ. 로드코 회화의 형성 배경 = 17
1. 초기회화 = 17
2. 신화정신 = 19
3. 색면추상과 숭고미 = 27
Ⅳ. 로드코 색면추상의 전개과정 = 32
1. 초기의 색면추상 = 32
2. 환원된 색면추상 = 35
3. Black painting = 38
Ⅴ. 로드코 표현양식의 특징 = 43
1. 색면추상의 외형적 특징 = 43
2. 색면추상의 본질 = 43
(1) 정면성 = 43
(2) 색채 = 45
(3) 광도(luminosity) = 46
3. 통일된 장으로서 색면추상 = 47
Ⅵ. 결론 = 50
작가연보 = 52
참고문헌 = 55
Degree
Master
Publisher
朝鮮大學校 大學院
Citation
柳奉順. (2004). 마크 로드코(Mark Rothko)의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64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12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