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老人醫療福祉施設의 食事空間 利用 實態에 관한 建築計劃的 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田眞淑
Issued Date
2004
Abstract
본 프로젝트는 공공 및 특수시설의 계획 및 설계에 있어 각종 규정에 따른 건축적 문제를 재검토 한다는 전제 아래 실시한 연구이다.
문화는 시대에 따라 변한다고 볼 때 과거의 규정들은 시대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때문에 생활의식이나 가구 및 생활방식이 달라지는데 시설은 그에 부응하지 못할 때 시설에 대한 사업목적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보는 연구의 취지는 특수시설인 노인의료복시시설을 대상으로 공간 이용방식에 있어 문제점을 발굴하고 그에 따른 실태를 검토하여 과다한 재정적 손실 및 낭비요인을 없게 하는데 있고 또 하나는 공간구성 및 배분과 유용성에 대한 시설계획의 점검을 하는데 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문화적 데이터를 찾아 건축계획설계에 반영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예비조사에 있어 본연구의 타당성의 검토와 문제점 발굴을 위해 예비조사를 한 후 문헌수집과 이론 고찰을 통해 일반적 가설 및 결론을 내리고 그에 대한 실증적 조사에 의한 연구의 결과를 도출해 내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비디오촬영, 사진촬영, 앙케이트, 관찰방식을 설정하여 정량적 방식으로 진행한다. 특히 광주시 일원의 5개 구역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에 따라 질병위주의 노인을 수용하는 의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한정 했다. 이시설의 이용주체는 노인이다. 즉 “노인의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 공간 중 식사공간의 이용실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식사를 위한 식당과 주방이 시설기준에 명시되어 있고 실제 건설되어 있는 중요한 공간중의 하나인데 왜 식당에서 식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가졌다. 즉 식사공간, 데이룸, 간이식사장, 거실, 침대에서 식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연구의 대상은 3개 시설을 선정하여 식사시간프로그램 진행 순에 따라 연구의 가능성 여부를 생각하였다. 3개 시설에 나타나는 식사방식에 의한 식탁의 종류는 원형테이블, 꽃잎형테이블, 사각테이블, 밥상, 원형탁자를 이용하고 있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설별 입소노인의 현황과 그에 따른 신체 질병의 유형과 직원현황을 파악하고 시설별 식당 및 식사공간현황을 조사한다. 다음은 식사행위 실태에 있어 운반방식 및 식사장소에 대한 공간별 유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은 식사공간별 이용실태를 조사 연구했다.
그 결과 요양시설 노인의 특성은 자유롭지 못한 신체적 ,정신적 제한을 받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음은 기준에 의한 식당본래의 기능에 따른 활용이 잘 안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더구나 막대한 시설투자에 비해 이용이 외면되고 있고 그로인해 여타의 공간은 상대적으로 열악할 수밖에 없는 시설이 되고 있다. 그 결과 식사로 하는 장소는 각기 다르게 이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향후 시설기준에 의한 설계를 탈피하고 새로운 개념을 도입한다면 문화의 변화에 대응되는 새롭고 더 효율적인 공간이 제공될 것으로 본다.|This project was studied under the major premise that the architectural problems for each kind of regulation should be re-examined in the plan and design of public and special facilities.
In consideration that culture is changing with each generation, the previous regulation needs to cope with its changes more sensitively. That's why a livelihood, household and life style are also changed, so, if the facilities are not answered, it is thought that its business purpose won't get a good result. In this respect, these care welfare facilities, check the current conditions to avoid lots of economic loss and its primary factor, and then examine the utilities plan about space design, division and utility. Lastly, after researching new cultural data, we aim to reflect them on the architectural design.
The study method and scope are the following:
After a feasibility study of this project, the general hypothesis and conclusion are made from the collection of literature and theory study, and then performed by getting the study result by demonstrated research about them. This is progressed by quantitative analysis from videotapes, photographs, surveys and observations. Ther care welfare facilities which accomodate only the sick elderly are targeted especially by pre-investigation of the 5 district in Gwangju City. These facilities are used just for the elderly. That's why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eal space usage is focused on for this study among 'Elderly Care Welfare Facilities'.
The restaurant and kitchen for every meal are one of the important spaces which are built as clearly stated by facilities regulation. But they are not used very often, which caused me to wonder why. In other words, the day room, cafeteria, livingroom and bedroom are mainly used as a meal place. After 3 facilit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 considered whether or not they could be investigated dining each meal period. The kind of each table, which were classified by their eating habits.
The content of study is the following:
First, in each facilities, the investigation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terned elderly and their diseases and staffs are started and then is followed by the present condition about restaurant and meal space. Second, conveyance way in present condition of dining and pattern analysis in each space are performed.
Finally, the present condition of meal space usage is investigated and then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shown that the elderly in sanatorium are physically and mentally restricted. And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meal places are not used with their original function by the standard. Furthermore, in spite of enormous facilities investment, their usages are being disregarded, so it certainly causes the rest of spaces to get relatively worse. Therefore, it is revealed the meal places are differently functioning. Thus, if the design by facilities standard is avoided from now on and its new type is introduced, the newer and more efficient places equivalent to the change of culture will be provided.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Meal Space Usage Pattern of Elderly Care Welfare Facilities
Alternative Author(s)
Jeon, Jin-Sook
Affiliation
朝鮮大學校 大學院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金秀璘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차례
ABSTRACT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기대효과 = 4
제4절 시설기준의 사례고찰 = 6
제2장 의료노인인구의 추이 = 13
제1절 국내외 노인인구의 추이 = 13
1. 조사지역시설에 따른 인구현황 = 14
2. 5개 행정구역별 현황 = 14
제2절 시설별 운영실태와 노인인구수 = 17
1. 시설별 특성 = 17
2. 노인인구수와 시설수 비교 = 18
제3절 노인인구고찰 = 19
1. 인구구조 및 분포변화 = 19
2. 연령계층별 구성비 및 인구지수 = 19
3. 생산가능인구 부양비 = 21
제3장 행정구역별 시설현황 및 이용실태 조사 = 22
제1절 조사지역에 따른 시설분포 = 22
제2절 조사대상시설 개요 = 23
1. 시설별 입소노인의 현황 = 24
2. 입소노인별 신체질병의 유형 = 26
3. 시설별 직원현황 = 28
제3절 시설의 활동공간 및 규모 = 31
제4절 시설별 식사행위장소 = 36
제4장 단위공간의 이용실태와 식사행위분석 = 38
제1절 시설별 단위공간 비교(4개시설) = 38
제2절 식사공간의 이용실태 및 운반방식 = 41
1. 식사공간의 장소성 = 41
제3절 식사공간의 유형분석 = 43
1. A시설의 식사공간 및 행위 = 44
2. B시설의 식사공간 및 행위 = 47
3. C시설의 식사공간 및 행위 = 48
4. D시설의 식사공간 및 행위 = 49
5. E시설의 식사공간 및 행위 = 51
6. F시설의 식사공간 및 행위 = 53
제4절 식사유형별 스페이스플래닝 = 54
제5절 식당 및 식사공간 비교 = 56
제5장 결론 = 63
국문초록 = 66
참고문헌 = 68
부록 = 71
Degree
Master
Publisher
朝鮮大學校 大學院
Citation
田眞淑. (2004). 老人醫療福祉施設의 食事空間 利用 實態에 관한 建築計劃的 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62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1-13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