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광주박물관 문화관광상품 개발 연구 - DTP 기법을 중심으로
- Author(s)
- 최형준
- Issued Date
- 2004
- Abstract
- 박물관은 지역 고유의 문화를 가장 잘 엿볼 수 있는 곳으로 관광객은 소장유물을 통하여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접할 수 있는 곳이다. 박물관을 관람하는 관광객은 박물관의 소장유물을 간직할 수 없기 때문에 박물관의 이미지를 반영하고 있는 문화관광상품을 구입하게 된다. 이렇게 구매된 상품은 박물관의 이미지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어 관광객으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갈 수 있게 하기 때문에 그 자체가 소중한 문화관광자원이다.
현재 개발된 박물관 문화관광상품은 자원의 응용측면에 있어서 공예품이나 민속적 자원을 응용한 제품이 대부분으로 시대에 따른 취향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중에 유통되는 문화상품을 판매하고 있어 기존 문화상품과의 차별성과 희소가치가 없다. 기념성에 있어서도 상품의 모티브가 되는 박물관 소장유물 ? 소장유물의 내제가치, 박물관의 이미지를 찾아볼 수 없어 박물관과의 관련성이 부족하다. 특히, 국립광주박물관은 찬란했던 한국도자문화를 접할 수 있는 곳으로 연간 40여만명의 국내외 관광객이 다녀가고 있으나 광주박물관의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문화관광상품은 양과 질적인 면에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몇몇 단점을 고려하여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유물 중 지역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도자기의 이미지를 응용해서 디자인의 다양화, 실용성과 기능성, 한정 생산의 가능성을 갖춘 섬유문화관광상품의 개발 모형을 제시하였다. 디자인은 도자유물에 나타난 문양의 이미지를 크게 벗어나지 않기 위해 많은 변화를 주는 것은 피하였으며, 현대적이고 상품에 적합한 느낌의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CAD작업을 거친 디자인은 독창성, 상징성, 조형성, 경제성, 시장성을 염두에 두고 스카프, 손수건, 넥타이, 문구류에 응용시켰다.
기법적인 면에서는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을 택하였다.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종전의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재래식 날염(捺染)공정 대신 현대의 고도로 발달된 디지털 그래픽 프린팅 기술 접목의 새로운 날염공정으로 획기적 공정단축과 공해감축 및 고품질 제품생산이 가능케 한 날염방식이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모든 공정이 디지털 방식으로 관리되므로 디자이너가 의도한 대로 다양한 색상과 정밀한 무늬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고, 신속한 샘플 제작 및 소량 계획생산으로 패션변화에 대응이 용이하다. 생산적인 측면에서도 샘플제작과 본 생산공정과의 연결로 효율성 증대를 가져오며, 디지털화 된 장비를 이용함으로써 색상 조정 및 염료배합의 정확성이 실현된다. 그리고 염료 등 생산원료 필요량의 정확한 계량으로 원가절감 및 이에 따른 환경 공해적 요소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박물관 문화관광상품 개발에 있어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기법의 사용은 다양한 디자인과 소량 생산의 시제품 제작이 수월할 뿐 아니라 디자인의 고급화 및 소비자의 욕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 경쟁력을 갖춘 문화관광상품 개발을 가능케 해준다.
이러한 박물관 문화관광상품개발 시도는 독창적이고 국적있는 민족 문화의 계승 ·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계기로 우리 문화의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국립 박물관의 문화관광상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시도되길 바란다.|A museum is where the region's peculiar culture can be seen most effectively and tourists can understand and know the region's history and culture through the remains of its possession. Tourists who visit a museum buy cultural sightseeing goods reflecting the museum's image because they cannot keep its remains. Those goods themselves are valuable resources of cultural sightseeing because they reflect the museum's image as it is, letting tourists carry the region's history and culture naturally in it.
The cultural sightseeing goods of the museum currently developed were mostly applied craftworks or folk resources in terms of the resource application, which did not catch up on a change of taste in the times. In addition, the museum sold cultural products circulated everywhere, which did not have a difference and scarcity value. With respect to a keepsake, there was lack of relevance to the museum because we could not see the museum's remains, the potential values of the remains and the museum's image, which were the goods' motive. In particular, Gwangju National Museum where we could see Korea's splendid ceramic culture had about 400,000 visitors annually. However, cultural sightseeing goods to deliver the museum's image were very unsatisfactory for the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considering those defects, this study proposed a development model of textile cultural sightseeing goods with the diversification of design, the utility, functionality and the possibility to produce limitedly by applying ceramic images of the region's representative cultures among the remains in Gwangju National Museum. There were few changes in designs in order to show the images on ceramic remains as there were, and modern and commercialized designs came out. Those designs processed by CAD were applied to scarves, handkerchiefs, neckties and stationery based on creativity, symbolism, modeling, economical efficiency and market value.
In terms of technique, Digital Textile Printing was chosen, which fit a small-scale production of various items. Digital Textile Printing was a new printing technique connected with the cutting-edge digital graphic printing technology which made it possible to reduce process and pollution surprisingly and to produce high quality of goods, instead of the traditional printing process that was complex and took more time. In designing, all the process was managed in a digital way, so designers could express freely various colors and precise patterns as they intended, and rapid production of samples as well as small-scale planned production made it easy to keep up with the trend of fashion. With regard to production, connection between sample making and the main process of production increased efficiency, and using digitalized equipment materialized accuracy of color adjustment and dyestuff combination. And measuring precisely the needed amount of materials such as dyestuff could reduce the cost price and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s. So with the technique of Digital Textile Printing to develop cultural sightseeing goods of the museum, test goods of small-scale production and various designs could be easy, and higher quality of design and rapid response to consumers' needs were also realized, making it possible to develop competitive cultural sightseeing goods.
This attempt to develop cultural sightseeing goods of the museum is viewed as a desirable work for inheriting and blooming a national culture with creativity and nationality.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motivate a continuous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sightseeing goods of the national museum to raise awareness of our culture.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Sightseeing Goods for Gwangju National Museum - Focusing on Digital Textile Printing
- Alternative Author(s)
- Choi, Hyeong-Ju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산업공예학과
- Advisor
- 노은희
- Awarded Date
- 2005-02
- Table Of Contents
- 목차
ABSTRACT = ⅵ
제 1장. 서론 = 1
제 1절. 연구목적 = 1
제 2절. 연구방법 및 범위 = 3
제 2 장. 문화관광상품의 일반적 고찰 = 4
제 1절. 문화관광상품의 개념 = 4
제 2절. 박물관 문화관광상품의 가능성 = 6
제 3절. 국 · 내외 박물관 문화관광상품 개발 사례 = 9
제 3장.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의 일반적 고찰 = 22
제 1절.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의 개념과 특징 = 22
제 2절.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의 공정 = 25
제 3절.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의 발전 가능성 = 27
제 4장. 박물관 문화관광상품 개발 제시 = 30
제 1절. 디자인 전개 및 작업방법 = 30
제 2절. 박물관 유물의 특징 분석 및 시제품 제작 = 32
제 5장. 결론 = 53
참고 문헌 = 55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최형준. (2004). 국립광주박물관 문화관광상품 개발 연구 - DTP 기법을 중심으로.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624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05-11-12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