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Influence of d-Amphetamine on catecholamine release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찬원
Issued Date
2004
Abstract
D-amphetamine 은 탐닉가능성이 완전히 인정될 때까지 비만, 기면병, 집중력 결핍 및 과활동성과 같은 질환의 임상치료에 사용하는 다양한 용도의 약물로 알려져 있으며(Seiden 등, 1993), Mundorf 등 (1999)은 소의 배양 부신크롬친화세포에서 암페타민은 칼슘의존적으로 카테콜아민(CA) 유리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d-amphetamine 이 흰쥐의 적출부신 관류모델에서 CA 유리작용에 대한 d-amphetamine 의 작용을 검색하여 그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D-amphetamine 은 흰쥐 부신정맥내로 60 분간 관류시 d-amphetamine 자체는 약한 CA 분비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d-amphetamine (10 ~ 100 μM)은 부신 정맥내로 60 분간 관류하는 동안 ACh (5.32 x10^(-3) M), 고칼륨 (5.6 x10^(-2) M, 막탈분극제), DMPP(10^(-4), 선택적인 니코틴 수용체 작용제), McN-A-343 (10^(-4)M, 선택적인 M_(1)-무스카린 수용체 작용제)에 의한 CA 분비반응을 처음 4 분동안만 뚜렷이 증강시켰으나, 그 이후에는 증강시키지 못하였다. 더욱이, 중등 농도의 d-amphetamine (30 μM)은 60 분간 부신정맥 내로 관류한 상태에서 dihydropyridine L-형 칼슘통로 개방약물인 Bay-K-8644 (10^(-5) M)과 세포질내 칼슘저장고에서 Ca^(2+)-ATPase 억제제인 cyclopiazonic acid (10^(-5) M)의 CA 유리작용을 처음 4분간만 유의하게 증강시켰다. 그러나, 고농도의 d-amphetamine (500 μM)은 상기한 모든 분비촉진약제의 CA분비작용을 오히려 억제하였다. 또한 중등농도의 d-amphetamine (30 μM)은 강력한 neuronal nicotine 수용체 작용제인 nicotine (30 μM), cytisine (50 μM) 및 epibatidine (30 nM)에 의한 CA 유리작용을 유의하게 증강시키는 반면 고농도의 d-amphetamine (500 μM)은 오히려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보면, 흰쥐 관류 부신수질에서 d-amphetamine 은 낮은 농도에서는 콜린성(니코틴 및 무스카린 수용체) 흥분 및 막탈분극에 의한 카테콜아민 분비반응을 증강시키지만, 고농도에서는 오히려 억제적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d-amphetamine은 용량에 따라서 흰쥐 적출 관류부신수질의 니코틴 수용체의 작용제 및 길항제로 이중 작용(dual action)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d-amphetamine의 작용은 흰쥐 부신수질 크롬친화세포의 dihydropyridine 계 L형 칼슘통로의 활성화 및 세포 내 칼슘저장고로부터 칼슘유리작용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Amphetamine이 흰쥐 적출 관류부신에서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
Alternative Author(s)
Park, Chan-w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warded Date
2004-08
Table Of Contents
CONTENTS = i
〈국문초록〉 = vi
Ⅰ. INTRODUCTlON = 1
Ⅱ. MATERIALS AND METHODS = 4
Experimental Procedure = 4
Perfusion of Adrenal Gland = 4
Drug Administration = 6
Collection of Perfusate = 6
Measurement of Catecholamines = 7
Statistical Analysis = 7
Drugs and Their Sources = 8
Ⅲ. RESULTS = 9
Effect of 10~100 μM d-amphetamine on CA secretion evoked by ACh, high K^(+), DMPP, and McN-A-343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s = 9
Effect of 30 μM d-amphetamine on CA secretion evoked by Bay-K-8644 and cyclopiazonic acid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s = 17
Effect of 500 μM d-amphetamine on CA secretion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Bay-K-8644 and cyclopiazonic acid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s = 21
Effect of 30 μM d-amphetamine on CA secretion evoked by nicotine, cytisine and epibatidine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s = 30
Effect of 500 μM d-amphetamine on CA secretion evoked by nicotine, cytisine and epibatidine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s = 35
Ⅳ. DISCUSSION = 41
Ⅴ. SUMMARY = 49
REFERENCES = 51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박찬원. (2004). Influence of d-Amphetamine on catecholamine release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50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160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12-1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