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VERTICAL ANGULAR COMPONENTS IN SKELETAL MANDIBULAR EXCESS AND MANDIBULAR DEFICIENT PATIENTS
- Author(s)
- Tran Tung Giang
- Issued Date
- 2004
- Abstract
- 이 연구의 목적은 정상 그룹, 심하게 후퇴된 하악각 그룹, 돌출된 하악 그룹으로 이루어진 세 개의 다른 그룹들에서 수직적, 골격적 각 성분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조선대학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중 90개의 측면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검사하여 턱의 전-후 위치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룹 Ⅰ은 잘 균형된 얼굴을 갖는 30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그룹 Ⅱ는 심하게 후퇴된 하악을 갖는 30명의 성인 환자로 구성되었으며, 그룹 Ⅲ는 심하게 돌출된 하악을 갖는 성인 환자로 구성되었다. 측면두부방사선사진들은 투사하였고, 각각 Quick Ceph 2000을 사용하여 Ricketts, Steiner, Down, 그리고 Jarapak 분석에 따라 평가하였다. 세 그룹간의 수직적 각 성분의 수치들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ANOVA로 통계 분석하였다. 우리는 골격적으로 하악이 과잉이거나 결핍된 환자에서 수직적 각 성분중 articular angle과 lower gonial angle이 중요한 role로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saddle angle과 maxillary height angle은 그렇지 않았다.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09-12-10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