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융합 방식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목포자유시장 개선사업을 중심으로
- Author(s)
- 김휴환
- Issued Date
- 2013
- Abstract
- 국문초록
정부에서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특별법을 제정하여 전통시장의 노후시설을 개선하고 상인교육을 통해 상인의 경영마인드 향상과 고객을 위한 서비스개선 등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였다. 최근에는 전통시장과 경쟁관계에 있는 대형유통업체에 대해서는 전통시장과 일정거리 지역내에서 개설금지, 의무휴무일 도입 등을 통해 전통시장을 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시장의 침체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전통시장의 시설현대화 사업과 경영현대화를 위해 1조 6천억원을 투입하였고 온누리상품권, 전통시장 가는 날, 1사 1촌맺기 등 관·민·시장이 하나되어 실시하였다.이러한 정책에는 전통시장 활성화에 기여하는 내용들이 많이 있지만 시설현대화 사업 등 하드웨어적 요소들에 집중적되었다. 이는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내용을 살펴보면 65%이상이 상인의 친절, 가격, 서비스 부재 등의 이유로 전통시장을 다른 고객에게 추천하지 않는다는 결과와 비교해 보면 정책적 방향의 전환이 분명히 필요하다. 또한 전통시장에서는 그 동안 대형유통업체와 비교해 열위적 상태인 쇼핑환경개선을 위해 시장내 카드사용, 쇼핑카트, 배달서비스 등의 고객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대형마트 따라 하기 정책은 아직도 고객이 만족하는 수준에 이르기는 부족해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하나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하였던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문전성시’는 전통시장 상인과 고객에게 만족감을 주는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문전성시사업은 현재 중소기업청에서 확대 발전시켜 ‘문화관광형육성시장’이라는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하나로 실시하고 있다.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을 위해서는 전통시장이 가지고 있는 전통시장의 역사성과 지역성, 지역민과 함께 하는 문화성, 상호 소통하는 공간성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전통시장이 단순한 쇼핑공간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의 전통시장은 전통시장의 역사에서 볼 수 있는 문화의 공간, 예술의 공간, 사교의 공간의 공간으로서의 장을 현대인의 감성에 맞게 새롭게 만들어 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그 동안 추진해 왔던 정부정책을 살펴보고 목포자유시장을 중심으로 한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분석을 통해상인과 고객의 반응 및 전통시장의 매출향상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요약하면 디자인개선사업을 통해 상인과 고객 모두가 시장의 이미지가 개선되었다고 답했다. 또한 문화프로그램이 시장에서 실시하는 것에 대해 상인과 고객이 대체적으로 만족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장에 대한 개선사업이 시장매출 향상과 이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다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문화시설의 경우 디자인을 활용한 시장내 환경개선사업과 새단장프로젝트 등의 개선사업에 대한 호응도는 높게 나타난 반면 자유공연장, 아트센터, 문화사랑방 등에 대한 관심도와 만족도는 다소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시장에 환경의 개선사업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답했다. 고객은 전통시장내에 고객을 위한 쉼터와 휴게시설이 많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프로그램의 경우 시민문화교실을 통해 실시하는 동아리반에 대한 만족도 높게 나오는 반면 문화예술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참여도와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적으로 문화공간 조성과 문화프로그램 운영이 시장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고객에 대해 관심도를 높이는 점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지만 매출향상으 이어졌다고 느끼는 경우가 6%로 다소 저조하게 나타났고 대형마트 대신 전통시장을 이용하게 되었다는 경우도 5%로 나타나 매출향상과 고객유입에는 부족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따라서 전통시장내 문화복합공간 조상과 문화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전통시장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함과 동시에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경영마케팅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연구의 결과로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는 필요조건은 되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은 정부의 정책과 함께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전통시장의 상인 및 상인회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하며 인터넷 주문, 택배서비스, 주문배달, 환불, 카드결재, 카트이용 등을 상시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변화하는 소비자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ABSTRACT
A Study on the Vitalization Strategy For a Traditional Market through the Cultural Blending Mathods
- Focused on a specific Project for Mokpo jayu local Market-
Km, Hyu-hwan,
Advisor : Prof. Jung, Hyung-shik, Ph.D.
Depar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osun University
To activate a traditional market, the government enacted a special law to improve the old facilities of traditional markets and enforced diverse policies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merchant’s management mindset through education and improve the service for customers. Lately, the government is supporting the traditional market indirectly against a large-sized contributor by banning establishment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raditional market and making them introduce compulsive closing days.
However, the traditional market has continued to be dull. For the past ten years, 1.6 trillion won has been put in for the project of modernizing the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traditional market while the government, people and the market in a body executing Onnuri gift certificate, traditional market shopping day, specific company-village bond, etc. Though such policies contain many contents of contributing to traditional market activities, they were directed on hardware like the project of modernizing facilities, etc.
Considering the result of survey on the subject of traditional market users saying that 65 percent of them don’t recommend it to other customers because of the merchants’ insufficient kindness, price and service, there is a clear need to change the policy direction. Besides, though traditional market is carrying out customer service such as use of credit cards, shopping cart, parcel delivery service, etc. to improve the shopping environment inferior to large distributors, such copycat policy for a large-sized mart seems not sufficient to satisfy the customer yet. In the meantime, ‘pilot project for activating traditional market through culture–Moonjeonseongshi (flourishing business)’ execu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s an item for its activity project is considered to be satisfying both merchant and customer of traditional market. Moonjeonseongshi project is currently being enforced by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with enlarged development, as one of its activity policies under the title of ‘cultural and tourist market nurture.’
Policy for activating traditional market requires one to consider its history and regional character, culture shared with residents, space for communication, etc. It is because the traditional market doesn’t exist as a simple shopping space. The modern traditional market needs to make a new space for culture, arts and society to meet the modern man’s sensi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overnment’s policies driven so far for the activity of traditional market, response from merchant and customer and factors of influencing increase of sales in traditional market through analysis of the cultural traditional market activity with a focus on Mokpo Free Market.
In summary, through design improvement project, both merchant and customer answered that the image of market had improved. Besides, it was found that merchant and consumer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actice made by culture program.
However,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 project on the market produced somewhat low performance result in increasing sales. Specifically, as to cultural facilities, there was a high response to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renovation projects using design while somewhat low interest and satisfaction in free concert hall, art center, culture Sarangbang, etc. From the survey, customers answered that the market still needs the project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Survey said that the customer feels the lack of shelter and rest facilities for them in the traditional market. As to culture program, there was a high satisfaction in the group activity executed through citizen’s culture classroom while customer showed a low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culture and arts program.
Though respondents generally agreed that the culture space and culture program has changed the market anew and increased interest of the customer, the survey showed just 6% of them feeling increase in sales and 5% who used traditional market in place of a large-sized matt, indicating insufficiency in increase of sales and inflow of customers. Thus, cultural multiplex and cultural program in the traditional market should continue to be executed for improving its image while for activity of traditional market, there seems to be new management marketing needed simultaneously.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ctivity policy for traditional market through culture can be a necessary condition for a new alternative but cannot be a sufficient condition. In conclusion, the activity policy for traditional market should combine the government’s policy with the efforts of the merchant and their association to meet the demand from customers, along with strategy to satisfy the customer’s need by allowing them to use Internet order, parcel delivery service, delivery on order, refund, credit card transaction, use of cart, etc. constantly.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Vitalization Strategy For a Traditional Market through the Cultural Blending Mathods
- Alternative Author(s)
- Km, Hyu-hwan
- Affiliation
- Depar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Department
- 경영대학원 경영학석사학위과정
- Advisor
- 정형식
- Awarded Date
- 2014-02
- Table Of Contents
- 목 차
표 목 차
그림목차
ABSTRACT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1
제2절 연구의 목적 4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제2장 전통시장에 대한 이론적 고찰 8
제1절 전통시장의 정의 8
제2절 전통시장의 역사 11
제3절 전통시장의 현황 14
1. 전통시장의 현황 14
2. 전통시장의 활성화의 필요성 15
3. 전통시장의 경쟁력 약화 요인 17
제3장 전통시장에 대한 정부의 역할 21
제1절 전통시장 활성화의 법률적 근거 21
제2절 정부의 지원체계 23
제3절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이후의 변화 26
1. 양극화 현상 심화 26
2. 소프트웨어 지원 정책으로 전환 필요 27
제4장 문화융합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전략 및 사례연구 30
제1절 문화관광형육성시장의 필요성 30
제2절 전통시장 활성화 과제 및 전략 31
1. 전통시장의 침체요인 분석 31
2. 전통시장 활성화의 문제점 33
3. 전통시장 활성화 전략 34
제3절 ‘문전성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37
제4절 문화융합방식의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국내·외 사례 45
1. 서울 중랑구 우림시장 45
2. 충북 청주시 가경터미널 시장 46
3. 부산 부전시장 48
4. 일본 전통시장 사례 50
가. 사세보시 2상점가 50
나. 히로시마 혼토리상점가 51
다. 일본 센바야시 상점가 52
라. 오스상점가 연맹 52
제5장 연구방법 및 실제 활성화 프로젝트 수행 53
제1절 전통시장 목포자유시장 프로젝트 연구 수행 53
제2절 사업의 추진전략과 성과분석 및 연구개요 55
제3절 기존의 자유시장 SWOT분석 및 개선안 58
제4절 사업의 기본방향 및 비전 62
제5절 세부 사업전략의 추진 65
제6절 성과분석 방법 및 분석결과 73
제7절 분석결과에 따른 전략제안 92
1. 분석의 요약 92
2. 시사점 및 전력제안 93
제6장 결 론 94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김휴환. (2013). 문화융합 방식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목포자유시장 개선사업을 중심으로.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1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285
-
Appears in Collections:
- Business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4-02-26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